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ed Herbal Extract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5초

장수버섯 배양으로 제조한 발효옻 추출물이 장류 미생물의 증식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Extracts from Fermented-Rhus verniciflua Stem Bark with Fomitella fraxinea on the Growth and Enzyme Activity of Soybean Product-fermenting Microorganisms)

  • 최한석;여수환;정석태;최지호;강지은;김명곤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35-243
    • /
    • 2012
  • 옻의 장류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urushiol이 제거된 발효옻 추출물이 장류발효미생물의 증식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발효옻 알코올 추출물은 Bacillus 속과 Z. rouxii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열수 추출물은 Bacillus 속과 Z. rouxii를 포함한 젖산균, 효모, 대장균에 항균활성이 없었다. 발효 옻 열수 추출물은 L. plantarum, L. mesenteroides, S. cerevisiae의 균체성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Bacillus속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B. licheniformis, B. sutilis의 균체를 1.3-4.5배 증가시켰다. 그러나 Z. rouxii는 균체량을 감소시켰으며 유해 미생물인 B. cereus와 E. coli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도 나타내지 않았다. 발효옻 열수 추출물은 B. licheniformis와 B. subtilis가 생산하는 amylase와 protease의 활성을 큰 폭으로 증가시켰으며, amylase는 B. licheniformis 11052P 균주에서 protease는 B. subtilis 10854에서 그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지방 및 cellulose 분해활성은 B. licheniformis와 B. subtilis의 모든 균주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검은콩의 품종에 따른 콩과 청국장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혈전용해능 (Antioxidative and Fibrinolytic Activity of Extracts from Soybean and Chungkukjang(Fermented Soybeans) Prepared from a Black Soybean Cultivar)

  • 주은영;박찬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74-880
    • /
    • 2010
  • 검은콩과 검은콩 발효제품을 이용하여 천연보존료나 건강 기능성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검은콩 중 약콩과 서리태를 선정하여 청국장을 제조한 후, 검은콩과 청국장을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약콩과 약콩 청국장에 대한 물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316.23 mg/100 g, 896.01 mg/100 g이었으며, 서리태와 서리태 청국장에 대한 물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304.28 mg/100 g, 875.23 mg/100 g으로 검은콩 청국장 물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의 검은콩에 비하여 2.8배로 증가하였다. 검은콩으로 제조한 청국장 물추출물의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활성은 원료의 콩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검은콩과 검은콩 청국장의 물과 에탄올추출물은 모두 혈전용해능을 나타내었으며 약콩 청국장의 물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혈전용해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검은콩에 비하여 검은콩으로 제조한 청국장 추출물에서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항산화능과 혈전용해능이 증가하여 청국장은 건강식품의 개발이나 정상세포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천연항산화제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LPS 유도 RAW264.7세포에서 발효 옻 추출물을 함유한 장류의 항염증 효과 (The anti-inflammatory influence of fermented soy products containing a fermented Rhus verniciflua extract on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RAW 264.7 cells)

  • 임현지;김현영;이정미;김현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42-652
    • /
    • 2018
  • 본 연구는 LPS 처리 큰포식 세포에서 옻 추출물, 옻 첨가 된장 및 간장 추출물의 항염증 및 산화방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염증 반응은 자극이 가해지면 히스타민, 세로토닌, 프로스타글란딘과 같은 혈관 활성물질에 의해 혈관 투과성이 증대되어 염증을 유발하고 사이토카인, 활성산소종, lysosomal enzyme 등 다양한 매개 인자가 관여한다. 자극에 의한 큰포식세포의 염증반응은 $TNF-{\alpha}$, IL-6, $IL-1{\beta}$와 같은 pro-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이 유도되고, iNOS와 COX-2에 영향을 받는 유전자의 발현을 자극하게 되어 NO 및 $PGE_2$ 등의 염증 인자가 생성된다. 이에 따라 옻 추출물, 옻 첨가 된장 및 간장 추추물의 염증 및 산화방지시스템 관련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옻 추출물은 LPS 자극에 의해 생성된 NO,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PGE_2$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옻 추출물은 산화방지관련 핵 내 전사인자인 Nrf2 및 관련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옻첨가 된장 및 간장 추출물은 NO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였지만, 염증 및 산화방지관련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Origanum vulgare and Thymus vulgaris Extract Usability to Improve Silage Hygienic Quality and Reduce Mycotoxin Concentrations

