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ed feeds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4초

국균발효사료(麴菌醱酵飼料)의 첨가(添加)가 닭의 산육성향상(産肉性向上)에 미치는 효과(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Effects of Fermented Feeds for the Increasing of Fowl Meat Production)

  • 권순기;이인호;김관영;이규승
    • 농업과학연구
    • /
    • 제2권1호
    • /
    • pp.241-255
    • /
    • 197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effects of fermented feed by Aspergillus oryzae and Aspergillus niger on the improvement of feed value and the effect of fermented feed additive for meat production of broiler. The results of fermented feed on the improvement of feed value were as follows; I; The effects of fermented feed value improvement were as follaws; 1) There were little difference between fermented feeds by Asp. oryzae and Asp. niger, compared with wheat bran, crude protein contents of Koji was highly increased and its nitrogen free extract and crude fat contents were decreased, but crude fiber and ash were little difference. 2) Total amino acids were highly increased as to fermented feeds but proline in Asp. niger koji feed, and proline and valine in Asp. oryzae koji feed were decreased and other amino acid were increased 2) The effect of fermented feeds on meat production of broiler were as follows; 1) Fermented feeds groups appeared higher weight (p<0.01)than weight of control on end of experimental period, but little difference were recognized between 5% and 10% fermented feed groups. 2) On the weight gain per day, highly significant were recognized(p<0.05) between control and test groups, 10% Asp. oryzae koji group was highest ($12.15{\pm}0.46g$) between all groups. 3) On the yield of carcass, there were significant highly difference (p<0.01) between control and test groups but little difference were recognized between each of 5% groups and 10% groups of fermented feeds. 4) Fermented feed groups appeared higher carcass yield (p (0<0.05) than control. But between all fermented feed groups were a little difference in partly. 5) On the influence of fowl meat composition, amount of moisture contents was a little decrease in fermented feed groups, and crude protein and crude fat were increased. 6) Feed conversion rate resulted a little amount decreasing. Specially, 10% Asp oryzae koji group was lowest (2.89) compare with control (3.35) 3. As a result of economical analysis appeared highest low income in koji groups. Low income were more gained percent of 40.22 in 10% Asp oryzae koji and 33.19 in 10% Asp. niger koji than control.

  • PDF

발효 사료 첨가가 돼지고기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 with fermentation feed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 박원종;성창근;김건중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41-49
    • /
    • 1997
  • 발효사료로 사육한 돈육의 이화학적 성질을 규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효사료 처리돈육은 실험돈육에 비해 일반성분에서 지방함량이 낮고 단백질함량이 높아 품질향상에 도움이 인정되었다. 2) 시료 돈육별 산패도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색도는 실험돈육들보다 뚜렷하여 상품 가치가 인정되었다. 3) 지방산 조성에서 Oleic acid가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으며 포화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의 조성비는 보통육 38.3% : 59.9%, 고급육 40.8% 57.8%, 발효사료 처리육 36.3% : 62.0%의 비율이었고, 필수지방산 함량은 보통육14%, 고급이 11.2%, 발효사료 처리육이 16.7%이었다. 4) 아미노산조성은 glutamic acid가 가장 많았고 필수아미노산 비율은 보통육과 발효사료 처리육이 39%, 고급육이 41% 이었다. 5) 시료별 무기질 함량 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육즙 추출에 의한 보수력이 발효사료 처리육은 92%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열감량도 15.6%로 가공 및 조리에 다른 돈육보다 이용성이 높게 나타났다.

