• 제목/요약/키워드: Fine annotatio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항공 및 위성영상을 활용한 토지피복 관련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구축 및 알고리즘 적용 연구 (A Study of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Algorithm of Artificial Intelligence Training Data on Land use/cover Using Aerial Photograph and Satellite Images)

  • 이성혁;이명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5_1호
    • /
    • pp.871-88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 및 위성영상을 활용한 토지피복 관련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를 구축, 검증 및 알고리즘 적용의 효율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토지피복 8개 항목에 대하여 고해상도의 항공영상 및 Sentinel-2 인공위성에서 얻은 이미지를 사용하여 0.51 m 및 10 m Multi-resolution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또한, 학습 데이터의 구성은 Fine data (총 17,000개) 와 Coarse data (총 33,000개)를 동시 구축 및 정밀한 변화 탐지 및 대규모 학습 데이터셋 구축이라는 2가지 목적을 달성하였다. 학습 데이터의 정확도를 위한 검수는 정제 데이터, 어노테이션 및 샘플링으로 3단계로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검수가 완료된 학습데이터를 Semantic Segmentation 알고리즘 중 U-Net, DeeplabV3+에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항공영상 기반의 토지피복 평균 정확도는 U- Net 77.8%, Deeplab V3+ 76.3% 및 위성영상 기반의 토지피복에 대한 평균 정확도는 U-Net 91.4%, Deeplab V3+ 85.8%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구축된 고해상도 항공영상 및 위성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셋은 토지피복 변화 및 분류에 도움이 되는 참조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향후 우리나라 전체를 대상으로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셋 구축 시, 토지피복을 연구하는 다양한 인공지능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Fine Mapping of a Major Quantitative Trait Locus, OsGPq3 for Seed Low-Temperature Germinability in Rice

  • Nari Kim;Rahmatullah Jan;Jae-Ryoung Park;Saleem Asif;Kyung-Min Kim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3-283
    • /
    • 2022
  • Abiotic stresses such as high/low temperature, drought, salinity, and submergence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 the physiological status and molecular mechanisms of rice which badly affect yield. Especially, the low temperature causes harmful influences in the overall process of rice growth such as uneven germin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seedlings, which has become one of the main limiting factors affecting rice production in the world.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find the candidate genes controlling low-temperature tolerance during seed germination and study their functions for breeding new rice cultivars with immense low-temperature tolerance during seed germination. In this study, 120 lines of Cheongcheong/Nagdong double haploid population were used for quantitative trait locus analysis of low-temperature germinability.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germination under low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In total, 4 QTLs were detected on chromosome 3, 6, and 8. A total of 41 genes were identified from all the 4 QTLs, among them, 25 genes were selected by gene function annotation and further screened through quantitative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Based on gene function annotation and level of expression under low-temperature, our study suggested OsGPq3 gene as a candidate gene controlling viviparous germination, ABA and GA signaling under low-temperature. This study will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marker-assisted breeding.

  • PDF

한국어 경제 도메인 텍스트 속성 기반 감성 분석을 위한 말뭉치 주석 요소 연구 (A study of Corpus Annotation for Aspect Based Sentiment Analysis of Korean financial texts)

  • 박서윤;장연지;강예지;강혜린;김한샘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2년도 제3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32-237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미세 조정(fine-tuning) 및 비지도 학습 기법을 사용하여 경제 분야 텍스트인 금융 리포트에 대해 속성 기반 감성 분석(aspect-based sentiment analysis) 데이터셋을 반자동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축 시에는 속성기반 감성분석 주석 요소 중 극성, 속성 카테고리 정보를 부착하였으며, 미세조정과 비지도 학습 기법인 BERTopic을 통해 주석 요소를 자동적으로 부착하는 한편 이를 수동으로 검수하여 데이터셋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데이터셋에 대한 실험 결과, 극성 반자동 주석의 경우 기존에 구축된 데이터셋과 비슷한 수준의 성능을 보였다. 한편 정성적 분석을 통해 자동 구축을 동일하게 수행하였더라도 기술의 원리와 발달 정도에 따라 결과가 상이하게 달라짐을 관찰함으로써 경제 도메인의 ABSA 데이터셋 구축에 여전히 발전 여지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omparison of transcriptome between high- and low-marbling fineness in longissimus thoracis muscle of Korean cattle