  • Vaiciuliene, Gintare;Bakutis, Bronius;Jovaisiene, Jurgita;Falkauskas, Rimvydas;Gerulis, Gediminas;Baliukoniene, Violet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8호
    • /
    • pp.1149-1155
    • /
    • 2020
  • Silage is one of the main feed components of ruminants around the world and can make up about 50-80% of the rations of dairy cows during the wint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oregano (Origanum vulgare L.) and thyme (Thymus vulgaris L.) aqueous and ethanol extracts to improve the hygienic quality of perennial ryegrass, red clover and blue alfalfa silage samples and estimate their effect on mycotoxins concentration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63 silage samples (21 perennial ryegrass, 21 blue alfalfa, 21 red clover) were fermented with inserted aqueous and ethanol extracts of oregano and thyme and two commercial inoculants with mesophilic lactic acid bacteria. After 96 days of fermentation, in silage samples were established fermentation parameters, microbiological status and mycotoxins concentrations. It was determined that the best results for achieving hygienic quality of perennial ryegrass and red clover silage samples was by insertion of aqueous and ethanol extracts of oregano and thyme. In blue alfalfa samples, the best results of silage hygienic indicators were determined by inserting aqueous and ethanol extracts of oregano. Aflatoxin B1 (AFB1), deoxynivalenol (DON), zearalenone (ZEA) and T-2 toxin concentrations in perennial ryegrass, red clover and blue alfalfa silage samples were best reduced by inserting aqueous and ethanol extracts of oregano and thyme.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these extracts can be used to improve silage hygienic quality, reduce mycotoxins concentrations and thus ensure the wellness of cattle.

Secondary Fermented Extract of Chaga-Cheonggukjang Attenuates the Effects of Obesity and Suppresses Inflammatory Response in the Liver and Spleen of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 Na, Ha Gyoon;Park, Yuna;Kim, Min-Ah;Lee, Jin Woo;So, Gyeongseop;Kim, Sung Hyeok;Jang, Ki-Hyo;Kim, Mi-Ja;Namkoong, Seung;Koo, Hyun Jung;Lee, Sung Ryul;Sohn, Eun-Hw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5호
    • /
    • pp.739-748
    • /
    • 2019
  • Cheonggukjang and chaga mushrooms have numerous health benefits, and have been used in alternative medicine. Therefore, a powder mixture of 98: Cheonggukjang and 2: Chaga extracts was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3925 (FCC) and its anti-obesity effects in high-fat diet (HFD)-induced obese mice were determined. Five-week-old male ICR mice were fed a normal diet or HFD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3% and 5% FCC by weight (n = 10 per group). After 12 weeks, the mice were sacrificed, and the serum and tissue sample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Body weight and epididymal fat pad weight were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3% and 5% FCC groups compared with those in the HFD control group (p < 0.01). FCC supplementation suppressed serum triglyceride and increased serum HDL-C levels (p < 0.01). Serum GOT, GPT, and leptin levels, hepatic COX-2 mRNA expression, and splenic COX-2 and IL-4 mRNA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D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p > 0.05); however, except for splenic IL-4 levels, the increases were significantly attenuated by FCC supplementation. Expression of ICAM-1, an aortic inflammatory mark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FD group; this effect was suppressed in the 3% FCC group (p < 0.01) but not in the 5% FCC group. FCC suppressed the body weight and epididymal fat pad weight gain, as well as inflammatory responses in the liver and spleen of HFD-fed mice. Thus, FCC supplementation will be beneficial for the treatment of obesity-related effects.

오미자를 이용한 식초발효 및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Vinegar Fermented Using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모혜원;정영희;정지숙;최경호;최상원;박찬성;최미애;김미림;김미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41-449
    • /
    • 2013
  • 본 연구는 건조 오미자 추출액을 이용하여 오미자 식초를 발효하였다. 산패한 오미자 와인에서 식초산균 OV1과 OV2를 분리하고 분리균의 식초산 생성능력을 비교하였다. 분리균 OV1은 알코올농도 8%까지 발효 가능하였으며, 알코올 농도 6%의 오미자 와인으로부터 산도 5.21%의 식초를 발효하였다. 발효 오미자 식초는 시판 중인 타 식초에 비하여 관능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오미자 와인 및 식초의 항균력을 paper disc법으로 검정한 결과 식초는 4종의 검정균(B. subtilis, S. aureus, E. coli 및 P. fluorescens)에 대하여 직경 9.5~17.00 mm의 clear zone을 형성한 반면에 오미자 와인은 S. aureus와 P. fluorescens에 대해서만 clear zone을 생성하였고 clear zone의 직경 또한 9.5 mm 이하로 추출물과 비슷하였다. 오미자 와인 및 오미자 식초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오미자 와인(80배수)이 70.25%로 발효 전 추출액에 비하여 약 1.6배 증가하였으나 오미자 식초는 추출액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아질산염 소거능 또한 와인에서 높고 식초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보당한 건조 오미자 추출액을 사용하여 기호성과 기능성을 갖춘 고품질의 식초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족욕이 수험생의 스트레스 및 피로에 미치는 효과 -아로마 오일과 발효추출물의 비교연구- (Effects of Foot Baths on Stress and exhaustion for high school senior students -A comparative study on the aroma oil and fermentation extract-)

