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tilized egg development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5초

일본에 서식하는 큰납지리의 난발생과 초기생활사 (Development of Eggs and Early Life History of Acheilognathus macropterus (Acheilognathinae) from Japan)

  • 김치홍;;김민경;김우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1-109
    • /
    • 2012
  • 중국으로부터 유입되어 일본의 이바라키현에서 정착한 큰납지리 Acheilognathus macropterus의 난발생과 자치어의 특성에 대해 관찰하였다. 담황색 수정란의 장타원형으로 난경은 장경이 2.68~2.86 mm (평균 $2.78{\pm}0.12mm$, n=40), 단경이 1.42~1.49mm(평균 $1.44{\pm}0.04mm$, n=40)였다. 암컷의 개체 당 채란된 알의 수는 124~180개 (평균 151개)였다. 수정란은 수온 $20{\pm}1.0^{\circ}C$에서 수정 후 78시간 만에 부화하였다. 부화 직후 자어의 크기는 3.8mm이고, 3일째부터는 S자 모양의 빠른 움직임을 보였다. 부화 후 25일 경에 소화기관이 완성되어 먹이를 먹기 시작하고 부출기에 이르렀다. 한국산 큰납지리와 외부형태나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oxidase I (COI) 유전자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수정란의 형태가 두 집단 간 뚜렷이 구별되어 분류학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미호종개 Iksookimia choii (Cobitidae)의 난 발생 및 자어 형태 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 and Larvae of Iksookimia choii (Cobitidae))

  • 송하윤;김우중;이완옥;방인철
    • 생태와환경
    • /
    • 제41권1호
    • /
    • pp.104-110
    • /
    • 2008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이면서 천연기념물인 담수어류 미호종개의 난발생 과정 및 초기 생활사를 연구하였다. 성숙란은 인간 성선 자극호르몬(HCG) 10 IU $g^{-1}$을 주사하여 얻었으며, 습식번으로 수정하였다 수정란은 원형으로 투명한 황색을 띈 침성 점착란이었으며, 수정란의 직경은 $1.1\sim1.3mm$로 유구는 존재하지 않았다. 부화는 수온 평균 $25^{\circ}$에서 수정 후 24시간을 전후하여 시작하였다. 부화 직후 자어는 전각이 $2.5\sim2.7mm$ (평균 2.8 mm)로 입과 항문은 닫혀있었다. 부화 후 6일째 자어는 전장이 $4.7\sim5.4mm$(평균 5.1mm)로 꼬리 끝부분 척색이 $45^{\circ}$로 완전하게 굽어 후기 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35일째 개체의 전장은 $20\sim22mm$ (평균 21.8 mm)로 모든 지느러미 가시와 줄기가 정수에 달하여 치어 단계로 이행하였다.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egg and larval development of short ninespine stickleback, Pungitius kaibarae

  • Hwang, In Joon;Lee, Si Woo;Han, Young Sim;Kim, Kyeong Hw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11호
    • /
    • pp.375-382
    • /
    • 2021
  • In this study, the reproductive behavior and embryonic and larval development of the short ninespine stickleback Pungitius kaibarae was described and illustrated based on observations during spawning, hatching, and larval rearing trials. Adult P. kaibarae were collected downstream in Jinhae during the reproductive season (April-May). Males had nuptial coloration on their entire black bodies, with blue dorsal spines and yellow eyes, whereas females had a brown spotted pattern on their bodies. Males built nests on the stems of water weeds and attracted females. Fertilization occurred in the nest immediately after spawning, and males guarded the eggs until hatching. The fertilized eggs of P. kaibarae were spherical, demersal, adhesive, and transparent, and each egg measured 1.43 ± 0.07 mm in diameter. The morula, blastula, and gastrula stages, as well as hatching began at 5, 18.5, 21.5, and 96 post fertilization (HPF), respectively, at 20.0 ± 0.5℃. The newly hatched larvae had a total length (TL) of 5.67 ± 0.50 mm, with a yolk volume of 0.583 ± 0.059 mm3. Their mouths and anuses had not yet opened. At 2 days posthatching (days post hatching, DPH), the yolk was completely absorbed and the larvae began to feed exogenously. Pigmentation was observed in freshly hatched larvae 4 h after hatching, with the presence of eight areas with a dotted pattern on the dorsal surface of the larvae and dispersed spots on the head and yolk sac. At 30 DPH, the TL of the juveniles was 21.34 ± 1.70 mm. The nest area and number of eggs were 259.56 ± 101.39 mm2 (75.18-506.04) and 155.33 ± 114.12 (0-437), respectively.

