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tilization and hatching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3초

Glutathione (GSH) Response as a Metabolic Biomarker to Benzo(α)pyrene and Aroclor 1254 Exposure in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 Jo, Qtae;Choy, Eun-Jung;Lee, Yong-Hwa;Ko, Sung-Jung;Song, Young-Chae;Kim, Myoung-Jin;Hwang, Eung-Ju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9권4호
    • /
    • pp.140-145
    • /
    • 2006
  • We measured activities of the ubiquitous tripeptide non-protein thiol (L-${\gamma}$-glutamyl-L-cysteinyl-glycine), glutathione (GSH), which is believed to playa fundamental role in detoxifying xenobiotics in biological systems, as a metabolic biomarker for benzo(${\alpha}$)pyrene and Aroclor 1254 exposure in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Reproductive oysters were exposed to the pollutants for 50 days by the algal vectoring method in which the oysters were fed with concentrated standard algal foods grown in culture media containing Aroclor 1254 (0, 5, 50, 500 ng/g) or benzo(${\alpha}$)pyrene (0, 10, 100, 1,000 ng/g). Both pollutants induced maternal GSH activities in 10 days in a dosage-dependent manner (p<0.05), although Aroclor 1254 was stronger. The pollutant-driven GSH elevation persisted for 20 to 30 days depending on the pollutants and concentrations. Thereafter, a drastic decline in the GSH activity was observed due to metabolic failure, after which the oyster GSH remained at low levels throughout the remainder of the experiment. The pollutant exposures influenced maternal reproductive output in terms of fertilization, hatching, and morphology. These results imply that changes in activity of the GST-catalyzing molecule can be used as an oyster biomarker for Aroclor 1254 and benzo(${\alpha}$)pyrene exposure.

Blastocyst formation in vitrified-warmed preimplantation embryos derived from vitrified-warmed oocytes in a mouse model

  • Yeon Hee Hong;Byung Chul Jee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51권1호
    • /
    • pp.57-62
    • /
    • 202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a mouse model to investigate the blastocyst formation rate in vitrified-warmed embryos derived from vitrified-warmed oocytes. Methods: Metaphase II oocytes obtained from BDF1 mice were vitrified and warmed, followed by fertilization with epididymal sperm. On day 3, a total of 176 embryos, at either the eight-cell or the morula stage, were vitrified-warmed (representing group 1). For group 2, 155 embryos at the same developmental stages were not vitrified, but rather were directly cultured until day 5. Finally, group 3 included day-5 blastocysts derived from fresh oocytes, which served as fresh controls. The primary outcome measured was the rate of blastocyst formation per day-3 embryo at the eight-cell or morula stage. Results: The rates of blastocyst formation per day-3 embryo were comparable between groups 1 and 2, at 64.5% and 69.7%, respectively (p>0.05). The formation rates of good-quality blastocysts (expanded, hatching, or hatched) were also similar for groups 1 and 2, at 35.5% and 43.2%, respectively (p>0.05). For the fresh oocytes (group 3), the blastocyst formation rate was 75.5%, which was similar to groups 1 and 2. However, the rate of good-quality blastocyst formation in group 3 was 57.3%, significantly exceeding those of group 1 (p=0.001) and group 2 (p=0.023). Conclusion: Regarding developmental potential to the blastocyst stage, vitrified-warmed day-3 embryos originating from vitrified-warmed oocytes demonstrated comparable results to non-vitrified embryos from similar oocyt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day-3 embryos derived from vitrified-warmed oocytes can be effectively cryopreserved without incurring cellular damage.

해산 송사리 Oryzias dancena의 초기 생식소 형성 및 성분화 (Early Gonadogenesis and Sex Differentiation of a Marine Medaka, Oryzias dancena (Beloniformes; Teleostei))

  • 송하연;남윤권;방인철;김동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41-148
    • /
    • 2009
  • Oryzias dancena를 해양생태계 위해성 평가를 위한 해양 생물모델로 연구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 초기 성분화와 생식소 발달 과정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원시생식세포가 처음 관찰된 시기는 수정 후 5일째이고, 수정 후 9일째에 장과 앞신장관 사이의 생식소 형성 부근으로 이동한 것이 관찰되었다. 부화 후 12일째의 생식소는 암 수로 분화가 이루어졌다. 부화 후 28일째 난소에서는 주변인기의 난모세포가 관찰되었으며, 28일째의 정소에서는 정소 소관의 수와 정원세포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산란은 부화 후 9주째에 이루어졌으며, 이 시기의 난소에서는 난황과립이 난 전체에 형성되는 성숙난과 배란 직후 성숙난이 빠져나간 흔적이 관찰되었다. 수컷 생식소에서 역시 많은 수의 정세포가 관찰되었으며 사정 직후 정자가 빠져나간 부분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 본 종은 초기 성분화 과정에 자성 단계를 거치지 않고 정소와 난소로 분화하는 분화형 자웅이체에 속한다.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암컷과 동자개 P. fulvidraco $\times$ 대농갱이 Leiocassis ussuriensis 잡종 수컷간 역교배체의 초기 생존을 및 염색체 핵형 (Early Survival and Karyotype of Backcross Bullhead Hybrid between Pseudobagrus fulvidraco Female and P. fulvidraco $\times$ Leiocassis ussuriensis Hybrid Male)