  • Beak, Seok-Hyeon;Baik, Myunggi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2호
    • /
    • pp.196-203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compare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between groups with high and low numbers of fine marbling particles (NFMP) in the longissimus thoracis muscle (LT) of Korean cattle to understand the molecular events associated with fine marbling particle formation. Methods: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marbling particles in the LT were assessed with a computer image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NFMP, 10 LT samples were selected and assigned to either high- (n = 5) or low- (n = 5) NFMP groups. Using RNA sequencing, LT transcriptomic profiles were compared between the high- and low-NFMP groups. DEGs were selected at p<0.05 and |fold change| >2 and subjected to functional annotation. Results: In total, 328 DEGs were identified, with 207 up-regulated and 121 down-regulated genes in the high-NFMP group. Pathway analysis of these DEGs revealed five significant (p<0.05)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pathways; the significant terms included endocytosis (p = 0.023), protein processing in endoplasmic reticulum (p = 0.019), and adipocytokine signaling pathway (p = 0.024), which are thought to regulate adipocyte hypertrophy and hyperplasia. The expression of sirtuin4 (p<0.001) and insulin receptor substrate 2 (p = 0.043), which are associated with glucose uptake and 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higher in the high-NFMP group than in the low-NFMP group. Conclusion: Transcriptome differences between the high- and low-NFMP groups suggest that pathways regulating adipocyte hyperplasia and hypertrophy are involved in the marbling fineness of the LT.

Dual-stream Co-enhanced Network for Unsupervised Video Object Segmentation

  • Hongliang Zhu;Hui Yin;Yanting Liu;Ning Che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8권4호
    • /
    • pp.938-958
    • /
    • 2024
  • Unsupervised Video Object Segmentation (UVOS) is a highly challenging problem in computer vision as the annotation of the target object in the testing video is unknown at all. The main difficulty is to effectively handle the complicated and changeable motion state of the target object and the confusion of similar background objects in video seque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deep Dual-stream Co-enhanced Network (DC-Net) for UVOS via bidirectional motion cues refinement and multi-level feature aggregation, which can fully take advantage of motion cues and effectively integrate different level features to produce high-quality segmentation mask. DC-Net is a dual-stream architecture where the two streams are co-enhanced by each other. One is a motion stream with a Motion-cues Refine Module (MRM), which learns from bidirectional optical flow images and produces fine-grained and complete distinctive motion saliency map, and the other is an appearance stream with a Multi-level Feature Aggregation Module (MFAM) and a Context Attention Module (CAM) which are designed to integrate the different level features effectively. Specifically, the motion saliency map obtained by the motion stream is fused with each stage of the decoder in the appearance stream to improve the segmentation, and in turn the segmentation loss in the appearance stream feeds back into the motion stream to enhance the motion refinement. Experimental results on three datasets (Davis2016, VideoSD, SegTrack-v2) demonstrate that DC-Net has achieved comparable results with some state-of-the-art methods.

사회문제 해결 연구보고서 기반 문장 의미 식별 데이터셋 구축 (Building Sentence Meaning Identification Dataset Based on Social Problem-Solving R&D Reports)

  • 신현호;정선기;전홍우;권이남;이재민;박강희;최성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2권4호
    • /
    • pp.159-172
    • /
    • 2023
  • 일반적으로 사회문제 해결 연구는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사회적 현안들에 의미있는 해결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중요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연구 목표로 한다. 그러나 사회문제와 쟁점을 완화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들이 국가적으로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사회문제가 남아 있는 상황이다. 사회문제 해결 연구의 전 과정을 원활하게 하고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시급한 현안들에 대한 문제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문제 해결과 관련된 기존 R&D 보고서와 같은 자료에서 중요한 사안을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다면 사회문제 파악 단계가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양한 국가 연구보고서에서 사회문제와 해결방안을 자동으로 감지하기 위한 기계학습 모델을 구축하는 데에 필수적인 데이터셋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해 사회문제와 쟁점을 다룬 연구보고서를 총 700건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보고서에서 사회문제, 목적, 해결 방안 등 사회문제 해결과 관련된 내용이 담긴 문장을 추출 후 라벨링을 수행하였다. 또한 4개의 사전학습 언어모델을 기반으로 분류 모델을 구현하고 구축된 데이터셋을 통해 일련의 성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KLUE-BERT 사전학습 언어모델을 미세조정한 모델이 정확도 75.853%, F1 스코어 63.503%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