고등어(Scomber japonicu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Larva and Juvenile of the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 박충국;연인호;최낙현;허승준;한경호;이원교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3호
    • /
    • pp.207-213
    • /
    • 2008
  • 고등어를 습식법으로 인공 수정한 난을 대상으로 난발생 및 자치어 발육과정을 관찰하였다. 수정란의 형태는 구형의 분리부성란으로 유구는 1개를 가지고 있었으며, 난경은 $0.94{\sim}1.02\;mm$(평균 $0.95{\pm}0.03\;mm$)였다. 부화에 소요된 시간은 수온 $20{\pm}0.5^{\circ}C$에서 51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 직후 자어의 전장은 $2.52{\sim}3.0\;mm$(평균 $2.75{\pm}0.04\;mm$)로 난황을 달고 있었고, 입과 항문은 아직 열려 있지 않았으며, 근절은 $28{\sim}31$개였고, 눈에는 흑색소포 소포가 착색되어 있었다. 부화 후 2일째의 전기 자어는 $3.12{\sim}3.63\;mm$(평균 $3.39{\pm}0.05\;mm$)로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었다. 부화 18일째 후기 자어는 전장이 $8.45{\sim}12.32\;mm$(평균 $10.85{\pm}4.36\;mm$)로 꼬리말단이 굽어지기 시작하면서 가슴지느러미, 등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의 줄기가 형성되었다. 부화 25일째에는 $44.12{\sim}58.72\;mm$(평균 $55.95{\pm}6.74\;mm$) 외부 형태가 성어와 같은 치어기에 도달하였다.

  • PDF

국내 명태 Theragra chalcogramma 자연채란과 난황흡수까지의 난 발생 (Naturally Collection and Development until Yolk Absorption of Domestic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Fertilized Eggs and Larvae)

  • 서주영;권오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49-54
    • /
    • 2017
  • 우리는 자연에서 포획된 명태 어미를 이용하여 자연채란 시험을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국내 명태 포획과 수정란의 발생 및 부화 후 난황흡수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모든 명태는 삼중자망과 정치망에서 잡혀 당일 해양심층수 수조에 수용하였다. 이 어미 명태는 총 254마리에서 43.0% (86마리)가 2014년 3월에, 57.9%(147 마리)가 고성 남부지역에서 포획되었다. 그리고 주 산란기는 2월이었지만 (91.0% 개체들이 산란기), 6월까지 지속되었다. 포획 후 2015년 2월 4일에서 22일 사이에 12번의 자연채란으로부터 1,640 mL (~820,000개)의 수정란을 확보하였다. 자연채란된 수정란에서 14%(~115,000개)는 발달하지 않고 폐사하였다. 이 살아있던 부유란들은 $5.5{\pm}0.2^{\circ}C$의 해양심층수에서 사육 관리하였다. 이들의 크기는 $1.5{\pm}0.03mm$였다. 자연채취 후 6시간이 경과한 수정란은 2세포기, 24시간 경과 후에는 포배기 단계로 발생하였다. 그리고 자연채란 후 340 시간 경과 시 전장 $5.6{\pm}0.21mm$로 부화하였다. 이들 부화한 자어 길이와 난황의 면적은 $5.2{\pm}0.25mm$$9.5{\pm}1.00mm^2$였다. 그리고 4일이 경과하였을 때 난황은 $2.2{\pm}0.53mm^2$ (부화 당시 대비 $23.1{\pm}5.55%$)로 조사되었다. 결과적으로 우리의 연구결과는 국내에서 첫 명태 자연채란 사례로 해양심층수 수조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이 매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한 인공종묘생산과 자원회복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고 할 수 있다.

