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male Cancer Patients

검색결과 866건 처리시간 0.048초

원발성 폐암 154례에서의 수술율 및 술후 생존 (An Analysis of the 154 Cases of Lung Cancer)

  • 손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0권1호
    • /
    • pp.81-91
    • /
    • 1987
  • During the period of 10 years from July, 1976 to July, 1986, 154 cases of primary carcinoma of the lung - by the cell type, stage, operability, and survival rate in the resectable cases - are analyzed at the Dept. of Thoracic Surgery, Paik Hospital in Seo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Histopathological types are squamous cell carcinoma 49% [76 cases], adenocarcinoma 25% [39 cases], undifferentiated large cell carcinoma 9% [14 cases], undifferentiated small cell carcinoma 6% [9 cases], bronchioloalveolar carcinoma 4% [6 cases] and adenosquamous carcinoma 3% [4 cases]. 2] Peak incidence is observed in the 4th decade of life [33%], then 5th [29%] and 3rd [21%] respectively. Male to female ratio is 4 to 1. 3] Evidence of inoperability is observed in 64% [99 cases] by clinical staging workup. Thirty six percent [55 cases] were operated. Of these, post-surgical stage I was 5% [3 cases], stage II, 64% [35 cases] and stage III, 31% [17 cases]. Among total 17 cases of stage III, 14 cases were unresectable with evidence of T2N2M0, while 3 cases were resectable. Resectability is 27%, [41 cases] from the total number of 154 cases. And the resectability for the ex 55 cases is 75% [41 cases]. 4] By cell type, highest resectabitity is the squamous cell carcinoma, 49% [20 cases]. Adenocarcinoma is 32% [13 cases] and bronchioloalveolar, 12% [5 cases]. 5] Survival rate is evaluated for 38 cases of 41 resectable stage I, II and III. Overall 5 year survival rate is 24%, 3 year 32% and 10 year 8%. Survival rate in stage II for 5 year is 25%. In squamous cell type for, 5 year is 42%. Authors believe when surgeons continuous effort of early detection is met with patients early visit, 5 year survival rate for the stage I K II resectable patients will improve more effectively. As well, When the efforts are added to combined modality with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for the stage III selected cases of non-small cell carcinoma patients, the enhancement in survival rate is expected.

  • PDF

전이성 폐암에서 수술 후 장기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Long Term Survival after Operation in Metastatic Lung Cancer)

  • 홍기표;정경영;김길동;박인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0호
    • /
    • pp.916-923
    • /
    • 1999
  • Background: Many institutes are interested in lung metastatectomy than before because of the improved long term survival, low mortality, and low morbidity after lung metastatectomy. However,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long term survival are controversial. We attempt to analyze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retrospectively by comparing the results of lung metastasectomy. Material and Method: Between Jan. 1990 and Dec. 1997, 74 operations were taken in 63 patients with pulmonary metastases in various primary sites. We analyzed the postoperative long term survival according to sex, cell type, laterality, disease free interval(DFI), operation, the number of metastases, and the size of the largest metastasis. Result: There were 27 male and 36 female patients. Sex did not appeared to affect survival time(p=0.849). The primary tumor was carcinoma in 32, sarcoma in 28, and others in 3. Cell type, considering carcinoma and sarcoma, did not relate to survival time(p=0.071). DFI had no influence on the outcome(p=0.902). The type of operative procedure had no influence on the outcome(p=0.556). The laterality of metastases, 47 unilateral(74.6%) and 16 bilateral(25.4%), had no influence on the outcome(p=0.843). The number of metastases excised(one, two or three, four or more) did not appear to affect survival(p=0.263). The size of largest metastasis(<=10mm, 11mm-30mm, and >30mm) did not appear to affect survival(p=0.751). Previous factors were evaluated in both the carcinoma and sarcoma patients respectively. DFI was the on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in metastatic lung sarcoma(p=0.0026). Conclusion: Survival was not related to sex, cell type, laterality, DFI, operative procedure, number of metastases, nor the size of the largest metastasis. DFI was related to the survival time in sarcoma group but further study is needed.

