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ltek Z250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17초

복합레진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AN IN VITRO STUDY OF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S)

  • 이선영;양연미;백병주;전철완;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93-599
    • /
    • 2003
  • 치과의 수복재로 널리 쓰이는 복합레진의 미세누출에 대한 할로겐광과 플라즈마광의 영향을 비교하고, 유동성 복합레진과 할로겐광으로도 중합시간이 20초로 단축된 복합레진 $Filtek^{TM}$ Z250이 미세누출면에서 기존에 널리 쓰이던 복합레진인 Z100을 대체할 수 있을지를 평가하며, 미세누출에 미치는 adhesive resin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발거된 치아에 5급 와동을 형성하고 레진의 충전은 각 군에 따라 시행하였다. 유동성복합레진 $Filtek^{TM}Flow$와 Z100, $Filtek^{TM}Z250$을 이용하였고, 할로겐광과 플라즈마광을 이용하여 중합하였다 충전이 완료된 시편은 보관, 연마, 열순환을 시행하고, 1% methylene blue를 침투시킨 후 협설로 절단하여 미세누출 정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Filtek^{TM}Flow$$Filtek^{TM}Z250$ 모두 광원에 따른 미세누출의 차이는 없었다(p>0.05). 2. 유동성 복합레진인 $Filtek^{TM}Flow$는 복합레진 $Filtek^{TM}Z250$과 Z100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큰 미세누출을 보여(p<0.05) 유동성 복합레진만으로 수복한다면 미세누출의 위험이 커질 것이다. 3. Adhesive resin을 도포한 것이 할로겐광을 이용한 경우와 플라즈마광을 이용한 경우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미세누출을 감소시켰다.(p<0.05)

  • PDF

Nanofilled 복합레진의 잔류응력 비교 (COMPARISON OF THE RESIDUAL STRESS OF THE NANOFILLED COMPOSITES)

  • 박정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5호
    • /
    • pp.457-462
    • /
    • 2008
  • 중합수축이 일어난 후 복합 레진 내에는 중합수축에서 기원한 응력이 내부에 남아있을 수 있는데 이를 "잔류응력"이라 한다. 수복물에 가해지는 총힘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과 내부에 남아있는 응력의 합으로 결정이 되며 수복물의 실패를 이해하기 위해서 이 두 가지 요소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ring slitting방법을 이용하여 최근 임상에 소개된 나노충진형 복합레진간의 잔류응력을 비교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복합레진은 대조군으로 microhybrid-type인 Z250과 nanofiller를 함유한 Grandio, Filtek Supreme, Ceram-X를 이용하여 복합레진 링을 제작하고 2개의 기준점을 표시한 후 이 사이의 거리를 링 절단 전과 후에 각각 측정하여 거리 변화를 측정하였다. 거리의 변화로부터 average circumferential residual stress $({\sigma}{\theta})$를 계산하였다. 10분과 1시간 경과 후 측정한 군에서는 Filtek Supreme이 Z250이나 Ceram-X보다 높은 잔류응력을 보여 주었고, 24시간 경과한 군에서는 Filtek Supreme이 나머지 군보다 높은 잔류응력을 보여주었다. 본 실험 결과에 의하면 nanofiller를 함유한 복합레진의 잔류응력은 대조군으로 사용한 Z250보다 높거나 같은 값을 나타냈으며 거의 비슷한 기질조성을 가진 Z250과 Filtek Supreme을 비교했을 때 Filtek supreme이 모든 측정시간대에서 높은 잔류응력을 보여주었다.

5급 와동의 복합레진 수복 시 발생되는 교두굴곡에 관한 연구 (CUSPAL DEFLECTION IN CLASS V CAVITIES RESTORED WITH COMPOSITE RESINS)

  • 박준규;임범순;이인복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2호
    • /
    • pp.83-89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레진의 중합수축과 탄성계수가 5급 와동 수복시 교두굴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16개의 발치된 상악 소구치를 평균 크기가 비슷하게 2개의 group으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치아에 5급 와동을 형성하여 유동성 복합레진 (Filtek flow)과 전구치 수복용 hybrid복합레진 (Z-250)으로 각 group을 충전하였을 때 나타나는 교두굴곡을 측정하였으며 그 후 수복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 (SEM)으로 관찰하였다. 각 복합레진의 중합수축률과 탄성계수를 측정하여 교두굴곡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Filtek flow와 Z-250으로 충전한 group에서 교두굴곡량은 각각 $2.18\;{\pm}\;0.92\;{\mu}m$$2.95\;{\pm}\;1.13\;{\mu}m$으로 나타나 Filtek flow의 평균 교두굴곡량이 더 작은 것으로 측정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p > 0.05). 2. 수복단면의 SEM 관찰 결과 두 group의 시편 중 각각 2개의 시편에서 와동 내면에 접착이 탈락된 미세간격이 관찰되었다. 3. Filtek flow의 탄성계수간은 7.77 GPa로 Z-250의 17.43 GPa에 비해 절반 이상 낮았으며 중합수축률은 4.41%로 Z-250의 2.23%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교두굴곡에는 복합레진의 중합수축률 뿐만 아니라 수축응력의 발현에 영향을 주는 탄성계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주사전자현미경과 공촛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을 이용한 치과용 수복레진의 부식에 관한 연구 (SEM AN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IC STUDY ON THE CORROSION OF DENTAL RESTORATIVE RESINS)

