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moral neck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35초

다발성 섬유성 이형성증에서 근위 대퇴골두 침범 여부에 따른 변형 정도 (Study of Deformity by the Involvement of the Femoral Head of the Proximal Femur in Polyostotic Fibrous Dysplasia)

  • 나보람;정성택;조용진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519-527
    • /
    • 2019
  • 목적: 다발성 섬유성 이형성증에서 대퇴골두의 침범 부위 정도에 따라 분류하여 변형 정도를 분석하고 치료 경과에 대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7년 3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 내원한 23명의 환자를 후향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퇴골두 침범 부위에 따라 대퇴골두의 골단판 반흔 및 성장판을 침범하지 않은 Type I, 골단판 반흔 및 성장판을 침범한 Type II로 구분하였다. 단순방사선 촬영을 통해 대퇴경간각 및 비구-전자간 거리를 측정하였으며 측면사진을 통해 전방만곡을 측정하였다. 하지의 teleoroentgenogram을 통해 하지부동 및 하지 역학축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골스캔을 통해 하지병변의 위치와 변형을 확인하였다. 변형 교정 및 골절 치료를 위한 내고정술 전후의 대퇴경간각, 비구-전자간 거리를 비교하여 수술 후 교정의 소실 정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총 23명(46하지) 중 23명(28하지)에서 근위 대퇴부에 병변이 있었다. Type I은 15/23명(16/28하지), Type II는 9/23명(12/28하지)이었다. 근위 대퇴골의 술 전 대퇴경간각은 Type I에서 116.8도, Type II에서 95.3도를 보였고, 비구-전자간 거리는 Type I에서 12.08 mm, Type II에서 -5.54 mm를 보여 Type II에서 의미 있게 변형이 심하였다. 수술 직후 변형 교정에 뚜렷한 호전을 보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Type II의 경우 변형 교정이 소실됨을 보였다(대퇴경간각 Type I: 133.8-130.8도, Type II: 128.6-116.9도, 비구-전자간 거리 Type I: 17.66-15.72 mm, Type II: 7.44-4.16 mm). 전방 만곡은 Type I에서 평균 12.74도, Type II에서 평균 20.19도를 보였다. 실제 하지부동을 보인 총 9명에서 평균 12 mm 의 차이를 보였으며, 하지 역학축은 술 전을 기준으로 외측 편위 4하지, 내측 편위 7하지를 보였다. 결론: 다발성 섬유성 이형성증에서 대퇴골두를 침범한 경우 대퇴경간각 및 비구-전자간 거리, 대퇴골의 전방 만곡에서 훨씬 심한 변형을 보이고 수술 후 변형 교정의 소실 양상을 보여 병변의 대퇴골두 침범 여부가 환자의 예후에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내외반 변형뿐만 아니라 전방 만곡 등의 측면상의 변형 및 하지 역학축, 하지부동 등 전반적인 하지의 정렬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DXA측정기 종류에 따른 요추부와 대퇴경부 골밀도 값의 측정오차 비교 (Comparison Measurement Error of T-score Between Lumbar and Femoral Neck According to Kind of DXA)

  • 한범희;정홍량;임청환;이혜남;정천수;이상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50-257
    • /
    • 2010
  • 본 연구는 골밀도측정기 Norland와 Osteocore, Lunar 세 기종을 이용하여 각각 100명씩 총 300명을 대상으로 신체특징 중 연령, 신장, 체중으로 구분하여 측정오차를 비교분석하였으며, 요추부와 대퇴경부를 각각 정상(T-score$\geqq$-1.0), 골감소증(-1.0>T-score>-2.5), 골다공증(T-score>-2.5)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그룹에서 측정오차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령과 신장에서 Norland측정기가 측정오차의 변화가 가장 적었으며, 체중에서는 Lunar측정기가 측정오차의 변화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요추부를 기준으로 골밀도 측정오차를 비교한 결과 Lunar, Norland, Osteocore 세 기종 모두 골감소증에서 측정오차의 변화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퇴경부를 기준으로 골밀도 측정오차를 비교한 결과 Lunar, Norland, Osteocore 세 기종 모두 골다공증에서 측정 오차의 변화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에 있어서 기종 마다 측정오차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공통 Phantom을 사용하여 각 회사의 측정치를 환산 비교하고, 소프트웨어의 교체에 따른 상호보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Deer Antler, Old Antler, and Antler Glue on Osteoporosis in Ovariectomized Rats