  • 오희선;강경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402-408
    • /
    • 2010
  • 21세기에, 사람들은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자극에 의해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스트레스가 지나치면 문제가 될 수 있고 결국 질병을 불러오게 된다. 족욕은 발부터 몸을 따뜻하게 해주고 혈액순환과 자율신경계를 조절한다. 이 연구는 아로마 오일과 발효추출물과 함께 족욕이 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의 스트레스와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실험기간은 2009년 3월 30일부터 4월 18일까지 20일간 천안 C여고 고3 수험생을 대상으로 싸주아리쑥 발효추출물 입욕제를 넣은 족욕 그룹 실험군 1과 아로마 오일 중 그레이프프루트, 사이프러스, 시더우드를 블렌딩한 족욕 그룹 실험군 2, 무 처치를 한 족욕 그룹 대조군으로 나누워 각각 7명씩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의 차이는 발효추출물군의 경우 1.23, 1.09의 감소효과가 있었고, 아로마군의 경우 0.71, 0.63의 감소효과가 있었으나 대조군의 경우 0.03, 0.02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어 발효추출물이나 아로마를 통한 족욕이 대조군에 비해 신체적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다(p<.01). 피로도의 차이는 발효추출물군의 경우 1.27의 감소효과가 있었고, 아로마군의 경우 0.77의 감소효과가 있었으나 대조군의 경우 0.03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어 본 연구에서 적용한 발효추출물이나 아로마를 통한 족욕이 대조군에 비해 피로도가 낮게 나타났다(p<.01). 발효추출물군(M=3.71)의 경우 족욕 후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아로마군(M=3.28), 대조군(M=2.22)순으로 나타났으며, Duncan의 사후검정결과 실험군과 대조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p<.01).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입욕제에 따른 족욕이 입시로 인한 스트레스, 피로도 감소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흰쥐의 당뇨 증상 개선에 미치는 한약재 첨가 청국장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Herbal Medicine-added Cheonggugjang extract on Improvement of the Symptom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조창숙;김소영;최문열;김미형;고경아;김미려;서부일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9-57
    • /
    • 2022
  •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tidiabetic effects of chunggugjang with medicinal herbal complex (CJ)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animal models. Method : STZ (65 mg/kg)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to induce diabetes. Then rats were divided into 5 groups ; NG (normal diet + 0.9% saline), COS (STZ +saline 5 mL/kg), COB (STZ + fermented soybean(100 mg/kg), CJ 100/200 (STZ+CJ(100 and 200 mg/kg), CJ 300/600 (STZ+CJ(300 and 600 mg/kg). 4 weeks later,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was performed. After sacrificing rats, serum levels of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aspartate amino transferase (AST), alanine amino transferase (ALT), total cholesterol (TC), and triglyceride (TG) were measured and hist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Result : Body weight change and food efficiency ratio (FER) were decreased in the CJ 300/600 group than in the COS group. But, there was no change in water intake. Serum levels of glucose, AST, ALT and BUN were lower in the CJ 300/600 group than in the COS group. Also, TG, TC, and creatinine were decreased in the CJ 300/600 group than in the COS group. According to OGTT, 120 minutes postprandial glucose levels were lower in the CJ 300/600 group than in the COS group. In addition, administration of CJ extracts restored histopathological damage.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CJ can be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 for diabetes treatment as it has the effect to improve pathological symptoms in STZ-induced diabetic rats.