Temperature-dependent Index of Mitotic Interval (${\tau}_0$) for Chromosome Manipulation in Korean Bullhead, Pseudobagrus fulvidraco

  • Lim, Sang Gu;Han, Hyoung Kyun;Gil, Hyun Woo;Park, In-Seok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6권4호
    • /
    • pp.321-327
    • /
    • 2012
  • Korean bullhead (Pseudobagrus fulvidraco) was collected from the Kum River areas of Kangkyung-eup, Nonsan city, Chungcheongnam-do, Korea, from April to June, 2012 and was fertilized in order to observe egg development and temperature-related cleavage rates and mitotic intervals (${\tau}_0$). The fertilized eggs were separative, demersal and light yellowish with $1.5{\pm}0.06mm$ in diameter, and did not contain oil globules. The first cleavage stages were 90 min, 80 min, 60 min and 50 min at $21^{\circ}C$, $24^{\circ}C$, $27^{\circ}C$ and $30^{\circ}C$, respectively. At higher temperatures, eggs developed faster and underwent further identical development. For Korean bullhead, ${\tau}_0$ were $33.4{\pm}2.08$ min at $21^{\circ}C$, $31.5{\pm}3.06$ min at $24^{\circ}C$, $28.1{\pm}2.11$ min at $27^{\circ}C$ and $26.4{\pm}3.35$ min at $30^{\circ}C$. There were strong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tau_0$ and water temperatures at all points studied (Y=-1.13X+58.15, $R^2$=0.98, n=30, where Y is ${\tau}_0$ and X is temperature).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work will be helpful for chromosome manipulation by use of cleavage frequency data and ${\tau}_0$ data in Korean bullhead.

Convict Cichlid Amatitlania nigrofasciata의 난발생 (Embryonic Development of Convict Cichlid Amatitlania nigrofasciata)

  • 정효선;고민균;이효빈;노재구;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20-425
    • /
    • 2018
  • We characterized egg development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embryonic development time, in the convict cichlid Amatitlania nigrofasciata. Fertilized eggs of this species have an ovoid shape (horizontal axis, $1.56{\pm}0.02mm$; vertical axis, $1.26{\pm}0.04mm$) and smooth translucent chorion surrounded by a layer of mucous secretion. At $27{\pm}0.5^{\circ}C$, the first cleavage, blastula, gastrula and 16-somite stages of A. nigrofasciata eggs began at 1.5, 4.83, 14 and 40 hours after fertilization, respectively. We measured the development rate of embryos at $12-33^{\circ}C$ and found that the time period from fertilization to hatching was 94 hours at $24^{\circ}C$, 64 hours at $27^{\circ}C$ and 50 hours at $30^{\circ}C$. At temperatures of $12-21^{\circ}C$, all fertilized eggs died before hatching and those incubated at $33^{\circ}C$ died immediately after hatching.

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 난 발생과 유생의 성장 (Egg Development and Lana Growth of th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 박영제;이정용;김완기;이채성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9-84
    • /
    • 2001
  • 동해안 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의 안정적인 인공종묘생산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온과 염분에 따른 난 발생, 수온과 먹이생물에 따른 유생의 성장과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수정란은 난경 77.3$\pm$2.7 $\mu\textrm{m}$의 분리침성란으로서 산란 6시간 후에 4세포기로 발달하였으며, 수정 60 시간 후에 각장 117$\pm$3 $\mu\textrm{m}$의 D형 유생으로 발달하였다. 수온 10-2$0^{\circ}C$, 염분 28-34 ppt에서 정상 발생이 가능하였으며, 수온이 높을수록 난 발생 속도가 빨라졌다. D형 유생은 수정 10일 후에 각장 160 $\mu\textrm{m}$ 전후의 각정기 유생으로 발달하였으며, 수정 25일 후에 각장 250 $\mu\textrm{m}$로 성장하여 안점이 관찰되는 성숙유생으로 발달하였다. 유생기 동안 각장 (SL)에 대한 각고 (SH)의 상대 성장식은 SH=1.0425SL - 27.731 ($r^2$= 0.9749)였다. 수온별 유생사육에서는 8$^{\circ}C$와 12$^{\circ}C$에서 낮은 성장률을 보였으며, 2$0^{\circ}C$에서 낮은 생존율을 보였으나 16$^{\circ}C$에서 성장과 생존을 모두 양호하였다. 식물 먹이생물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은 Isochrysis galbana, Pavlbava lutheri 및 Chaetoceros calcitrans를 혼합 공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참가자미(Limanda herzensteini)의 난발생과정(卵發生過程)과 자어(仔漁)의 형태발달(形態發達) (Eggs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Larvae of the Flounder, Limanda herzensteini)