  • PDF

한국, 미국, 일본의 식도암 방사선 치료에 대한 PCS($1998{\sim}1999$) 결과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Patterns of Care Study of Radiotherapy for Esophageal Cancer among Three Countries: South Kore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 허원주;최영민;김정기;이형식;최석렬;김일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2호
    • /
    • pp.83-90
    • /
    • 2008
  • 목적: 식도암의 방사선 치료에 대해 최초로 시행한 한국의 PCS의 결과를 토대로 미국, 일본에서 시행한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식도암 환자들의 특징, 진단 및 치료방침의 차이를 파악해 향후 범 국가적으로 활용할 시스템의 구축에 응용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국내의 21개 병원의 방사선 종양학과에서 1998-1999년 동안 식도암으로 확진 된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총 2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결과를 미국 59개 병원에서 식도암 환자 414명을 연구한 PCS 결과(Suntharalingam)와 비교 하였다. 또 일본의 76개 병원에서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받았거나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제치료를 함께 받은 수술 군 환자 220명(Gomi), 수술을 받지 않고 방사선 치료만 시행하였거나 방사선 치료와 항암제치료를 함께 시행한 비 수술 군 환자 385명(Murakami)을 대상으로 시행한 PCS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일본의 비 수술 군이 가장 높았다(71세). 한국과 일본은 남성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았지만(9:1) 미국은 여성의 발생률이 23.1%였다. 한국과 일본은 편평상피세포암이 압도적으로 많았지만(한국 96.3%, 일본 98%) 미국은 선암이 더 많은 양상을 보였다(49.6%). 병기결정을 위한 검사는 식도 내시경, 흉부 컴퓨터 단층촬영, 식도조영술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미국과 일본은 복부 컴퓨터단층촬영을 복부 초음파보다 더 자주 시행하였다. 치료방침을 분석한 결과 방사선 단독치료의 비율은 한국이 23.2%, 일본이 39%인데 반해 미국은 9.5%에 불과하였다. 수술과 방사선 및 항암치료를 병용한 빈도는 미국(32.8%)과 일본(49.5%)이 한국(11.8%)보다 높았다. 식도암 치료에 있어서 항암제 치료는 미국이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되어졌고(89%) 동시항암방사선 치료도의 빈도도 미국이 가장 높았다(97%). 항암치료제는 3개국 모두에서 cisplatin과 5-FU를 가장 선호하였다. 방사선 조사량은 한국 55.8 Gy, 미국 50.4 Gy였고 일본은 수술 군(48 Gy)과 비 수술 군(60 Gy)이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한국, 미국, 일본에서 시행된 식도암 환자의 PCS 결과를 분석하여 환자 및 종양의 특징, 진단 및 치료 방침에 다소간의 상이점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방사선 조사량과 조사야 수, 방사선치료 에너지의 종류 등 방사선 기술적인 부분은 3개국 모두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PET)을 이용한 식도암 환자의 병기 결정 -전산화단층촬영술(CT)과의 비교- (Staging of Esophageal Cancer Usin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Comparing to Computed Tomography)

  • 심영목;박승준;김병태;김성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388-393
    • /
    • 1999
  • 배경: 식도암 치료에 있어서 수술전 병기 결정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절제 가능성을 알기 위해서 흉부 단층 촬영과 내시경등 여러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어떤 검사도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식도암 환자의 병기 결정에 있어서 양전자방출단층촬영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10월까지 내시경을 통한 조직 검사상 식도 편평 상피암으로 확진된 20명(남 19명, 여 1명, 평균연령 61세)의 환자에서 림프절절제를 포함한 근치적 절제를 시행한 후, 수술전 [F-18]FDG-PET 및 CT 소견과 수술 후 조직 병리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과: 원발 종양 진단에 대한 PET와 CT의 민감도는 90%로 동일하였다. PET와 CT 모두 1 cm 크기의 상피내암종 1예와 T1 병기의 종양 1예에 대하여 위음성을 보였다. 총193개의 절제된 림프절군에 대한 병리 조직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PET와 CT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를 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chi$2 p < 0.005)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 PET 55.6%(30/54) 97.1%(135/139) 85.5%(165/193) CT 13.0%(7/54) 98.6%(137/139) 74.6%(144/193) PET에서 위양성 림프절 전이를 보였던 4명중 1명의 환자는 활동성 폐결핵을 동반한 환자였으며, PET에서 위음성을 보였던 24개의 림프절군중 14개는 감쇠보정을 실시하지 않은 부위에, 5개는 원발 종양과 근접한 부위에 있었다. 결론: PET에서 위양성 림프절 전이를 보였던 4명중 1명의 환자는 활동성 폐결핵을 동반한 환자였으며, PET에서 위음성을 보였던 24개의 림프절군중 14개는 감쇠보정을 실시하지 않은 부위에, 5개는 원발 종양과 근접한 부위에 있었다. 결론: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F-18]FDG-PET는 식도암의 림프절 전이 및 병기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CT의 결점을 보완할 수 있는 유용한 진단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두통 초진 환자에서 신경영상검사 소견 (Neuroimaging Findings of First-Visit Headache Patients)