  • Park, Hae In;Lee, Kwang Ho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5권1호
    • /
    • pp.21-27
    • /
    • 2018
  • Background: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deer antler, old antler, and antler glue on postmenopausal osteoporosis in an ovariectomized Sprague-Dawley rat model. Methods: The study involved 7 experimental groups; SHAM (sham-operated rats), OVX (ovariectomized rats), E2 (ovariectomized rats with estradiol $10{\mu}g/kg$ daily, orally), DA (ovariectomized rats with deer antler extract 5.83 mg/kg), OA (ovariectomized rats with old antler extract 3.8 mg/kg), low-AG (ovariectomized rats with low dose of antler glue powder 12.5 mg/kg), high-AG (ovariectomized rats with high dose of antler glue powder 37.5 mg/kg). After 6 weeks of treatment, body weight, blood calcium, phosphorus, estradiol, liver [alkaline phosphatase (ALP), aspartate transaminase (AST), alanine transaminase (ALT)] and kidney [blood urea nitrogen (BUN)/creatinine ratio] function, and femoral bone mineral density (BMD) were measured. Results: The body weights of DA, OA, low-AG, and high-AG group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OVX group. Blood estradiol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DA, low-AG, and high-AG groups compared to the OVX group. Blood calcium, phosphorus, ALP, AST, and ALT levels and BUN/creatinine ratio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in the DA, OA, low-AG, and high-AG groups. BMDs of the femur, and femoral head and neck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ow-AG group. In the OA group, the BMD of the femoral head and neck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 Treatment with deer antler, or antler glue for 6 weeks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estradiol and femoral BMD in ovariectomized rats, suggesting that this may be of therapeutic benefit for osteoporosis.

걷기운동 및 근육강화운동이 류마티스 관절염 여성환자의 대퇴골 및 요추골 골밀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Brisk Walking and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on Bone Mineral Density of the Lumbar and Femur in Rheumatoid Arthritis Women)

  • 이은남;정원태;이성원;황은정;민혜숙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94-308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 of brisk walking &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on bone mineral density(BMD) of the lumbar & femur in rheumatoid arthritis women. Research design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16 weeks). 14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14 for the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rom the outpatients on rheumatoid arthritis clinic of Dong-A University Hospital.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16 weeks of brisk walking and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Bone mineral density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16 weeks of exercise by DXA at lumbar spine, femoral neck, Ward's triangle and trochanter.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BMD of the lumbar spine in experimental group who carried out the brisk walking and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6week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U=70.00 p>.05). 2. BMD of the femoral neck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carried out the brisk walking and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6 weeks(Z=-2.901 p<.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U=83.00 p>.05). 3. BMD of the femoral Ward's triangl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carried out the brisk walking and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6 weeks (Z=-2.355 p<.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U=86.00 p>.05). 4. BMD of the femoral trochanter in experimental group who carried out the brisk walking and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6week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U=75.00 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brisk walking and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has an effect on promoting bone mineral density of femoral neck and Ward's triangle in rheumatoid arthritis women.

