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berboard demand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98초

VAR 모형에 의한 섬유판 수요 분석 및 예측 (Analysis and Prediction of the Fiberboard Demand using VAR Model)

  • 김동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3호
    • /
    • pp.284-289
    • /
    • 2009
  • 이 논문은 VAR 모형과 계량경제모형으로 섬유판 수요를 추정하고 예측정확성을 비교하였으며, VAR 모형을 이용하여 섬유판 수요의 분산분해와 충격반응을 분석하고, 섬유판 수요를 예측하였다. VAR모형은 소비량, 자체가격, 건설업총생산의 시차변수와 더미변수로 구성되어 있고, 계량경제모형은 자체가격, 비목재가격, 건설업총생산, 더미변수로 구성되어 있다. 더미변수는 1990년대 말에 발생한 구제금융의 영향을 반영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섬유판 수요예측은 VAR모형이 계량경제모형보다 더 효율적이다. VAR모형을 이용하여 섬유판 수요의 분산을 분해한 결과에 의하면 섬유판 최종소비처의 산출수준을 나타내는 건설업총생산의 변화가 약 12개월 후에 섬유판 수요변화의 약 50%를 설명하고, 자체가격의 변화가 약 3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건설업총생산이 자체가격보다 섬유판 수요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한편 건설업총생산의 충격에 대한 섬유판 수요의 반응은 12개월 동안 서서히 감소하는 반면에 자체가격의 충격에 대한 반응은 6개월이 지나면 거의 사라진다. 즉 건설업총생산이 자체가격보다 섬유판 수요에 더 오래 영향을 미친다. VAR모형을 이용하여 예측한 섬유판의 수요는 건설투자의 증가로 인하여 연평균 약 1.4%씩 증가하여 2010년에 약 220만$m^3$, 2015년에 약 240만$m^3$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Environmental Assessments of Leachate from Medium Density Fiberboard in a Simulated Landfill

  • Lee, Min;Prewitt, Lynn;Mun, Sung Phil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5호
    • /
    • pp.548-557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environmental assessments of leachate containing formaldehyde from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disposed in laboratory-scale simulated landfill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leachate was conducted by measuring formaldehyde, toxicity,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chemical oxygen demand (COD), bacterial enumeration, and pH. Amount of formaldehyde in leachate from MDF in soil decreased to the level of soil only treatment by 28 days, and toxicity decreased as the amount of formaldehyde decreased. BOD and COD levels in leachate from the treatments containing MDF exceeded permissible discharge levels of BOD or COD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The pH levels of all treatment were within permissible discharge range except on day 0. Fewer bacteria were observed in leachate from MDF in soil treatment than other treatments (MDF only, cured UF resin in soil, and soil only). Consequently, the leachate from disposal of MDF in soil detrimentally affect on environment. However, soil buffered formaldehyde leaching and pH on leachate in this study. Waste MDF may be required the pre-water soaking treatment for leaching formaldehyde to reclaim on land.

수급모형을 이용한 목제품 시장 전망 (Outlook of Wood Products Markets with Supply and Demand Model)

  • 이상민;김경덕;송성환;박지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462-472
    • /
    • 2014
  • 이 연구는 목제품의 수급모형을 개발하고, 제품별로 중장기적인 수요와 공급을 전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목제품 시장 수급모형은 주요 제품인 제재목, 합판, 파티클보드, 섬유판, 펄프 등으로 한정하였다. 각각의 제품에 대해 공급함수, 수입수요함수, 수요함수 등을 추정하여 부분균형 모형을 구축하였다. 주어진 외생변수를 이용하여 2050년까지 전망한 결과 제재목, 합판, 섬유판 등의 국내공급 및 수입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환경보호와 자원의 무기화 등으로 인해 국내외 원목가격이 인상될 것이라고 예상하였기 때문이다. 반면 폐재를 재활용하는 파티클보드와 목재칩을 원료로 이용하는 펄프의 경우 전체적인 공급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목제품 시장에서 국산품과 수입품의 아밍턴 대체 탄성치 추정 (Estimating Armington Substitution Elasticity between Domestic and Imported Wood Products in Korea)