  • 양규호;박은혜;정병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30-43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Prodigy(Kerr, USA), Vitalescence(Ultradent, USA), Z 250(3M, USA), Filtek flow(3M, USA)의 4종의 복합레진을 사용하여 각 제품의 분해저항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무게손실, 표면하 분해층 깊이, 용출된 Si 농도를 기준으로 각 레진의 분해저항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무게손실량은 Prodigy와 Vitalescence사이, Z 250과 Filtek flow사이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후 제품군 간에는 차이를 보였다(p<0.05). 2. 분해층 깊이는 Z 250, Filtek flow, Prodigy, Vitalescence순으로 감소하였으며, 네가지 제품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 Si 용출량은 Filtek flow, Z 250, Prodigy, Vitalescence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각 제품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4. 각 제품의 무게손실과 분해층 깊이 사이(r=0.714, p<0.05), 무게손실과 Si 용출량 사이(r=0.770, p<0.05), 분해층 깊이와 Si 용출량 사이 (r=0.930, p<0.05)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5.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시 NaOH 용액에 보관한 후 레진 기질과 필러 사이의 결합의 파괴를 관찰할 수 있었다. 6. 공촛점 레이저 현미경 관찰시 NaOH용액에 보관한 후 레진의 분해층 깊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다양한 용액에 따른 Bulk-fill 복합레진의 색조안정성 평가 (Color Stability of Bulk-Fill Resin Composites after Immersion in Different Media)

  • 강성균;송지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53-361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bulk-fill 복합레진과 전통적인 복합레진을 대상으로 다양한 용액과 시편의 두께에 따른 색조안정성의 차이를 평가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복합레진으로 Filtek™ Z250, Filtek™ Z350XT와, bulk-fill 복합레진으로 Filtek™ Bulk-fill Posterior Restorative, Tetric® N-Ceram Bulk Fill이 사용되었다. 각 복합레진 시편은 3개의 군으로 나누어 각각 증류수, 레드와인, 커피 용액에 침전시킨 뒤, 침전 1, 7, 28일에 색조 측정을 시행하여 각 시점과 초기 기준점의 CIE L*a*b*값의 색차(ΔE*)가 계산되었다. 모든 복합레진은 레드와인에서 가장 큰 색조변화가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커피, 증류수 순서였다. Filtek™ Z350XT는 모든 용액에서 가장 큰 색조변화를 나타냈고, 다음은 Filtek™ Bulk-fill Posterior Restorative였다. 그 뒤로는 Filtek™ Z250과 Tetric® N-Ceram Bulk Fill이 유사한 수준의 색조변화를 나타냈다. Bulk-fill 복합레진에서 2 mm와 4 mm인 시편의 두께에 따른 색조변화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수종 복합레진의 색안정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OLOR STABILITY OF COMPOSITE RESIN)

  • 김혜진;김광준;조혜원;진태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9-8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lor stability of composite resins used widely as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 Surefil(Dentsply, U.S.A.), Esthet X(Dentsply, U.S.A.), Filtek P60(3M, U.S.A.) , Filtek Z250(3M, U.S.A.), Synergy Compact(Coltene, Switzerland), and Synergy Duo(Coltene, Switzerland) were chosen for this study. Thirty six specimens($7mm{\times}2mm$) of each composite resin were fabricated and polished after polymerization. Treatment conditions designed for this study were thermocycling, methylene blue staining, and filtered coffee staining. The color chang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were measured by colorimeter(colorimeter, Model Tc-6Fx, Tokyo Denshoku Co.) and analyzed. The followings were drawn from this study: 1. The color changes of Filtek Z250, Surefil, Filtek P60 and Esthet X after thermocycling for 3 weeks were greater than those of the others. 2. The color changes of Surefil and Esthet X after methylene blue stainig and those of Surefil, Filtek Z250 and Filtek P60 after coffee staining were great. 3. The color changes or Synergy Duo and Synergy Compact after thermocycling and coffee staining were relatively lesser than those of other composite resins.

유구치 1급 와동에서 와동벽 위치에 따른 microtensile bond strength 비교 연구 (MICROTENSILE BOND STRENGTH ACCORDING TO DIFFERENT DENTIN WALL POSITION IN CLASS I CAVITY OF PRIMARY MOLAR)

  • 이현헌;정태련;김정욱;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93-698
    • /
    • 2006
  • 유구치 1급 와동의 복합레진 수복 시 C-factor가 가장 크게 나타나며 중합수축에 의한 응력도 가장 크게 나타난다. 이 실험에서는 응력이 각 와동벽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양상을 microtensile bond strength(MTBS)실험을 통해 확인해보았다. 하악 제2유구치 20개를 두 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각각 다른 종류의 복합레진으로 수복하였고 개별 치아에서 각각 치수벽 시편과 축벽 시편을 얻어 총 4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MTBS를 측정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을 student T-test를 통해 검정하였다. ZP: Filtek Z250- 치수벽, ZA: Filtek Z250- 축벽, SP : Filtek Supreme - 치수벽, SA: Filtek Supreme - 축벽,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ZP군과 ZA군, SP군과 SA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p<.001). 2. ZP군과 SP군, ZA군과 SA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p<.001).

