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검색결과 313건 처리시간 0.059초

블랙커런트 분말 첨가가 양갱의 품질 및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of Blackcurrant Powder on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anggaeng)

  • 박민영;정해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57-464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anggaeng prepar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blackcurrant powder (0, 1.5, 3, and 4.5%). The moisture content ranged from 41.95% to 45.38%, exhibit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e pH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blackcurrant powder. The lightness (L) value decreased while redness (a) value increased with an increasing amount of blackcurrant powder. Hardness of the control group was lower than those of the treatment groups. Consumer acceptance test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face color, smell,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between the control and 3% added group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s were 7.58~54.88 mg GAE/100 g and 0.00~4.20 mg C3G/100 g), respectively, which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increasing levels of blackcurrant powder. The antioxidant activity measured based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reatment groups than the control and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blackcurrant powder increased. From the above results, blackcurrant powder up to 3% can be incorporated into Yanggaeng to satisfy taste and functional needs for consumers.

국내 자생 엉겅퀴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활성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ctivity of Domestic Cirsium japonicum Extract)

  • 장미란;홍은영;정재훈;김건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39-744
    • /
    • 2012
  • 본 연구는 자생분포가 높은 4가지 지역(경기, 강원, 전남 및 제주)에서 채집한 엉겅퀴를 에탄올 추출하여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 2가지 방법에 의한 환원력을 분석하여 새로운 자생식물 유래의 항산화제 소재개발에 있어 원물 최적화를 위하여 시행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많이 함유하고 있을수록 4가지 항산화능의 평가 역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의 유의적인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라 사료된 다. 엉겅퀴는 현재 잘 소비되는 식물자원은 아니지만 다양한 효능이 확인되고 있는 엉겅퀴를 이용한 소재 및 제품 개발을 위해서는 본 연구결과를 활용한 최적의 재배지역을 선정하고, 향후 재배기술 및 원물의 규격화를 위한 연구는 반드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병풍쌈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기능 및 DNA의 산화적 손상 억제작용 (In vitro Antioxidant Potential and Oxidative DNA Damage Protecting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s of Cacalia firma Komar)

  • 이진하;이봉경;박애리;이계재;최대운;한상화;최근표;김종대;김진철;안주희;이현용;신인철;박희준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4호
    • /
    • pp.258-264
    • /
    • 2011
  • 산나물의 일종인 병풍쌈[Cacalia firma Komar. (CFK)]은 산지에서는 인기 있는 자생식품 자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CFK의 ethanol (EtOH) 추출물의 1,1-diphenyl-2-picryl-hydrazyl, 2,2-azinobis(3-ethylbeno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분석법 및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scopy에 의한 유리기의 억제작용과 agarose electrophoresis법에 의한 산화적 DNA damage에 대한 보호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HO${\cdot}$ 유리기에 의한 CFK EtOH 추출물의 DNA damage 보호효과는 항산화 참고 물질로 epicatechin, ascorbic acid 및 trolox등과 비교하였다. CFK EtOH 추출물 중의 총 페놀물질 분석은 Folin-Ciocalteu의 방법으로 행하고 표준물질로 gallic acid equivalents를 사용하여 함량을 표시하였다. CFK EtOH 추출물 중의 총 페놀 함량은 잎 과 줄기 부분에서 각각 $161.53{\pm}1.07{\mu}g/g$, $142.45{\pm}0.56{\mu}g/g$이 확인 되었다. CFK EtOH 추출물 중의 유리기들에 대한 항산화 기능과 HO${\cdot}$기에 의한 DNA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는 각각 약 60% 이상의 기능을 보였다.

녹색 및 자색 콜라비 착즙액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Green and Purple Kohlrabi Juices)