  • PDF

음식찌꺼기의 발효사료화시 수분조절제와 발효방법이 화학적 조성분 및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Chemical Compositions and Digestibilities of the Bulking Agents as a Moisture Control and fermentation Methods of food Waste)

  • 배동호
    • 유기물자원화
    • /
    • 제8권4호
    • /
    • pp.100-110
    • /
    • 2000
  • 음식찌꺼기의 사료화를 위한 발효처리시 수분조절제로 이용되는 재료 (톱밥, 버섯폐재, 밀기울, 야자박 등)와 발효방법 (호기성파 혐기성)및 발효기간이 음식찌꺼기 사료의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일련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시험설계는 농가 지도자료로 활용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참나무 톱밥과 소나무 톱밥의 NDF(중성세제 불용성 섬유)함량은 각각 건물기준 93.5%와 95.4%로써 사료로 이용하기는 어려운 재료라고 할 수 있다. 톱밥을 수분조절제로 50% 혼합하여 $30^{\circ}C$에서 2일간 호기성발효를 했을때 NDF 함량은 발효 전 재료에 비하여 12% 증가했고 in vitro DDM (인공반추위 건물소화율)은 48% 감소했다. 참나무 톱밥은 소나무 톱밥에 비하여 양호하였으며, 버드나무 톱밥(80%)과 밀기울(20%)을 혼합하여 팽이버섯재배의 배지로 이용된 후의 폐재는 톱밥류에 비하여 사료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된 사료의 NDF함량과 건물소화율은 이용된 수분조절제의 NDF함량에 주로 관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버섯폐재를 밀기울로 대체 했을때 밀기울의 대체율이 증가함에 따라 발효된 사료의 NDF함량은 직선적으로 감소했고 소화율은 직선적으로 증가했다. NDF함량이 높은 수분조절제를 이용한 호기성발효는 발효기간이 길어질수록 NDF함량은 증가되었고 건물소화율은 감소되었다. 그러나 밀기울 만을 이용하거나 밀기울이 함유된 수분조절제는 발효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이 증가되었다. 혐기성발효는 호기성 발효에 비해 전 처리구에서 NDF함량은 감소되었고 건물소화율은 향상되었다. 버섯폐재와 밀기울을 수분조절제로 이용하여 실온에서 30일간 혐기적으로 발효한 사료를 유기산 조성과 pH가를 기준으로 발효상태를 판정할 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칡덩굴을 이용한 남은 음식물의 발효사료화 (Fermented Feeds Production of Garbages using Kudzu Creeper as a Bulking Material)

  • 박진식;장성호;김수생
    • 환경위생공학
    • /
    • 제14권2호
    • /
    • pp.90-95
    • /
    • 1999
  • The study on the fermented feeds production of garbages have been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operation condition. The process variables considered for this study were initial air flow rate and temperature control. The results showed that optimum air requirement was $4{\ell}-air/min{\cdot}kg-$ garbages on dry weight basis which is equal to $0.8{\ell}-air/min{\cdot}kg-$ garbages on the basis of 80% moisture content. The optimum initial temperature control in the reactor was $40^{\circ}C$. Crude fiber content of fermented final byproducts were higher than feedstuffs standard for pig breeding and consequently final byproducts had to mix with single-component feed.

  • PDF

포도발효사료 급여가 흑염소 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Grape Fee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Goat Meat)

  • 정창호;서권일;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5-149
    • /
    • 2006
  • 발효시킨 포도를 첨가하여 흑염소 육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육질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와 비교하여 발효시킨 포도사료의 식이량이 증가할수록 점차적으로 경도가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나 발효시킨 포도사료의 식이량이 육의 조직에 매우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흑염소 육의 pH는 $6.1\~6.4$ 사이로 정상육 범위내에 속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대조구와 발효시킨 포도사료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흑염소 육의 주요 무기성분은 Ca, Na, K 및 Mg로 나타났으며, 특히 T2 처리구에서 매우 높은 칼슘 증가 현상을 볼 수 있었다. 발효시킨 포도사료를 급여한 흑염소 육의 총 아미노산 함량은 대조구의 $6,880.37\;mg\%$보다 T1과 T2 처리구에서 각각 7,994.20와 $8,288.16\;mg\% $로 총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효시킨 포도사료를 식이한 흑염소 육의 지방산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발효시킨 포도사료의 식이량이 증가할수록 명도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발효시킨 포도사료의 첨가에 의하여 흑염소 육의 색깔이 선명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일반사료를 급여한 대조구와 포도 발효사료를 식이한 흑염소 등심을 이용하여 관능검사 결과 포도발효과피 $30\%$ 첨가구인 T3구에서 높은 관능검사 결과를 나타내었다.