  • PDF

폐경 전.후 여성의 골밀도 및 골대사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Associ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Bone Turnover Markers, and Nutrient Intake i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 박지연;최미연;이선희;최윤호;박유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4권1호
    • /
    • pp.29-40
    • /
    • 2011
  • 본 연구는 서울 소재 대학병원에서 건강검진을 한 폐경 전 (283명)과 폐경 후 (143명) 여성 총 431명을 대상으로 골밀도, 골대사지표, 여성호르몬 및 영양소와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48.4세였고, 폐경 후 여성의 평균 폐경 나이는 50.3세였으며, 폐경 후 경과기간은 5.17년 이었다. 대상자의 평균 신장 체중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체지 방률은 각각 159.2 cm, 55.6 kg, 74.4 cm, $21.9\;kg/m^2$, 29.1% 이었으며, 폐경 후 여성의 나이, 신장, 허리둘레, BMI, 체지방률이 폐경 전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p < 0.001, p < 0.001, p < 0.01, p < 0.001). 평균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은 각각 113.5 mmHg, 69.4 mmHg었으며 폐경 후 여성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01, p < 0.01). 연구 대상자의 골 밀도를 살펴본 결과 폐경 후 여성이 폐경 전 여성보다 요추, 대퇴경부, 대퇴전체 골 밀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고 (p < 0.001) OC, CTx, ALP 지표는 폐경 전 여성보다 폐경 후 여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01). 평균 열량 섭취량은 폐경 전 여성 1,679.4 kcal, 폐경 후 여성 1,621 kcal로 권장량의 93.2%, 90.05%이었으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섭취량의 에너지 기여 비율은 각각 58 : 18 : 24, 61 : 18 : 21 이었다, 단백질, 지방, 콜레스테롤 섭취량이 폐경 전 여성보다 폐경 후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p < 0.001, p < 0.001). 일반 영양소 섭취량 중에서 특히 칼륨 섭취량 (폐경 전 후 여성의 칼륨 섭취량은 권장량의 66.69%, 71.54%)이 권장량에 많이 부족한 반면 나트륨 섭취량 (폐경 전 후 여성의 나트륨 섭취량은 권장량의 226.8%, 216.5%)은 권장량보다 훨씬 높았으며 섬유소, 칼륨의 섭취량은 폐경 전 여성이 폐경 후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 < 0.05, p < 0.05). 폐경 전 여성은 요추 골 밀도와 칼륨 섭취량 사이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폐경 후 여성에서는 요추 골 밀도와 칼슘 섭취량사이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CTx와 열량, 지방, 탄수화물, 철분, 칼륨, 비타민 A, 베타카로틴, 나이아신, 엽산, 섬유소 섭취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OC와 나이아신 섭취량 사이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요추골 밀도는 단백질, 지방, 칼슘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FSH 또한 지방, 나이아신 섭취량 사이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폐경 전과 폐경 후 여성에서 골 표지자인 OC, CTx, ALP 지표는 골 밀도와 여성 호르몬 농도와 연관되어, 체내의 골 대사에 관련된 중요한 중재자의 하나임을 재확인하였고, 골 밀도를 예측하는 인자는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폐경 전 여성에서 체중, BMI, 폐경 후 여성에서는 칼슘 섭취량, 나이 등이 다른 인자들보다 중요도 및 예측에 있어 상대적인 영향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영양 섭취 상태는 폐경 전과 폐경 후 여성에서 열량 섭취는 권장량과 비교하였을 때 양호한 편이었으나 그에 반해, 칼륨, 칼슘 섭취는 부족, 나트륨은 과잉 섭취를 하고 있었다. 따라서 폐경 후 골다공증을 예방하고 골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골 밀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 혈청 칼슘의 충분한 섭취와 적절한 체중유지가 중요하며 반대로 부정적 영향을 미친 나트륨 섭취 감소는 골밀도의 감소를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제안한다.

초기 허혈성 대퇴골두 괴사증을 보이는 개에서 임상학적, 수술적, 방사선학적, 컴퓨터단층촬영, 조직학적 소견 (Early Stage Legg-Calve-Perthes Disease in a Dog: Clinical, Surgical, Radiological, Computed Tomography and Histological Findings)

  • 탁민애;윤헌영;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66-370
    • /
    • 2013
  • 7개월령 암컷 포메라니안견이 오른쪽 후지 파행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내원시 신체 검사에서 오른쪽 대퇴 관절을 신장하였을 때 통증을 호소하였고 일반 방사선 사진에서 오른쪽 대퇴골두에 미약한 방사선 투과성 병변과 오른쪽 대퇴관절 공간의 확장을 확인하였다. 14일 후 일반 방사선 사진에서 오른쪽 대퇴골두 골단의 변위를 확인하였고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오른쪽 대퇴골두에 저음영의 병변과 골절선을 확인하였다. 오른쪽 대퇴골두 절제술을 실시하였고 조직학적 검사에서 골두 골간단과 골단의 괴사를 확인하였다. 본 증례는 초기 허혈성 대퇴골두 괴사증이 있는 개의 방사선학적, 컴퓨터단층촬영, 수술적, 조직학적 소견을 기술하였다.