  • PDF

단계별 광중합 방식이 복합레진 수복물의 수축 응력과 변연 접합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EP CURING ON THE CONTRACTION STRESS AND MARGINAL ADAPTATION OF RESIN RESTORATION)

  • 박종휘;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21-232
    • /
    • 2006
  • 본 연구는 단계별 광중합 방법이 복합레진의 중합 및 수축 응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자연치를 대상으로 와동을 형성하고 할로겐 광중합기와 LED 광중합기의 통법에 의한 연속 조사 및 단계별 조사법으로 각각 복합레진을 중합시킨 후 수축 응력을 측정하고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수복물과 와동의 계면부에서 접착 상태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군에서 광중합 직후에는 일시적으로 팽창되었다가 초기에는 급격한 수축 응력의 증가를 보였고 시간이 경과될수록 수축 응력의 증가가 완만해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2. 동일한 광조사 군내에서는 hybrid형인 Filtek $Z-250^{TM}$군보다는 flowable형인 $Filtek\;flow^{TM}$군이 더 적은 수축 응력을 보였다. 3. Filtek $Z-250^{TM}$군에서는 LED 단계별 조사군이 수축 응력 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P<0.05) 4. $Filtek\;flow^{TM}$군 역시 LED단계별 조사군이 수축 응력이 가장 작게 나타났으나(P<0.05) Filtek Z-250군에서와 같이 다른 조사군에 비해 많은 차이를 보여주지는 못했다. 5.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복합레진과 와동벽과의 접합 상태는 긴밀한 상태를 보였으나 LED 조사군에서 일부 틈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hybrid형 복합레진의 경우 단계별 중합방식을 사용할 경우 단일광도의 중합방식에 비해 수축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적절한 변연 적합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임상적으로 고광도 LED 광중합기의 경우 단계별 중합방식의 사용이 유리하다고 사료된다.

  • PDF

Microhybrid versus nanofill composite in combination with a three step etch and rinse adhesive in occlusal cavities: five year results

  • Tuncer, Safa;Demirci, Mustafa;Oztas, Evren;Tekce, Neslihan;Uysal, Omer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2권4호
    • /
    • pp.253-263
    • /
    • 2017
  • Objective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5-year clinical performance of occlusal carious restorations using nanofill and microhybrid composites, in combination with 3-step etch-and-rinse adhesives, in patients who were going to commence orthodontic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18 restorations for occlusal caries were conducted prior to orthodontic treatment. Occlusal restorations were performed both with Filtek Supreme XT (3M ESPE) and Filtek Z250 (3M ESPE) before beginning orthodontic treatment with fixed orthodontic bands. Restorations were clinically evaluated at baseline and at 1, 2, 3, 4, and 5-year recalls. Results: None of the microhybrid (Filtek Z250) and nanofill (Filtek Supreme XT) composite restorations was clinically unacceptable with respect to color match, marginal discoloration, wear or loss of anatomical form, recurrent caries, marginal adaptation, or surface texture. A 100% success rate was recorded for both composite material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y of the clinical evaluation criteria between Filtek Z250 and Filtek Supreme XT restorations for each evaluation period. Conclusions: The composite restorations showed promising clinical results relating to color matching, marginal discoloration, wear or loss of anatomical form, recurrent caries, marginal adaptation, and surface texture at the end of the 5-year evaluation period.

Effect of organic acids in dental biofilm on microhardness of a silorane-based composite

  • Hashemikamangar, Sedighe Sadat;Pourhashemi, Seyed Jalal;Talebi, Mohammad;Kiomarsi, Nazanin;Kharazifard, Mohammad Javad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0권3호
    • /
    • pp.188-194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lactic acid and acetic acid on the microhardness of a silorane-based composite compared to two methacrylate-based composite resin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disc-shaped specimens each were fabricated of Filtek P90, Filtek Z250 and Filtek Z350XT. After measuring of Vickers microhardness,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subgroups (n = 10) and immersed in lactic acid, acetic acid or distilled water. Microhardness was measured after 48 hr and 7 day of immersion. Data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p < 0.05). The surfaces of two additional specimens were evaluat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before and after immersion. Results: All groups showed a reduction in microhardness after 7 day of immersion (p < 0.001). At baseline and 7 day, the microhardness of Z250 was the greatest, followed by Z350 and P90 (p < 0.001). At 48 hr, the microhardness values of Z250 and Z350 were greater than P90 (p < 0.001 for both), but those of Z250 and Z350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95). Also, the effect of storage media on microhardness was not significant at baseline, but significant at 48 hr and after 7 day (p = 0.001 and p < 0.001, respectively). Lactic acid had the greatest effect. Conclusions: The microhardness of composites decreased after 7 day of immersion. The microhardness of P90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composites. Lactic acid caused a greater reduction in microhardness compared to other sol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