Changes in Serum Metabolite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Steers Fed Alcohol-fermented Feeds

  • Lin, G.Z.;Kim, B.W.;Kim, C.H.;Kim, H.S.;Sung, K.I.;Ohh, S.J.;Hong, B.J.;Shin, J.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5호
    • /
    • pp.648-654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whether feeding of alcohol-fermented feeds (AFF) affects the nutritional metabolism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steers. Ten ste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treatment groups. The dietary treatments were AFF (50% commercial beef cattle feed+30% alcohol-fermented soybean curd dregs+20% rice straw) and control (80% commercial beef cattle feed+20% rice straw). The change of serum metabolites and growth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every two months during the whole twelve months experimental period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erum metabolites and growth characteristics were simultaneously analyzed. Four hours after feeding AFF, serum alcohol concentration reached its peak with a significantly higher value than that after control feeding (11.9 and 4.9 mg/dl, respectively). Serum glucose and inorganic phosphorus (IP) concentrations (63.1 and 8.4 mg/dl, respectively) of steers fed AFF were higher than those (56.6 and 7.0 mg/dl) fed the control diet. In both treatments, the serum glucose concentration rapidly increased when body weight (BW) of the steer reached about 600kg, while IP concentrations were rapidly diminished at that BW. Lower concentrations of both blood urea nitrogen (BUN) and cholesterol were observed in steers fed AFF up to 450 kg of BW. The IP concentration was correlated with concentrations of BUN, cholesterol and glucose in AFF fed cattle but not in the cattle fed control diets. Average daily gain was higher in steers fed AFF than steers fed control, particularly during the growing stage of cattle. These findings indicated a capability of AFF to improve BW gain of Korean native steers by decreased protein degradation as well as increased fat synthesis.

사료 발효원으로 느타리버섯 종균이 흰점박이꽃무지 생육에 미치는 영향 (Role of oyster mushroom as an alternative fermentation source in the growth of white-spotted flower chafer(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 김미혜;박장우;김미정;박정준
    • 환경생물
    • /
    • 제39권4호
    • /
    • pp.471-478
    • /
    • 2021
  •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유충의 대체사료인 한약재 부산물 발효원인 유용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 EM)과 느타리버섯 종균(Oyster mushroom fungi, OM)을 비교하였다. 각 발효된 사료의 영양성분을 비교한 결과, 조회분을 제외한 조단백, 조지방, 조섬유 함량이 OM 발효사료에서 높게 나타났다. 각 발효된 사료로 사육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영양성분을 비교한 결과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각 발효사료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생체중을 주별 비교 분석한 결과, 3주차 관찰시기부터 EM과 OM을 이용한 사료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평균중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유충 사육 시 생존율은 발효사료의 경우 동일하게 96.7%이나, 비발효사료의 경우 9.8%로 매우 낮았다. 본 실험결과, 흰점박이꽃무지의 생육에 먹이 원의 발효는 꼭 필요했으며, OM은 EM을 대체할 수 있는 흰점박이꽃무지 대체사료의 발효원으로 더 안정적이었다.

버섯폐배지를 이용한 셀레늄강화 기능성 한우고기 생산에 관한 연구 I. 버섯폐배지 이용 발효사료제조와 유기셀레늄 강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elenium-fortified Functional Hanwoo-Beef by Utilizing Spent Mushroom Composts I. Studies on the Manufacture of Fermented Feeds by Using Spent Mushroom Composts and Fortification of Organic Selenium)

