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ation conditions

검색결과 1,148건 처리시간 0.027초

수박쥬스의 알콜발효에 관한 연구 (Alcohol Fermentation of Korean Watermelon Juice)

  • 김성림;김우정;이상열;변시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3호
    • /
    • pp.139-145
    • /
    • 1984
  • 수박은 소비자가 즐겨 먹는 신선한 과일로서 저장성이 낮아 손실향이 많을 뿐만 아니라 여름 한철만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단점이 있어 이의 저장성 및 이용성을 높이고자 수박쥬스의 알콜발효를 연구하였다. 수박쥬스속에는 3.2%의 환원당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Saccharomyces cerevisiae, Kluyveromyces fragilis와 Saccharomyces cerevisiae var. ellipsoideus 세균주를 사용하여 pH, 온도, 당 농도가 알콜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수박쥬스에 glucose를 12% 첨가하고 pH 5.73 및 온도 $27^{\circ}C$에서 Saccharomyces cerevisiae var. ellipsoideus를 2% 접종시켰을 때, 발효 8일째 최대치인 5.3%의 알콜을 생성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알콜 발효에 있어서 nitrogen sources와 여러 무기염류가 발효에 약간의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으며, 살균방법에 있어서는 $SO_2$ 처리$(K_2S_2O_5\;110ppm)$ 보다 고온 살균($121^{\circ}C$, 15분)하였을때 살균효과가 높을 뿐만 아니라 알콜 생성량도 높았다.

  • PDF

Optimized Lactic Acid Fermentation of Soybean Curd Residue (Biji)

  • Baek, Joseph;Kim, Chan-Shick;Lee, Sam-P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4호
    • /
    • pp.397-404
    • /
    • 2002
  • Soybean curd residue (SCR) was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rhamnosus LS and Entercoccus faecium LL, isolated from SCR. The pH, titratable acidify and viable cell counts were determined from the fermented SCR to evaluate the lactic acid production and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Optimal amounts of pretense enzyme and glucose, and ideal fermentation time for SCR fermentation were estimat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Raw SCR fermented by indigenous microorganisms had 0.78 % titratable acidity, The acid production in SCR fermented by L. rhamnosus LS was greatly enhanced by the addition of glucose and lactose. However only glucose increased acid production by Ent. faecium LL. The proof test of SCR fermentation demonstrated that similar results for titratable acidity, tyrosine content and viable cell counts to that predicted could be obtained by the at optimized fermentation conditions. In the presence of 0.029 % (w/w) pretense enzyme and 0.9% (w/w) glucose, the SCR fermented by Ent. faecium LL showed 1.07% (w/v) of titratable acidity, 1.02 mg% tyrosine content and 2$\times$10$^{9}$ (cfu/g) of viable cell counts. With the SCR fortified with 0.033% pretense enzyme and 1.7% glucose, L. rhamnosus LS showed 1.8% (w/v) of titratable acidity, 0.92 mg% of tyrosine content and 2$\times$10$^{9}$ (cfu/g) of viable cell counts.

제지슬러지의 혐기메탄발효 (Methane Fermentation of the Paper Mill Sludge under Anaerobic Condition)

  • 최종우;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2-27
    • /
    • 2004
  • 제지공장의 슬러지를 활성오니슬러지와 집수조슬러지로 나누어 C/N율, 메탄발효폐액 첨가 그리고 몇몇 첨가제를 처리하고 발생한 혐기발효가스 중 메탄함량을 측정하여 각각의 처리효과를 조사해 보았다. 1. 활성오니 제지슬러지를 이용한 메탄발효의 최적 C/N율은 60으로 이전의 다른 재료들과는 다른 경향이었다. 2. 혐기발효 폐액의 첨가로 메탄함량 40% 도달 시간은 약 2일정도 앞당겼지만, 10일간의 총 메탄발생량은 1/8 수준으로 적었다. 3. 첨가제중 sodium sulfide와 ethylacetate의 처리효과는 발효폐액 첨가구에서 뚜렷하였고, 무첨가구에서도 sodium sulfide는 1.3배의 메탄생성 증가에 기여하였다. 4. 황화수소가 제거된 제지슬러지에서는 메탄이 전혀 생성되지 않았고, sodium sulfide가 첨가된 처리구에서는 메탄생성이 증가되었기에 제지슬러지 메탄발효에서 황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Lyophyllum decastes를 이용(利用)한 볏짚의 발효사료(醱酵飼料)에 관한 연구(硏究) -I. Cellulase 생산조건(生産條件) 및 배양기간(培養期間)의 영향(影響)- (Studies on Improving the nutritive value of Rice straw by Fermentation with Lyophyllum decastes -I. Cultural condition of cellulase production and feeding value under fermentation periods.-­)