  • 박상용;강언종;남윤권;방인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4-78
    • /
    • 2009
  • 동자개(PF) 암컷과 대농갱이(LU) 수컷에 의해 유도된 잡종(FU)을 대상으로 동자개 및 대농갱이 암컷과 역교배체(PFU, LFU)를 유도하여 수정률, 부화율, 초기생존을, 염색체 수 및 핵형분석을 수행하였다. 유도된 PFU ($PF{\times}FU$)의 수정률은 86.8%, 부화율은 70.7% 및 생존율은 76.4%로 양친으로 사용된 PF 및 LU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FU를 사용한 LFU ($PF{\times}FU$)는 모두 사망하였다. PF (2n=52)와 FU(2n=52)간의 PFU의 염색체 수는 2n = 52로 양친과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핵형분석 결과 22 metacentrics + 20 submetacentric + 10 acrocentric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대구(Gadus macrocephalus)의 정자 동결보존 (Sperm Cryopreservation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 도용현;조재권;이희정;민병화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95-200
    • /
    • 2019
  • 본 연구는 대구(Gadus macrocephalus) 정자의 동결보존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적정 동해방지제 및 동결보존 방법을 탐색하고, 동결보존된 정자를 해동하여 효과를 조사하고자 한다. 동결보존에 사용된 동해방지제는 demethyl sulfoxide (DMSO), ethylene glycol (EG), glycerol, methanol 및 propylene glycol (PG)였으며, marine fish ringer's solution (MFRS)를 희석액으로 사용하였다. 적정 동결보존 방법을 탐색하기 위하여 동해방지제 농도별(10%, 20%), 평형시간(3분, 5분, 10분), 1차 동결(액체 질소 표면 위 3, 8, 12 cm)별로 총 90개 실험구를 설정하였다. 해동 후 가장 높은 정자 생존율을 보인 실험구는 PG 10%, 평형시간 3분, 1차동결 8 cm 방법으로 21.3±1.8%의 생존율을 보였다. 신선한 정자와 해동한 정자를 사용하여 인공수정시킨 수정란의 부화율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Cathepsin B & D and the Survival of Early Embryos in Red Spotted Grouper, Ephinephelus akaara

  • Gwon, Seo-Hui;Kim, Hyun Kyu;Baek, Hea Ja;Lee, Young-Don;Kwon, Joon Yeong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1권4호
    • /
    • pp.457-466
    • /
    • 2017
  • Survival of embryos largely depends on yolk processing during early development. Proteolytic enzymes, cathepsin B & D (ctsb & ctsd) are known to have some important roles in yolk processing of various fish species. Mature female red spotted groupers were injected with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to induce ovulation. The fertilized eggs and embryos were sampled at 0, 4 and 24 HPF (hours post fertilization). Survivals of each groups of embryos were checked at 24 and 48 HPH (hours post hatching). Transcripts of ctsb & ctsd showed the highest level at 0 HPF and relatively high at 4 HPF, but greatly decreased at 24 HPF. In bad egg quality group (BE, embryos survived until 24 HPH), transcript level of ctsb at 4 HPF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transcript level at the same stage in good egg quality group (GE, embryos survived until 48 HPH) while no significant change of ctsb transcript level was observed at 0 or 24 HPF between BE and GE. Transcript level of ctsd was decreased at 24 HPF, but the difference was not as strong as the case of ctsb transcript.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ternal ctsb transcript rather than ctsd transcript is likely to be involved in egg quality resulting in the difference of survival rate of embryos at early developmental period in this species.