  • 민경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2호
    • /
    • pp.254-260
    • /
    • 2015
  • 이 연구는 수입 목제품과 국산 목제품의 수요가 불완전 대체관계에 있다고 가정하고 아밍턴 대체 탄성치를 추정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수입 목제품의 관세 인하가 국내 목제품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 대상 목제품은 합판, 섬유판, 파티클보드로 하였다. 분석결과, 국산 목제품과 수입 목제품은 완전 대체관계에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합판과 섬유판에서 국산품과 수입품의 대체 탄성치가 높게 나타나 관세를 인하하였을 때 그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비해 파티클보드 시장에서 국산품과 수입품은 차별화되어 있으며 대체 관계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 섬유판은 국내 숲가꾸기 산물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섬유판 생산의 위축은 국내 임업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시장개방에 대응하여 국내 목제품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목제품 수급분석 및 전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pply-demand analysis and outlook for wood products)

  • 이상민;박지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959-6968
    • /
    • 2015
  • 이 연구는 기존의 목제품 수급모형(FOSMO2013)을 갱신하고, 제품별로 중장기적인 수요와 공급을 전망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제품 시장 수급모형은 주요 제품인 제재목, 합판, 파티클보드, 섬유판, 펄프 등으로 한정하였다. 각각의 제품에 대해 공급함수, 수입수요함수, 수요함수 등을 최신 자료를 이용하여 갱신하였다. 외생변수 가운데 하나인 세계 목재 및 목제품에 대한 가격 전망치는 Buongiorno 등(2012)의 연구결과를 적용하였다. Buongiorno의 연구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시나리오 3개(A1B, A2, B2)와 연료목재 수요에 대한 가정을 변경한 시나리오(A1B_LF)를 추가하여 전망결과를 발표하였는데, 본 연구의 전망치도 이와 같은 시나리오를 반영하여 2050년까지 총 4개의 시나리오에 따른 결과를 전망하였다. 전망 결과 국내 목재 및 목제품에 대한 장기 전망치는 시나리오와 제품별 차이는 있지만 대체적으로 생산은 감소하고 수입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WTO/DDA협상 NAMA분야의 목재류 관세감축 영향 분석 -잠정타협안을 중심으로 - (Impacts of Tariff Reduction of Timber Products in Non-Agricultural Market Access on WTO/DDA Negotiations in Korea - based on the tentative agreements of WTO/DDA Negotiations -)

  • 이성연;정병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4호
    • /
    • pp.417-425
    • /
    • 2009
  • 본 연구는 WTO/DDA협상 타결을 위해 2008년 7월에 개최된 주요국 소규모 각료회의에서 합의한 잠정타협안중 주요 논의 동향, 주요 핵심쟁점 사항을 정리, 분석하였으며, 비농산물시장접근분야(NAMA) 세부원칙에 따른 목재류의 품목별 관세 감축 변화 및 이에 따른 주요 품목의 수급영향을 분석하여 금후 우리나라의 WTO/DDA협상 전략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우리나라는 잠정타협안중 비농산물시장접근분야 세부원칙에 의한 관세 감축 변화 분석 결과, 선진국 지위시 제재목과 단판의 경우 2008년 실행세율과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양허품목인 합판의 경우 선진국 지위시에는 관세감축을 2008년 실행세율의 절반 정도로 감축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나 관세감축 변화에 따른 영향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제재목과 합판, PB, 섬유판 등 목질패널류를 대상으로 관세인하에 따른 품목별 수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가 선진국지위시 목재류의 품목별 수입량 증가가 0.8%~13.3%로 나타났으며, 개도국지위(적용계수 22)시에는 0.8%~44.3%까지 품목별 수입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