  • 김단비;오지원;이종석;김영현;박인재;조주현;이옥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01-6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녹색 및 자색 콜라비 착즙액의 이화학적 특성(pH 및 $^{\circ}Bx$), 총 페놀함량, 항산화 활성(ORAC 지수,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FRAP 및 reducing power), 아질산염 소거능,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세포 보호 효과 및 ROS 생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녹색 콜라비 착즙액(153.74 mg GAE/mL)에서 자색 콜라비 착즙액(122.55 mg GAE/mL)보다 더 높게 나타난 반면, ORAC 지수의 경우 자색 콜라비 착즙액($664.32{\mu}MTE/mL$ )에서 녹색 콜라비 착즙액($572.74{\mu}MTE/mL$)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FRAP 및 reducing power에서는 콜라비 착즙액 10, 50, 100%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같은 농도로 비교하였을 때, 녹색 콜라비 착즙액에서 자색 콜라비 착즙액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도 녹색 콜라비 착즙액이 자색 콜라비 착즙액보다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피부 섬유아세포에서는 녹색 및 자색 콜라비 착즙액을 동결 건조하여 사용하였으며 10, 25, $50{\mu}g/mL$의 농도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상태에서 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10{\mu}g/mL$의 농도에서는 녹색 및 자색 콜라비 착즙액에서 hydrogen peroxide를 처리한 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25, $50{\mu}g/mL$의 농도에서는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보효효과가 증가하였다. 또한 녹색 콜라비 착즙액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항산화 물질인 NAC 수준까지 세포생존율이 증가하였다. $H_2$-DCFDA 염색을 통하여 관찰한 ROS 생성 억제 효과는 세포 보호 효과와 유사한 경향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녹색 및 자색 콜라비 착즙액이 다양한 항산화 모델에서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세포 보호 효과 및 ROS 생성 억제효과가 관찰되어 기능성 식품원료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경북약용작물(홍화자, 향부자, 형개, 위유, 작약)의 항산화 및 Nitric Oxide 저해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Nitric Oxide Production of Medicine Plants in Gyeongsangbukdo (Carthamus tinctorius seed, Cyperus rotundus, Schizonepeta tenuifolia,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Paeonia lactiflora))

  • 황은영;김동희;김희정;황주영;박태순;이인선;손준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3호
    • /
    • pp.171-177
    • /
    • 2011
  • 본 연구는 5가지 경북약용작물(홍화자, 향부자, 형개, 위유, 작약)의 항산화와 항염증 효과에 대해서 검증하였다. 추출은 70% 에탄올에서 추출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총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고, 추출물의 소거활성은 a-a-Diphenyl-${\beta}$-picrylhydrazyl ($DPPH{\cdot}$),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cdot}$),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superoxide anion 저해활성으로 측정하였다. 홍화자 추출물에서 높은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뛰어난 $DPPH{\cdot}$, $ABTS{\cdot}$, FRAP, superoxide anion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홍화자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NO 생성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그 결과 홍화자 추출물은 항산화와 항염증 활성에 효과를 가진 기능성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흑미(복합)발효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 평가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Black Rice and Its Fractions)

  • 김영현;이영준;박선옥;이상종;이옥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62-266
    • /
    • 2013
  • 본 연구는 흑미(복합)발효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성분(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및 proanthocyanidin)을 측정하였고 또한, 다양한 in vitro 모델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reducing power 및 FRAP을 이용하였고 아질산염 소거능도 평가하였다. 저분자 분획물은 흑미(복합)발효물 및 고분자 분획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흑미(복합)발효물 및 분획물 중에서, 저분자 분획물의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및 proanthocyanidin 함량은 각각 $109.2{\pm}2.9$ mg GAE/g, $39.4{\pm}0.8$ mg RE/g 및 $32.9{\pm}1.4$ mg CE/g으로 흑미(복합)발효물 및 고분자 분획물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고 이들 항산화 성분들은 저분자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건강증진에 대한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도를 고려해 볼 때, 흑미(복합)발효물 및 분획물은 건강기능식품, 건강증진 및 의약품 소재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벌나무 추출물의 황생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와 항산화 활성 (Antibacterial, Antioxidant Activities of Acer tegmentosum Maxim Ethanol Extract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 황진우;박찬휘;안해연;장예원;강현;이성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339-346
    • /
    • 2022
  • 본 연구는 벌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검증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효능과 FRAP법을 사용한 환원력을 측정하여 벌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검증하였고, Paper disc법, MIC 및 MBC법을 통하여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벌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검증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66.66 ㎍ GAE/mg와 6.46 ㎍ QE/mg이었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 소거능을 보였고, 벌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RC50 값은 각각 21.49, 12.81 ㎍/mL이었다. 환원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 FRAP 분석에서 벌나무 추출물은 0.73 ± 0.19 mM FeSO4 E/mg의 효능을 보여주었다. Paper disc법을 이용한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벌나무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2 mg에서 3 mm의 저해환을 보여주었으며, 최소 저해농도 연구에서는 1 mg/mL 이상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억제력을 보여주었고, 16 mg/mL 이상의 농도에서 최소저해 농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최소살균농도 연구에서는 32 mg/mL에서 최소살균농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벌나무 추출물을 사용한 항산화 및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한 결과 벌나무 추출물의 아토피피부염에 유효한 물질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명아주의 일반성분, 항산화활성 분석 및 흰쥐의 혈중 생화학적 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eneral analysis and antioxidant component analysis of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and biochemical analysis of blood of mice administered C. album)