  • 이장형;김완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6권1호
    • /
    • pp.102-115
    • /
    • 2004
  • 본 연구는 셀레늄강화버섯생산 후 대량으로 폐기되는 버섯 폐배지를 가축사료로 이용하기 위해 발효사료를 제조하고, 발효 기간동안 발효미생물에 의한 무기셀레늄을 유기셀레늄으로의 전환을 강화하기 위해 발효사료 내 존재하는 유기셀레늄 비율을 조사하였다. 발효사료의 처리구는 일반버섯 폐배지와 셀레늄강화버섯 폐배지를 조합하여 발효사료 내 셈레늄농도가 0.06, 0.54, 1.26 및 1.86ppm이었다. 그리고 발효기에서 48시간 동안 발효시켰으며, 발효시간(0, 12, 24, 48시간)에 따른 pH, 유기셀레늄 비율, 유기설레늄 함량 및 무기셀레늄 함량을 조사하였다. 발효사료 내 셀레늄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0시간의 pH는 일반버섯 폐배지로만 구성된 0.06ppm의 4.63보다 유의하게 직선적으로 증가하였고, 1.86ppm에서 가장 높은 값(6.35)을 나타내었다(p<0.0001). 발효 12시간 이후에는 대조군에 비하여 셀레늄강화 버섯 폐배지를 함유하는 처리군에서 pH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처리군들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셈레늄 농도별 발효사료의 무기셈레늄, 유기셈레늄 함량 및 유기셈레늄 비율은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발효시간에 따른 처리군의 유기셀레늄 비율은 0.54ppm에서 발효 24시간까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1.26ppm에서는 발효 12시간이후에는 유의한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1.86ppm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일반 페배지로만 구성된 0.06ppm의 발효사료에서는 무기셀레늄이 검출되지 않았고, 셀레늄강화버섯 폐배지를 함유하는 발효사료(0.54ppm, 1.26ppm, 1.86ppm)는 발효 48시간에 약 70%의 유기셀레늄을 함유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발효사료를 통한 유기셀레늄의 강화는 발효종료 후 폐배지 내 유기셀레늄 비율이 약 70%로 높게 나타나 반추가축에 대한 셀레늄사료자원으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Indirect Estimation of CH4 from Livestock Feeds through TOCs Evaluation

  • Kim, M.J.;Lee, J.S.;Kumar, S.;Rahman, M.M.;Shin, J.S.;Ra, C.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4호
    • /
    • pp.496-501
    • /
    • 2012
  • Thirty-five available feeds were fermented in vitro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soluble total organic carbon (TOCs) and methane ($CH_4$) production rate. A fermentation reactor was designed to capture the $CH_4$ gas emitted and to collect liquor from the reactor during in vitro ferment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H_4$ production rate greatly varied among feeds with different ingredients. The lowest $CH_4$-producing feeds were corn gluten feed, brewer's grain, and orchard grass among the energy, protein, and forage feed groups, respective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were found in digestibility, soluble total organic carbon (TOCs), and $CH_4$ emissions among feeds, during 48 h of in vitro fermentation. Digestibility and TOCs was not found to be related due to different fermentation pattern of each but TOCs production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CH_4$ production (y = 0.0076x, $r^2$ = 0.83). From this in vitro study, TOCs production could be used as an indirect index for estimation of $CH_4$ emission from feed ingredients.

남은 음식물 발효사료 급여가 도체 특성 및 돈육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Food Waste Feeds on Pork Carcass and Meat Quality Properties)

  • 박근규;박홍양;정영철;이의수;양시용;임병순;김천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8-43
    • /
    • 2005
  • 본 실험은 돈육의 도체성적과 육질을 비교함으로써 남은 음식물 발효사료 급여효과를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도체성적으로 생체중, 도체중, 도체율, 등지방두께, 도체등급, 부분육량 및 정육율을 측정하였으며, 육질평가로 pH, 보수력, 저장감량, 가열감량, 전단력, 육색 및 NPPC 육색 및 근내지방도를 측정하였다. 도체특성에 있어서 등지방두께를 제외하고 도체중, 지육율 및 최종등급은 대조구와 FFWF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부분육 생산량과 정육율에 있어서는 FFWF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다소 높게 나타났다. 육질특성에 있어서는 pH는 FFWF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보수력, 드립감량, 가열감량, 전단력 등은 대조구와 FFWF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육색에 있어서는 FFWF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L*-값이 높고 a*-값이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주관적인 방법으로 측정된 NPPC 육색과 근내지방도는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남은 음식물 발효사료의 급여가 일반배합사료 급여와 비교하여 도체 및 육질 특성에 있어서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