  • 홍재식;김동한;김명곤;이극로;김영수;김명숙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28-134
    • /
    • 1988
  • Lyophyllum decastes의 발효사료 제조를 위한 cellulase 생산은 $30^{\circ}C$, pH 6.0, 수분 $60{\sim}70%$ 범위에서 I5일간 배양하는 것이 좋았다. 부원료로 미강 $30{\sim}40%$$(NH_4)_2HOP_4$ 0.72%를 첨가하고 볏짚을 4% alkaline peroxide로 전처리하면 cellulase 생산은 증가하였다. 볏짚에 Lyophyllum decastes를 40일간 발효시켰을 때 lignin은 19.9% 분해되있고 총질소는 대조구의 1. 1%에서 1.6%로 증가되었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볏짚의 in vitro 소화율은 증가하여 35일 발효 후에는 대조구에 비하여 21. 1%증가하였다.

  • PDF

음폐수 산발효 조건에 따른 바이오가스 생산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iogas Yield According to Food Waste Leachate Acid Fermentation Conditions)

  • 문광석;박대원
    • 에너지공학
    • /
    • 제24권4호
    • /
    • pp.11-1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류 폐기물 폐수(이하, 음폐수)를 이용하여 혐기성발효 시 부산물로 생성되는 메탄가스의 생산효율을 높이고자 산발효 전처리를 수행하였으며 전처리된 음폐수를 이용하여 BMP 실험을 통해 메탄생산량 증대를 위한 산발효 최적조건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산발효된 음폐수를 이용하여 BMP 실험을 진행한 결과 HRT 3일 조건에서 0.220 L/g VS의 가장 높은 메탄생산량을 확인하였으며, 초기 pH별 BMP실험에서는 pH 6에서 19,920 mg/L로 가장 높은 VFA와 Acetic acid/TVFA(76.2%)를 보였다. 이때 메탄생산은 약 10일 이내로 대부분 생산되어 일반적인 메탄발효(30일 이내)에 비해 약 1/3수준으로 단축됨을 확인하였다. 메탄생성량은 0.294 L/g VS로 대조군 대비 약 1.3배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속성 까나리액젓의 제조 및 품질 평가 (Processing of the Rapid Fermented Sauce using Northern Sand Lance and Quality Evaluation)

  • 정용진;서지형;박난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6-89
    • /
    • 2005
  • Thermoase를 이용하여 속성 까나리액젓 생산 가능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속성 까나리 액젓의 발효조건으로 thermoase $0.2\%$ 첨가, 발효온도 $60^{\circ}C$ 및 발효시간 9시간으로 설정되었다. 설정된 발효조건에서 생산된 속성 까나리 액젓은 시판 액젓 제품에 비해 밝은 갈색을 나타내었다. 또한 일부 시판 액젓에 비해 속성 까나리 액젓은 총 질소, 아미노태 질소 및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다소 낮았으나, 감미성 아미노산 비율이 높았다. Thermoase를 이용한 까나리 액젓은 발효시간이 짧고 염장처리 된 까나리를 이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활용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저식염 오징어젓갈 제조 조건 (Processing Conditions for Low-Salted Squid Jeotkal)

  • 김영만;정윤미;홍정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12-320
    • /
    • 1993
  • 저식염 오징어젓갈을 제조하기 위하여 $10^{\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관능적,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염도가 $10\%$인 제품의 경우, 발효 20일 째에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품질을 나타내었으며 $7\%$ 식염제품은 15일 째에 맛과 냄새가 좋았다. 두 제품 모두 이 시점에서 생균수가 $10^8/g$으로 나타났으며 발효 기간에 따라 분리된 균주의 종류는 염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단백질 분해효소 생산균주와 젓갈 고유의 냄새 성분과 산을 생산하는 균주가 함께 젓갈의 품질 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H는 $10\%$ 제품의 경우 35일 째까지 pH 7.0 이하를 유지하였으나, $7\%$ 제품은 25일 째부터 pH 7.0 이상이 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VBN과 Hypoxanthine 생성량 등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오징어 젓갈의 총질소량은 발효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이에 따라 총 유리아미노산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 Peptides from Fermented Goat Placenta