  • 김병수;김수경;김재문;문희수;박광렬;박정욱;손종희;송태진;주민경;차명진;김병건;조수진
    • 대한신경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94-301
    • /
    • 2018
  • Background: Neuroimaging can play a crucial role in discovering potential abnormalities to cause secondary headache. There has been a progress in the fields of headache diagnosis and neuroimaging in the past two decades. We sought to investigate neuroimaging findings according to headache disorders, age, sex, and imaging modalities in first-visit headache patients. Methods: We used data of consecutive first-visit headache patients from 9 university and 2 general referral hospitals.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 third edition, beta version was used in headache diagnosis. We finally enrolled 1,080 patients undertook neuroimaging in this study. Results: Among 1,080 patients (mean age: $47.7{\pm}14.3$, female: 60.8%), proportions of headache diagnosis were as follows: primary headaches, n=926 (85.7%); secondary headaches, n=110 (10.2%); and cranial neuropathies and other headaches, n=43 (4.1%). Of them, 591 patients (54.7%) receiv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Neuroimaging abnormalities were found in 232 patients (21.5%), and their proportions were higher in older age groups and male sex. Chronic cerebral ischemia was the most common finding (n=88, 8.1%), whereas 76 patients (7.0%) were found to have clinically significant abnormalities such as primary brain tumor, cancer metastasis, and headache-relevant cerebrovascular disease. Patients underwent MRI were four times more likely to have neuroimaging abnormalities than those underwent computed tomography (33.3% vs. 7.2%, p<0.001).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findings of neuroimaging differed according to headache disorders, age, sex, and imaging modalities. MRI can be a preferable neuroimaging modality to identify potential causes of headache.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한 위암의 치료 (Treatment of Stomach Cancer Involving Esophagogastric Junction)

  • 이종목;백희종;박종호;임수빈;조재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2호
    • /
    • pp.930-936
    • /
    • 2001
  • 배경 : 식도-위 경계부위에 발생되는 암의 원발병소에는 하부식도의 편평상피세포암, 바렛씨 식도에서 발생한 선암, 위의 분문부에서 발생한 선암, 그리고 상부 위암에서 하부식도를 침범하는 경우들이 있다. 이중 국내에서는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하는 선암의 대부분은 상부위암의 경계부 침범으로 생각된다. 대상 및 방법 : 저자등은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하는 위암중 1988년부터 1999년까지 원자력병원에서 수술적 절제를 시행받은 환자를 조사하였다. 결과 : 총 212명이 수술을 받았고 남녀비는 156:56 이었다. 나이는 22세에서 78세였고 정중복부절개, 좌 우 흥부절개 및 복부절개, 그리고 흉-복부 동시절개 등이 이용되었다. 술후 병기는 IA가 7명, IB가 11명, II가 26명, IIIA가 75명, IIIB가 35명, 그리고 IV기가 58명 이었다. 199명에서 근치적 절제를 할 수 있었고 200명에서 위의 전절제를 시행하였다. 164례 에서 하부식도의 침습이 있었다(77.4%). 74.1%는 복부 임파절에 전이가 있었고 17례(8%)에서 종격동 임파절의 침범이 있었다. 수술 사망률은 3.3%였고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은 35%였다. 결론 : 또 여러 가지 수술 접근방법이나 수술시 고려해야 할 점들이 많지만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한 위암의 수술시 충분한 절제길이와 적절한 임파절의 절제를 위하여 흉부 및 복부의 동시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국소성 소세포 폐암에 대한 복합화학요법 및 방사선 병용치료의 효과 (The Result of Combined Modality Treatment for Limited Stage Small Cell Lung Cancer)