컴퓨터 응용 인공고관절 모사 시술 방법 연구 (A Study on Computer Aided Surgical Simulation Method for Total Hip Arthroplasty)

  • 김상후;한승무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455-464
    • /
    • 2004
  • 현재 인공고관절 전치환 수술 과정의 높은 난이도 때문에 숙련된 의사의 경험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비구컵과 대퇴 임플란트의 위치 선정은 수술의 성공 여부와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아직까지는 의사의 눈대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인공삽입물(비구컵, 대퇴시스템) 삽입의 정확성이 낮아서 재치환술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환자 골반골(pelvis)과 대퇴골(femur)의 3차원적인 고유 기하학적 정보를 이용하는 모사 시술을 통하여 비구컵과 대퇴 임플란트의 정확한 위치를 선정하는 방법을 결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비구컵의 위치 변화에 따른 대퇴 전염각 및 대퇴 경간각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고 또한 대퇴 임플란트의 삽입 위치에 따른 대퇴스템 경부 길이 및 대퇴스템각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양한 모사 시술을 통한 기하학적 정보의 분석 결과 비구컵과 대퇴 임플란트의 정확한 위치 선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모사 시술 방법을 이용하여 의사가 인공고관절 수술을 선행한다면 수술의 정확도와 숙련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골다공증의 유병률과 위험인자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심윤수;이진화;류연주;천은미;장중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3호
    • /
    • pp.186-191
    • /
    • 2009
  • 연구배경: 골다공증은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중요한 동반질환 중 하나이다. 저자들은 COPD 환자에서 골다공증의 유병률과 위험인자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안정 상태인 COPD 환자 51명과 이들과 나이와 성별을 일치시킨 대조군 41명에서 요추골과 대퇴골의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임상기록과 검사결과를 검토하여, COPD 환자에서 골다공의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결 과: COPD 환자에서, T점수가 -2.5 이하인, 골다공증의 유병률은 47%였고, 대조군에서 32%였다. 특히 대퇴골목의 T점수를 기준으로 한 골다공증의 유병률은 COPD 환자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26% vs. 5%; p=0.006). COPD 환자의 요추와(p=0.025) 대퇴골목의 평균 T 점수는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01). COPD 환자에서 $FEV_1$의 정상예측치에 대한 비율과(p=0.019; odds ratio [OR], 0.955; 95% confidence interval [CI], 0.919-0.993) 연령이 골다공증 발생과 관련된 독립적인 위험인자였다(p=0.024; OR, 1.144; 95% CI, 1.018-1.287). 결 론: COPD 환자에서 골다공증의 유병률은 연령과 성별을 일치시킨 대조군보다 높다. 특히 대퇴골의 T점수가 요추보다 COPD 환자와 대조군의 골밀도의 차이를 더 분명하게 보여 주었다. COPD 환자에서 $FEV_1$이 낮을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골다공증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

맞춤형 인공관절 설계를 위한 인체 고관절의 3차원 형상 정보 추출 (Extracting 3D Geometry Parameters of Hip Joint for Designing a Custom-Made Hip Implant)

  • 서정우;전용태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200-208
    • /
    • 2008
  • Total Hip Replacement(THR) is a surgical procedure that replaces a diseased hip joint with a prosthesis. A plastic or metal cup forms the socket, and the head of the femur is replaced by a metal ball on a stem placed inside the femur. Due to the various types and shapes of human hip joint of every individual, a selected commercial implant sometimes may not be the best-fit to a patient, or it cannot be applied because of its discrepancy. Hence extracting geometry parameters of hip joint is one of the most crucial processes in designing custom-made implants. This paper describes the framework of a methodology to extract the geometric parameters of the hip joint. The parameters include anatomical axis, femoral head, head offset length, femoral neck, neck shaft angle, anteversion, acetabulum, and canal flare index. The proposed system automatically recommends the size and shape of a custom-made hip implant with respect to the patient's individual anatomy from 3D models of hip structures. The proposed procedure creating these custom-made implants with some typical examples is precisely presented and discussed in this paper.

한국인 남성 운동선수군에서 Osteocalcin 유전자의 C298T 다형성의 분포와 골밀도와의 관계 (The Distribution of C298T Polymorphism in the Oseteocalcin Gene from Korean Male Athletes and its Association with Bone Mineral Density)

  • 정인근;강병용;김지영;오상덕;하남주
    • 약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6-32
    • /
    • 2006
  • Osteocalcin is a vitamin K dependent and bone specific protein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bone and calcium metabolism.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298T polymorphism in the osteocalcin gene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in Korean young men and their interaction with physical activity. BMDs of the femoral neck and lumbar spine were measured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and the C298T polymorphism in the osteocalcin gene determined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HindIII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method. We did not observ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emoral neck and lumbar spine BMDs across genotypes of this polymorphism in controls, athletes or combined groups, respectively (P>0.05). Therefore, our data suggest that the C298T polymorphism in the osteocalcin gene is not a suitable genetic marker for the susceptibility to BM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