  • Hou, Yinchen;Zhou, Jiejing;Liu, Wangwang;Cheng, Yongxia;Wu, Li;Yang, Gongmi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769-776
    • /
    • 2014
  • The goat placenta was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and the optimal fermentation parameters of strongest antioxidant capacity of peptides were obtained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effects of fermentation time, initial pH value and glucose content on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of the goat peptides were well fitted to a quadric equation with high determination coefficients.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of design expert, the strongest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value was obtained with the following conditions: content of glucose was 2.23%, initial pH value was 7.00 and fermentation time was 32.15 h. The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commonly referring antioxidant activity showed a concentration dependency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peptide concentration.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pH were assessed to determine the stability of antioxidant peptides prepared from goat placenta. Antioxidant peptides showed good stabilities when temperature was lower than $70^{\circ}C$. However, the antioxidant peptides lost antioxidant activities rapidly under alkaline and excessive acid condition. Ultrafiltration technique was performed to separate fermentation broth with different Mw (molecular weight). It was found that peptides in the range of < 3 KDa mainly accounted for the antioxidant activities.

Growth and Cyanide Degradation of Azotobacter vinelandii in Cyanide-Containing Wastewater System

  • Koksunan, Sarawut;Vichitphan, Sukanda;Laopaiboon, Lakkana;Vichitphan, Kanit;Han, Jaeh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4호
    • /
    • pp.572-578
    • /
    • 2013
  • Azotobacter vinelandii, a strict aerobic nitrogen-fixing bacterium,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with regard to the ability of $N_2$-fixation due to its high expression of nitrogenase and fast growth. Because nitrogenase can also reduce cyanide to ammonia and methane, cyanide degradation by A. vinelandii has been studied for the application in the bioremediation of cyanide-contaminated wastewater. Cyanide degradation by A. vinelandii in NFS (nitrogen-free sucrose) medium was examined in terms of cell growth and cyanide reduction, and the results were applied for cyanide-contaminated cassava mill wastewater. From the NFS medium study in the 300 ml flask, it was found that A. vinelandii in the early stationary growth phase could reduce cyanide more rapidly than the cells in the exponential growth phase, and 84.4% of cyanide was degraded in 66 h incubation upon addition of 3.0 mM of NaCN. The resting cells of A. vinelandii could also reduce cyanide concentration by 90.4% with 3.0 mM of NaCN in the large-scale (3 L) fermentation with the same incubation time. Finally, the optimized conditions were applied to the cassava mill wastewater bioremediation, and A. vinelandii was able to reduce the cyanide concentration by 69.7% after 66 h in the cassava mill wastewater containing 4.0 mM of NaCN in the 3 L fermenter. Related to cyanide degradation in the cassava mill wastewater, nitrogenase was the responsible enzyme, which was confirmed by methane production. These findings would be helpful to design a practical bioremediation system for the treatment of cyanide-contaminated wastewater.

전분질계 바이오매스의 동시당화발효 조건 최적화 (The Optimum Condition of SSF to Ethanol Production from Starch Biomass)

  • 나종분;김준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5호
    • /
    • pp.858-862
    • /
    • 2008
  • 분리 당화발효(Separate Hydrolysis and Fermentation, SHF)는 당화와 발효공정을 따로 수행하는 방법으로 최종 생성물인 글루코오스에 의해 억제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반응에 진행됨에 따라 축적된 글루코오스의 농도가 높아지면 반응이 종결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효소의 양을 늘리는 방법이 있지만, 효소의 생산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경제적인 방법이 될 수 없다. 이러한 분리 당화발효 공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동시당화발효 공정(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SSF)은 하나의 반응기에서 당화와 발효를 동시에 수행한다. 동시당화발효 공정에서는 당화과정에서 글루코오스가 생성되자마자 효모가 발효과정을 통해 글루코오스를 바로 제거하기 때문에 반응기내에서 당의 축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동시당화발효 공정은 최종 생성물의 억제 작용을 방지할 수 있고, 효소의 가수분해 반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시당화발효에서 에탄올의 수율에 관여하는 조건들(pH, 반응온도, 효소 투입량, 반응시간)의 최적 조건을 찾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질로는 감자전분을 사용하였고, 효소는 glucoamylase, 균주는 Saccharomyces cerevisiae가 각각 사용되었다. 동시당화발효의 최적의 조건은 pH 4, 온도 38로 나타났다. 최적의 조건으로 감자전분을 동시당화발효하였을 때 반응 18시간 후에 에탄올은 최대 수율 86%에 도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