  • 김재철;장양숙;류삼열;박인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7권2호
    • /
    • pp.205-211
    • /
    • 1989
  • 1984년 7월부터 1988년 9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되어 복합화학요법 및 방사선 병용치료를 받은 27명을 대상으로 치료성적을 분석하였다. 완전관해율은 $70\%$, 부분관해율은 $22\%$, 무반응은 $8\%$였다. 여자, 수행상태 HO, 방사선량 4500cGy이상, 화학요법 4회 이상, 그리고 혈청 enolase수치 30ng/m1 이하 등에서 완전관해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중앙생존기간은 10개월이었고 1년생존율과 2년 생존율은 각각 $40.7\%$$12.2\%$였다. 생존율을 높이는 인자로는 수험상태 HO (p<005), 완전관해 (p<0.05), 하학요법 4회 이상(p<005), 방사선량 4500 cGy이상 등으로 나타났으며, 성별과 예방적 전뇌조사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대퇴골 근위부 악성 골종양 환자에서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Limb Salvage Surgery with Tumor Prosthesis for the Malignant Bone Tumors Involving the Proximal Femur)

  • 전영수;백종훈;이승혁;이충환;한정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3
    • /
    • 2014
  • 목적: 대퇴골 근위부에 발생한 악성 골 종양의 치료로 사지 구제술을 시행하는 경우 환자의 생존과 더불어 술 후 보행 등의 기능회복이 중요하다. 대퇴골 근위부의 악성 골 종양에 의한 통증 또는 병적 골절이 발생한 환자에 대하여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시행 후 임상 결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대퇴골 근위부 악성 골 종양을 진단 받고 통증 또는 병적 골절이 발생하여 대퇴골 근위부 절제술 및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을 시행한 20예(19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3.1세(범위 35-86세)였으며 남자가 14예, 여자가 6예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0개월(1-94개월)이었고, 전이성 골 종양 15예, 골육종 4예, 다발성 골수종 1예였으며, 전이성 병변의 원발 암은 폐암 4예, 간암 3예, 신장암 3예였고, 유방암, 갑상선암, 대장암, 전립선암, 악성 방추 세포암이 각각 1예씩 이었다. 사용된 종양 대치물은 모두 조립형 종양 대치물로 Kotz's$^{(R)}$ Modular Tumor prosthesis (Howmedica, Rutherford, New Jersey)가 3예에서 사용되었고, MUTARS$^{(R)}$ proximal femur system (Implantcast, Munster, Germany)이 17예에서 사용되었다. 수술 전 후의 동통 정도를 Visual Analogue Scales(VAS)로 평가하였으며, 술 후 하지의 기능적 평가를 위해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score(MSTS) grading system 을 이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20예(19명) 중 11예(10명)가 생존하고 9예(9명)가 사망하였으며 사망한 환자의 술 후 평균 생존기간은 10.1개월(1-38개월) 이었다. VAS 점수는 술 전 평균 8.40점(5-10점)에서 술 후 평균 1.35점(0-3점)으로 호전 되었고, 수술 후 MSTS 기능적 평가는 평균 19.65점(65.50%) (7-28점)이었다.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으로는 국소 재발 2예, 혈종 3예, 감염 3예, 음낭 종창 2예, 탈구 1예였고 치환물 주위 골절이나 해리는 없었다. 결론: 대퇴골 근위부에 발생한 악성 골 종양에 의한 통증 또는 병적 골절이 발생한 경우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은 조기의 통증 감소 및 기능 회복을 위한 적절한 치료로 생각된다.