동충하초균주로 발효한 감초의 주요성분 함량 변화 및 NO 생성 억제 효과 (Changes in Cordycepin and Liquiritigenin Content and Inhibitory Effect on NO Production in Fermented Licorice and Dongchunghacho)

  • 왕자옥;이매;이커;손병구;강점순;이용재;박영훈;김선태;정재철;이영근;최영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7-66
    • /
    • 2017
  • 약용식물의 발효는 새로운 식품의 소재 개발이 가능하나, 발효 균주는 대부분 이스트, 유산균, 박테리아 등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초와 번데기 단독 또는 감초에 발효원인 번데기를 20%와 50%로 첨가한 혼합물의 배지에 눈꽃 동충하초(Paecilomyces tenuipes)와 밀리타리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를 이용하여 고체배양방법을 확립하였다. 동충하초 발효물을 식품소재로 개발하기 위하여 식용 가능한 용매인 에탄올 95%, 70%, 50%, 25% 및 물로서 추출한 다음 동충하초로부터 생성된 cordycepin과 감초의 지표성분인 liquiritin, liquiritigenin과 glycirrhizin의 함량 및 NO생성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Cordycepin함량은 감초에 번데기를 50%로 혼합한 배지에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주을 접종하여 발효한 발효물을 70% EtOH추출하였을 경우에 가장 많았으며, 번데기를 첨가하지 않은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발효물 추출물보다 함량이 33배 정도 증가하였다. 또한 추출용매의 극성이 70% EtOH보다 높거나 낮아지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발효원으로서 번데기의 첨가는 cordycepin의 함량을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Liquiritin의 함량은 발효하지 않은 감초보다 눈꽃 동충하초와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로 발효한 모든 추출물에서 감소하였다. Liquiritigenin의 함량은 눈꽃 동충하초로 발효한 추출물이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발효 추출물보다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쥬의 발효 추출물은 발효하지 않은 감초 추출물과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두 균주 모두 번데기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iquiritigenin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감초에 번데기의 첨가량 또는 추출 용매의 극성이 증가하면 liquiritin과 glycyrrhizin의 함량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cordycepin 함량은 C. militaris 균주로 liquiritigenin은 P. tenuipes로 발효시에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liquiritin과 glycyrrhizin은 감소하였다. 감초를 동충하초로 발효시에 번데기의 첨가는 주요 성분의 변화를 현저하게 유도하였다. 동충하초 발효 추출물은 NO생성 억제효과가 증가하였으며, 고극성 용매 추출물에서 그 효과가 현저하였다. 감초의 발효시에 생성된 cordycepin과 liquiritin, liquiritigenin 및 glycyrrhizin의 함량은 발효원으로서 첨가되는 번데기, 추출용매의 극성, 발효 균주의 종류 등에 따라서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동충하초 균주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라이보좀 RNA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한 집식배양된 식물추출물발효음료의 미생물 다양성 (Microbial Diversity in the Enrichment Cultures from the Fermented Beverage of Plant Extract Using Ribosomal RNA Sequence Analysis)

  • 이총규;김바오로;강민영;이희율;황정은;안민주;서원택;조계만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51-359
    • /
    • 2014
  • 식물추출발효음료(fermented beverage of plant extract, FBPE)는 과일류, 야채류, 약초류, 및 해조류를 설탕에 의한 당장법으로 발효시킨 액상발효음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FBPE의 이화학적 특성과 16S 및 26S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집식배양된 FBPE의 미생물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FBPE의 pH는 3.48, 산도는 1.68%, 당도는 $70^{\circ}$, 환원당은 1,026 g/L 및 알코올은 3.5%이었다. 유리당과 유기산은 glucose (567.83 g/L)와 tartaric acid (936.8 mg/L)로 나타났다. Lactobacillus homohiochii는 모든 집식배양 시료에서 우점종이었고 L. fructivorans는 20B 라이브러리에서만 나타났다. 세 가지의 다른 당 농도에서 집식배양된 FPEB의 우점종은 0Y 라이브러리(설탕농도 0%)에서는 Candida zeylanides (45.2%), 20Y 라이브러리(설탕농도 20%)에서는 C. lactis-condensi (35.7%)와 C. zeylanoides (35.7%) 및 40Y 라이브러리(설탕농도 40%)에서는 C. lactis-condensi (38.1%)이었다. 이외에 0Y 라이브러리에서는 C. lactis-condensi (40.5%), Pichia farinosa (7.1%), C. parapsilosis(4.8%) 및 Zygosaccharomyces bailii (2.4%)가 나타났으며, 20Y 라이브러리에서는 P. guilliermondii (14.3%), Pichia farinosa (7.1%), C. parapsilosis (4.8%) 및 Kazachstania exigua (2.4%)로 나타났고 40Y 라이브러리에서는 C. zeylanoides (30.9%), C. parapsilosis (11.9%), Z. bailii (11.9%), Pichia farinosa (4.8%), P. guilliermondii (2.4%)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앞으로 FBPE의 미생물 변화 연구에 아주 유용한 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