  • 한경호;김용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6-93
    • /
    • 1999
  • 1995년(年) 3월(月), 동해안(東海岸) 영일만에서 채집(採集)한 참가자미를 실험실에서 사육하던 중 1995년(年) 4월(月)13일(日)에 성숙한 어미를 건식법에 의해 인공수정(人工受精)시킨 후(後), 난발생과정(卵發生過程)과 부화(孵化) 자어(仔魚)를 사육하면서 자어(仔魚)의 성장(成長)에 따른 형태발달(形態發達)을 관찰하였다. 1. 수정란(受精卵)은 구형(球形)의 무색 투명한 분리부성란(分離浮性卵)으로 크기는 0.86~0.96 mm (평균 0.90 mm, n=50)였고, 유구(油球)는 없었으며, 원란강(圍卵腔)은 좁았다. 2. 사육수온 $14{\sim}17.8^{\circ}C$ (평균 $16^{\circ}C$)에서 수정(受精) 후(後) 64시간만에 부화(孵化)하였다. 3. 부화(孵化) 직후(直後)의 자어(仔魚)는 전장(全長)이 2.70~2.90 mm (평균 2.85 mm, n=10)였으며, 항문이 열려있었고, 난황(卵黃) 위에는 색소포(色素胞)가 없었다. 근절(筋節)은 10~11+25~27=35~38개였다. 4. 부화(孵化) 후(後) 3~4일(日)째의 자어(仔魚)는 전장(全長)이 3.80~4.00 mm로 눈에 색소포(色素胞)가 진하게 착색(著色)되었으며, 입이 열리면서 먹이를 먹기 시작하였다. 5. 부화(孵化) 후(後) 8~9 일째의 자어(仔魚)는 전장(全長)이 4.30~4.50 mm로 난황(卵黃)이 완전히 흡수되어 후기자어기(後期仔魚期)에 접어들었고, 소화관이 더욱 발달(發達)하여 rotifer를 활발하게 섭이(攝餌)하였다. 6. 부화(孵化) 후(後) 20~22일(日)째의 자어(仔魚)는 전장(全長) 6.00~6.10 mm로 고(高)는 증가하였고, 왼쪽 눈이 위로 약간 올라가 몸은 좌우상칭(左右相稱)을 잃게 되어, 변태(變態)가 시작되었다.

  • PDF

참갈겨니 Zacco koreanus (Pisces: Cyprinidae)의 난 발생과 초기생활사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Zacco koreanus (Pisces: Cyprinidae))

  • 이완옥;김경환;백재민;송미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00-207
    • /
    • 2013
  • 우리나라 고유종인 참갈겨니를 2011년 남한강에서 채집하여 Zacco속의 유연관계와 종 보존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난 발생 과정과 초기생활사를 연구하였다. Z. koreanus 난은 실험실에서 건식법으로 수정되었다. 수정란은 원형이고 투명하며, 엷은 황색난황을 가지고 있고, 유구가 없으며, 약한 점착성 침성란으로 난경은 $3.09{\pm}0.07$ mm(n=10)이었다. 수온 $20.0{\sim}23.0^{\circ}C$에서 수정 후 68시간 전후하여 난 발생이 완성되었으며, 부화자어의 크기는 전장 $10.30{\pm}0.40$ mm (n=10)이었다. 부화 6일 후에는 전장 $16.12{\pm}0.42$ mm(n=8)로 성장하였고, 난황이 거의 흡수되었으며 입과 항문이 열린 후기자어기가 되었다. 부화 17일 후에는 전장 $18.21{\pm}0.38$ mm(n=6)로 자랐고, 대부분의 지느러미에 기조가 나타났으며, 복부에는 갈색반점이 출현하였다. 부화 27일 후에는 전장 $20.01{\pm}1.12$ mm(n=5)로 성장하였고, 모든 지느러미의 기조수가 정수에 도달하였다. 부화 120일 후에는 전장 $23.29{\pm}3.12$ mm(n=10)로 성장하였으며, 외형과 반문이 성어와 유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