Chemotherapy-Related Cardiac Dysfunction: Quantitative Cardiac Magnetic Resonance Image Parameters and Their Prognostic Implications

  • Jinhee Kim;Yoo Jin Hong;Kyunghwa Han;Jin Young Kim;Hye-Jeong Lee;Jin Hur;Young Jin Kim;Byoung Wook Choi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9호
    • /
    • pp.838-848
    • /
    • 2023
  • Objective: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cardiac magnetic resonance imaging (CMR) characteristics of chemotherapy-related cardiac dysfunction (CTRCD) and explore their prognostic value for major adverse cardiovascular events (MACE).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45 patients (male:female = 76:69, mean age = 63.0 years) with cancer and heart failure who underwent CMR between January 2015 and January 2021 were included. CMR was performed using a 3T scanner (Siemens). Biventricular functions, native T1 T2, extracellular volume fraction (ECV) values, and late gadolinium enhancement (LGE) of the left ventricle (LV) were compared between those with and without CTRCD. These were compared between patients with mild-to-moderate CTRCD and those with severe CTRCD.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MR parameters and MACE occurrence during follow-up in the CTRCD patients. Results: Among 145 patients, 61 had CTRCD and 84 did not have CTRCD. Native T1, ECV, and T2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TRCD group (1336.9 ms, 32.5%, and 44.7 ms, respectively) than those in the non-CTRCD group (1303.4 ms, 30.5%, and 42.0 ms, respectively; P = 0.013, 0.010, and < 0.001, respectively). The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atients with mild-to-moderate and severe CTRCD. Indexed LV mass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CTRCD group (65.0 g/m2 vs. 78.9 g/mm2; P < 0.001). According to the multivariable Cox regression analysis, T2 (hazard ratio [HR]: 1.14, 95% confidence interval [CI]: 1.01-1.27; P = 0.028) and quantified LGE (HR: 1.07, 95% CI: 1.01-1.13; P = 0.021)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MACE in the CTRCD patients. Conclusion: Quantitative parameters from CMR have the potential to evaluate myocardial changes in CTRCD. Increased T2 with reduced LV mass was demonstrated in CTRCD patients even before the development of severe cardiac dysfunction. T2 and quantified LGE may b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MACE in patients with CTRCD.

p53 유전자 돌연변이에 따른 유방암의 위험 요인 구명을 위한 환자-대조군 연구 (A Case-control Study for Assessment of Risk Factors of Breast Cancer by the p53 Mutation)

  • 김헌;안세현;이무송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1호
    • /
    • pp.15-26
    • /
    • 1998
  • p53 돌연변이 여부에 따른 유방암의 위험 인자를 찾아내고, p53 유전자 돌연변이가 유방암 발생에 관여하는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3년 1월부터 1994년 11월 사이에 서울중앙병원에서 유방암으로 진단 받고 수술을 받은 환자 81명과, 이들과 연령, 거주 지역,교육 수준, 그리고 폐경 상태 등에 따라 1:1 혹은 1:2로 짝지은 대조군 121명을 대상으로, 임신력과 중요 영양소 및 총 칼로리 섭취량, 그리고 기타 유방암 관련 요인, p53 유전자 돌연변이 여부, 돌연변이 유형 등을 확인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유방암 환자 81명중에 돌연변이가 관찰된 예는 25예(30.9%)였다. 이중에서 염기 치환이 20예(24.63%)로서 전이와 변위가 각각 10예(12.3%)였다. 전이 중에는 'C to T' 전이가 8예(9.9%), 'G to A'와 'A to G'는 각각 1예(1.2%)에 불과하였다. 변위는 'C to G'와 'G to T'가 각각 4예(4.9%)였고,'A to T'와 'T to A'가 각각 (1.2%)였다. 삽입과 탈락은 각각 4예(4.9%)와 1예(1.2%)였다. 전체 환자군과 전체 대조군 사이의 비교에서 분만횟수가 증가할수록 유방암의 대응비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열량, 지방 및 단백질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유방암의 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53 돌연변이 양성 환자군과 그 대조군 사이의 비교에서 지방과 단백질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유방암의 위험도가 증가하였으나, 분만횟수증가는 유방암 위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53의 돌연변이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도 분만횟수 증가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식이요인 중에는 단백질만이 의미 있는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식이요인에 의한 유방암의 위험도 증가는 p53돌연변이가 존재하는 경우에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식이 요인이나 그와 관련된 내분비적 요인에 의하여 p53 변이가 유발되고 이 변이가 유방 세포 암발생의 첫 단계로 작용하거나, 혹은 p53의 변이가 다른 유전자의 변이에 뒤 이어서 발생하는 촉진인자(promoter)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소견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