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male Addict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6초

여성 메스암페타민 중독자의 약물 단서에 대한 주의편향 (Attention Bias Toward Drug Cues in Female Methamphetamine Addicts)

  • 김나연;음영지;김교헌
    • 감성과학
    • /
    • 제22권4호
    • /
    • pp.75-84
    • /
    • 2019
  • 중독자들은 물질이나 행동과 같은 중독-관련 단서에 주의를 더 기울인다. 그리고 이러한 단서들에 증가된 주의는 갈망과 관련이 있다. 국내 마약류 사범 중 가장 많이 남용되고 있는 마약류는 메스암페타민이며, 재범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3년 동안 전체 마약류 사범 중 여성의 비율은 21.1%이나, 여성 마약류 사범에 대한 연구의 부족으로 관련 정책과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메스암페타민 중독자들을 대상으로 약물 단서에 대한 주의편향이 나타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정기관에 수용중인 여성 메스암페타민 중독자(중독 집단) 22명과 약물과 관련한 문제가 없는 정상인(통제 집단) 22명을 대상으로 탐침탐사 과제를 수행하였다. 이 과제를 통해 약물 단서와 중성 단서 위치에 따른 정반응률 및 정반응시간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통제 집단은 정반응률과 정반응시간 모두에서 약물 단서와 중성 단서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중독 집단은 중성단서에 비해 약물 단서에서 더 낮은 반응률과 더 느린 반응시간을 보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마약류로부터 단절된 여성 메스암페타민 중독자들의 약물 단서에 대한 주의편향 특성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여성마약중독자의 회복과 재발경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pse and Recovery Experience of Female Drug Addicts)

  • 김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673-685
    • /
    • 2020
  • 본 연구는 여성마약중독자의 단약 후 유지·재발 및 회복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마약에 중독된 이후 재발을 반복하다가 회복중인 여성 1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원자료는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적 방법에 근거하여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결과, 대부분 여성참여자들은 성장과정에서 주변으로부터 차별과 냉대를 겪었다. 어려운 현실로부터 탈피하기 위해 또는 호기심 때문에 마약에 빠져들었다. 마약 살 돈을 벌기 위해 유흥업소를 전전하였고 판매상으로 전락하기도 했다. 이들은 오랜기간 동안 마약의 늪에 갇혀 있었다. 이들이 선택한 마약은 극한 성적쾌락을 주었고 마약에 길들여진 몸으로 인해 쉽게 회복이 어려웠다. 재발이 반복되면서 몸과 마음은 더 피폐해졌다. 생애과정에서 경험한 다양한 트라우마는 마약중독을 더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종교적 회심 또는 실존적 각성, 사회적 지지는 회복과정에서 중요한 자원이 되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삶의 재구성에 기여할 수 있는 영성과 실존 프로그램과 트라우마 치료접근 등을 제언하고자 한다.

도박자 배우자들의 회복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 (The Qualitative study about Recovery Process of the Spouses of Gambling Addicts. - Hermeneutical grounded theory methodology -)

  • 김진숙;이근무;이혁구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1호
    • /
    • pp.83-115
    • /
    • 2011
  • 본 연구는 도박중독자 배우자들이 배우자들의 도박으로 인해 겪었던 심리, 정서, 신체적 고통의 내용과 이로부터 회복되는 과정과 내용을 살펴보고 도박중독자 배우자들의 회복을 도울 수 있는 지지적 프로그램구성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연구주제에는 해석학적 근거이론방법으로 접근했으며 총 9명의 도박중독자 배우자들이 연구에 참여했다. 자료는 심층면담과 문서기록을 통해 구성했으며 자료분석은 Rennie(2007)가 제안한 방식에 따라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미단위를 분석하고 범주화 작업을 통해 총 20개의 범주를 구성했다. 연구참여자들의 회복경험을 아우르는 핵심범주는 「시지프스의 바위굴리기에서 벗어나 일상의 평온으로 되돌아가기」로 상정했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남, 녀간의 특성을 고려한 지지프로그램의 구성, 도박중독자 배우자들의 치료시스템 접근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과 의미치료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여성알코올중독환자의 소양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uritus of female alcoholics)