자성발생성 2배체 넙치의 제 2세대 생산 ([ $F_2$] Production of Gynogenetic Diploid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정창화;문영봉;박인석;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87-291
    • /
    • 1996
  • 유도된 자성발생성 2배체를 친어로 양식어민에게 보급하고 유전적 동형접합제를 생산하기 위해 제 2세대 자성발생성 2배체를 유도하였다. 제 1세대 자성발생성 2배체의 성숙과 산란은 광주기와 HCG 처리로 유도하였을 때, 부상률은 $22.9\~65.7\%$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수정률은 $69.0\~86.2\%$, 그리고 부화율은 $36.8\~85.8\%$의 범위로 나타나 제 2세대 자성발생성 2배체군과 대조군 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제 2세대 자성발생성 2배체의 생존율은 부화 후 40일까지 부화 자어수의 약 $30\%$로 대조군에 비하여 $15\%$ 낮게 나타났다(P<0.05). 평균 전장 3 cm 이후에 선발육종을 실시한 결과 평균 전장 4 cm 이후에 대조군에 비하여 급격히 성장함이 관찰되어 부화 후 100일째에는 평균 전장이 대조군이 10.0 cm, 제 2세대 자성발생성 2배체는 15.4 cm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 PDF

3배체 참돔(Pagrus major)의 생산 (Triploidy Production of Red Seabream, Pagrus major)

  • 박인석;김형배;손진기;김동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1-78
    • /
    • 1994
  • 참돔 암 수 친어에 5 mg/kg 체중의 잉어 뇌하수체 추출물(CPE) 및 1,000 IU/kg 체중의 태반성 성선자극 호르몬(HCG)을 주사, 인공 산란을 유도한 후 수정난에 $3^{\circ}C$의 저온 처리를 가하여 참돔 3배체를 유도하였다. 그 결과 수정 후 6분에 $3^{\circ}C$의 저온으로 20분 및 30분간 처리시 100%의 3배체 유도율을 나타내었으며 초기 생존율을 고려시 81.3% 및 80.0%의 높은 3배체 생산율을 각각 나타내었다. 유도 3배체는 2배체에 비해 염색체수와 적혈구 세포 및 핵의 크기에 있어 증가를 보여 3배체는 2배체에 비해 세포핵의 부피가 1.58배 증가하였다. 염색체 및 핵형은 대조군이 2n=48 acrocentric 염색체인 반면, 3배체는 72개의 acrocentric 염색체로 구성되어 있었다. 부화 10일 후부터 34일 까지의 유도 3배체의 초기 전장 성장 및 부레 성장은 2배체의 그것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 PDF

북쪽말똥성게 (Strongylocentrotus intermedius)의 난발생과 유생의 발달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Egg and Larvae of Sea Urchin (Strongylocentrotus intermedius))

  • 이채성;김완기;김두호;정세한;박기영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4-98
    • /
    • 2003
  • 북쪽말똥성게의 인공종묘생산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KCI용액 주사법으로 채란.채정된 알과 정자를 인위적으로 수정시켜 알과 유생의 발달과정 및 수온에 따른 발생속도를 조사하였다. 북쪽말똥성게의 수정난은 직경 122.5 $\mu\textrm{m}$의 구형이며, 알의 발생은 18$^{\circ}C$에서 수정 후 3시간만에 4세포기로 되고, 15시간이 지나면 부화를 하며, 수정 후 3일째에는 4완기 유생, 13일째에는 8완 전기유생, 20일째에는 8완 후기유생으로 되었다. 수온(T)에 따른 각 단계별 소요시간(t)의 관계를 보면, 부화기: 1/t=0.0036WT+0.0088 피라미드기: 1/t=0.0014WT-0.0016 4완기: 1/t=0.0009WT-0.0020 6완기: 1/t=0.0004WT-0.0005 8완기: 1/t=0.0002WT+0.0002로 표시되었다.

태반성 성선 자극 호르몬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처리에 의한 미꾸라지의 산란 유도 및 연중 다산란 유도를 위한 연구 (Induced and Multiple Spawnings by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Injection of the Loach, Misgurnus mizolepis (Teleostomi : Cobitidae))

  • 김동수;김종현;박인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09-115
    • /
    • 1992
  • 미꾸라지 양식시 기본 요건인 종묘의 안정적 공급을 위하여 호르몬 처리에 의한 산란 유도와 연중 다산란 유도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미꾸라지는 어체중 g당 $2\~10$ IU 농도의 태반성 성선자극 호르몬(HCG) 1회 주사로 $23.1\~100{\%}$ 산란이 유발되었으며, 특히 6 IU/g의 농도 이상에서는 모든 실험어가 산란하였다. 호르몬 주사 후 산란까지 대개 $13\~25$시간이 소요되었고 HCG농도 증가에 따른 수정율, 부화율 및 위생식소 숙도지수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어체중 증가에 따라 포란수도 증가하여 어체중 g당 평균 약 $500\~600$의 난을 산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산란 유도를 위해 $25^{\circ}C$ 조건하에서 사육하면서 첫 산란 후 사육 일수에 따른 비만도, 간 숙도지수 및 생식소 숙도지수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재산란을 유도한 결과 미꾸라지 암컷은 최초 산란 후 40 일이 경과하면 양질의 난을 재산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