  • 한경식;정태환;신경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492-49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new food materials by analyzing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The highest amount of mineral obtained in C. album was found to be $1.01{\pm}0.07mg$ per 100 g of iron. The total phenolic content in C. album was found to be 3.77~9.57 GAE (gallic acid equivalent) mg/g. The reducing activities of leaves and roots of C. album determined using FRAP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wer) were higher in ethanol extracts than water extracts.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leaves and roots of C. album were $204.29{\pm}4.98{\mu}mol/g$ and $106.96{\pm}2.81{\mu}mol/g$,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 upon extraction using ethanol (roots $20.71{\pm}0.04{\mu}mol/g$, leaves $71.08{\pm}0.33{\mu}mol/g$). HDL-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 fat diet groups supplemented with C. album than the control groups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C. album can be used as a natural antioxidant and a functional dietary supplement.

와송과 발효 와송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징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Orostachys malacophyllus and Fermented Orostachys malacophyllus)

  • 안희영;최다정;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77-584
    • /
    • 2015
  • 본 연구는 와송(둥근바위솔, Orostachys malocophyllus)에 대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와송(OM)과 유산균 (Lactobacillus bulgaric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으로 발효된 와송(FOM)의 건조 분말을 각각 정제수, 에탄올 및 메탄올로 추출하여 각각의 수율과 pH를 측정한 뒤, 총 페놀성 화합물과 이에 속하는 flavonoid 함량, 미네랄 함량을 측정하고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 Cu/Fe 환원력, 간 조직의 microsome 생체막의 지질과산화 억제능 및 linoleic acid를 이용한 지질과산화 정도를 비교 검토하였다. 총 페놀성 화합물과이에 속하는 대표적인 화합물인 flavonoid 함량은 와송의 정제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미네랄 함량은 K, Ca, Mg, Mn, Zn, Fe, Na의 순으로 높게 측정되었으며, 7원소 모두 발효 전에 비해 발효 후 함량이 증가하였다. DPPH를 이용한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와송과 발효와송의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 0.5%에서 대조구인 합성항산화제 BHT 0.05%에 가까운 활성을 나타내었다. Fe와 Cu의 환원력은 모든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와송과 발효와송의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 1%에서 대조구인 BHT 1%와 ascorbic acid 1%에 가까운 높은 환원력 을 나타내었다. 간 조직을 이용하여 측정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모든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와송과 발효와송의 에탄올 추출물은 0.01%에서부터 BHT와 비슷한 활성 나타내었으며 1%에서는 BHT보다도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TBA법과 thiocyanate법으로 지질과산화를 측정한 결과, 와송과 발효와송의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 1%에서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보였으며 발효와송의 메탄올 추출물은 두 가지 방법 모두에서 높은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유산균 발효 와송은 천연 항산화제 소재로서 활용될 가능성이 보이며 이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abbage (Brassica oleracea L. var. capitata) Phytochemicals with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otential

  • Rokayya, Sami;Li, Chun-Juan;Zhao, Yan;Li, Ying;Sun, Chang-Ha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1호
    • /
    • pp.6657-6662
    • /
    • 2013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abbage phytochemicals. Materials and Methods: Color coordinates were evaluated by colorimetry, and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ere analyzed by spectrophotometer for some common cabbage varieties. Results: Red heads had the highest total antioxidant contents followed by Savoy, Chinese and green heads. The Chinese variety had the highest ABTS (2,2-azino-di-(3-ethylbenzthiazoline-sulfonic acid) antioxidant activity, was 5.72 ${\mu}mol$ TE/g fw (Trolox equivalent). The green variety had the highest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which was 91.2 ${\mu}mol$ TE/g fw. The red variety had the highest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ntioxidant activity, which was 80.8 ${\mu}mol$ TE/g fw. The total phenol amounts were 17.2-32.6 mM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and the total flavonoid amounts were 40.0-74.2 mg quercetin per gram. Methanolic extracts of different cabbage heads showed different anti-inflammatory activity values. Chinese, Savoy and green heads had the highest anti-inflammatory activity, while red heads had the lowest.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se varieties of cabbage heads could contribute as sources of important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associated to oxidative stress, such as in cancer and coronary artery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