  • 김동현;김희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412-4420
    • /
    • 2013
  • 알코올은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로 여러 질환들을 야기 시킨다. 이로 인해 알코올중독과 관련된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알코올중독환자의 피부질환에 관련된 연구는 국내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민감한 피부를 가진 여성알코올중독환자의 피부질환중 소양증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2013년 05월 1일~2013년 5월 20일까지 전국의 알코올중독치료병원 4곳에서 여성알코올중독환자 114명의 설문지와 청주, 성남시 일반인 106명의 설문지를 토대로 비교연구를 하였고, 연구 결과 알코올중독환자가 일반인에 비해 소양증 점수가 더 높았고, AUDIT-K점수와 소양증점수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주주기, 음주량도 소양증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자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피부치료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앞으로 알코올중독환자의 피부연구의 활성화를 기대한다.

컴퓨터 중독청소년의 MMPI(다면적 인성검사) 특성 (Characteristics of MMPI of Computer Addiction Adolescents)

  • 박순천;백경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1-21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and to deal with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mputer addicted adolescent using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7(male 185, female 222) 2nd grade students in senior high school in Daegu. All participant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 and the upgraded Computer Addiction Inventory (CAI) scale which referred to the Young's Internet Addiction Self Diagnosis Scale and the Mind Test's Came Addiction. SPSS version 10.0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scores of F, Hs, D, Pd, Pa, Pt, Sc of the MMPI scale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mputer addicted adolescents and non-addicted adolescents. The rate of addicted adolesc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addicted adolescent in psychological problematic score ranges in the scal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ores of computer addiction adolescents were similar to those of alcohol and drug addicts in the scales of D, Pd, and Pt. This survey revealed that the psychological disorders suffered by computer addiction adolescents may cause more serious social problems than alcohol and drug addicts.

휴대폰 중독적 사용 청소년의 MMPI 특성 (Characteristics of MMPI of Adolescent Cellular Phone Addicts)

  • 박순천;백경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35-147
    • /
    • 200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and deal with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cellular phone addicts through the Minnesota Multiphase Personality Inventory (MMPI).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7 senior high school students (male 185, female 222) in 2nd grade in Daegu. The cellular phone addiction inventory (CPAI)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an interview process, referring to the Young's Internet Addiction Self Diagnosis Scale. SPSS version 10.0 was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mean score of the adolescent addic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addict group in Scale Pd, Pa, Pt, Sc and Ma.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cellular phone addict group is likely to suffer from more serious pathological disorders than the non-addict group. The rate of addictive adolesc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ddict group than in the non-addict group in psychological problematic score ranges in Scale Sc (Schizophrenia) and Ma (Hypomania). The study result suggests that adolescents who addictively use a cellular phone will be more likely to show immaturity, instability, impulsive personality, excessive activities, and escapism.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성별 차이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 관련 주요 요인 분석 (Analysis of Major Factors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in Health College Students)

  • 추연기;배원식;김해인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5-143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major factors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he gender of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Methods : 720 people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and agre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were randomly sampled. Smartphone addiction was measured using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 Short Version (SAS-SV), sleep quality was measured using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xiety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self-assessment anxiety scale (SAS), and depression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self-assessment depression scale (SDS). In addition, the age of each individual and the main function of smartphone use were also investigated. Results : The prevalence of smartphone addiction was higher among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p<.05), while male students mainly played games and female students mainly used multimedia (video/music) viewing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p<.05). In addition, male students showed a high association with smartphone addiction in the group where games were the main function of smartphone use, the group with low sleep quality, and the group with anxiety symptoms (p<.05), but for female students, multimedia (video/music) Or, the group in which social networking service is the main function of smartphone use, the group with low sleep quality, and the group with symptoms of anxiety and depression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smartphone addiction (p<.05). Conclusion :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providing customized solutio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 addi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