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n Chemical Compositions and Digestibilities of the Bulking Agents as a Moisture Control and fermentation Methods of food Waste

음식찌꺼기의 발효사료화시 수분조절제와 발효방법이 화학적 조성분 및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 Bae, Dong-Ho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Yeungnam University)
  • 배동호 (영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Received : 2000.10.16
  • Accepted : 2000.11.28
  • Published : 2000.12.30

Abstract

Studies were conducted to know effects of the bulking agents (saw dusts, mushroom waste, wheat bran coconut meal, rice hulls) adding o moisture control, fermentation methods (aerobic and anaerobic) and periods (1 to 20 days) of food waste fermentation for animal feeds on chemical compositions and in vitro DDM (digestibility of dry matter). Experiment designs were focussed basically to obtain extension service data. The NDF (neutral detergent fiber) composition in the oak and pine saw dust were 93.5% and 95.4% (DM basis) in respectively. Thus, the fermented food waste feeds using saw dust (50%) increased NDF(12%), and decreased in vitro DDM(48%) compared to those of raw materials before aerobic fermentation. The oak saw dust showed higher DDM compared to pine. Mushroom wastes which is a residues of mushroom culture mixed originally willow saw dust (80%) and wheat bran (20%) showed quite higher feed value compared to both saw dusts. It was found that an in vitro DDM and NDF composition in fermented feeds appeared highly dependent or the NDF composition in bulking agents. With an increase wheat bran ratio substitute mushroom waste showed linearly decreased NDF, and increased in vitro DDM in the fermented food waste feeds. The fermented feeds added bottling agents composed higher NDF resulted in higher NDF and lower in vitro DDM with prolonged fermentation time. The feeds from anaerobic fermentation appeared lower NDF and higher in vitro DDM compared to those of aerobic fermentation.

음식찌꺼기의 사료화를 위한 발효처리시 수분조절제로 이용되는 재료 (톱밥, 버섯폐재, 밀기울, 야자박 등)와 발효방법 (호기성파 혐기성)및 발효기간이 음식찌꺼기 사료의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일련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시험설계는 농가 지도자료로 활용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참나무 톱밥과 소나무 톱밥의 NDF(중성세제 불용성 섬유)함량은 각각 건물기준 93.5%와 95.4%로써 사료로 이용하기는 어려운 재료라고 할 수 있다. 톱밥을 수분조절제로 50% 혼합하여 $30^{\circ}C$에서 2일간 호기성발효를 했을때 NDF 함량은 발효 전 재료에 비하여 12% 증가했고 in vitro DDM (인공반추위 건물소화율)은 48% 감소했다. 참나무 톱밥은 소나무 톱밥에 비하여 양호하였으며, 버드나무 톱밥(80%)과 밀기울(20%)을 혼합하여 팽이버섯재배의 배지로 이용된 후의 폐재는 톱밥류에 비하여 사료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된 사료의 NDF함량과 건물소화율은 이용된 수분조절제의 NDF함량에 주로 관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버섯폐재를 밀기울로 대체 했을때 밀기울의 대체율이 증가함에 따라 발효된 사료의 NDF함량은 직선적으로 감소했고 소화율은 직선적으로 증가했다. NDF함량이 높은 수분조절제를 이용한 호기성발효는 발효기간이 길어질수록 NDF함량은 증가되었고 건물소화율은 감소되었다. 그러나 밀기울 만을 이용하거나 밀기울이 함유된 수분조절제는 발효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이 증가되었다. 혐기성발효는 호기성 발효에 비해 전 처리구에서 NDF함량은 감소되었고 건물소화율은 향상되었다. 버섯폐재와 밀기울을 수분조절제로 이용하여 실온에서 30일간 혐기적으로 발효한 사료를 유기산 조성과 pH가를 기준으로 발효상태를 판정할 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