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eling Map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초

패션디자인 기획의 컴퓨터 그래픽 활용 - 패션 감각 분류를 중심으로 - (The Computer Graphic Utilization on the Fashion Design Planning - Focused on the Categorization of Fashion Feeling -)

  • 김나은;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12권5호
    • /
    • pp.39-53
    • /
    • 2008
  • Today is a 'high concept' era in which consumers make sensible consumption that shares a sensible bond with a bran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nalyze consumers' aesthetic awareness; namely, fashion feeling in the fashion industry.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into a fashion design planning process according to a fashion feeling focusing on computer graphics suited to the 21st century digital trend. First, the study classified a fashion feeling with eight senses including elegance, classic, modern, mannish, sporty, avant-garde, ethnic, and romantic feelings. Second, the study made an image map, color map, material map, and style map with Adobe Photoshop CS3 by dividing a fashion planning process with a computer graphics program. Also, the study made a flat illustration with Adobe Illustrator CS3. Third, the study proposed the image map, color map, material map, style map, fashion illustration and flat illustration in the design planning process under the theme of the aforementioned eight fashion feelings.

주민참여에 의한 농촌경관자원조사 방법 연구 - 경관맵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 research method measuring rural landscape resources by inhabitants participation - Focused on a case study using Landscape Evaluation Map)

  • 이정원;윤진옥;임승빈
    • 농촌계획
    • /
    • 제16권4호
    • /
    • pp.13-22
    • /
    • 2010
  • Rural landscape is an outcome of residents' life activity based on natural environment. Unlike city, rural residents make their own landscape over a period of time interacting with nature through cultivating and building houses and huts based on the background. Therefore, residents' role in rural area is of greater importance than city's and their recognition of landscape is a key factor to evaluate and manage rural landscape. Landscape Evaluation Map which utilizing Feeling Map method is a evaluation tool to [md out residents' recognition of landscape. In this tool, responses evaluate landscape around their living space and mark color dots which mean landscape grade on a map. This research is to examine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of the tool, Landscape Evaluation Map, which is recommended to estimate residents' evaluation of landscape. Through analyzing 7 cases of field application, the effectiveness of Landscape Evaluation Map has been verified and also demerits have been drawn. After modifying detailed techniques and developing resident education, Landscape evaluation map could be applied to [md out landscape resources rather than to evaluate whole rural landscape.

걷기를 적용한 경관의 주관적 인식조사 방법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광주 수청리 농촌마을 대상으로 - (Walking as Research Method for Revealing Subjective Perceptions on Landscape : Rural Village Sucheong-ri, Gwangju)

  • 이차희;윤승용;손용훈
    • 농촌계획
    • /
    • 제22권2호
    • /
    • pp.31-43
    • /
    • 2016
  • In existing method, research for landscape resource is driven by professional (or with the participation of local people at Tokenism level), and usually hinder local residents from reflecting their appreciations on the landscape resources in their own ways and eventually ends up with indistinguishable landscape planning. To avoid this, a profound understanding of what landscape they experience in their daily life and how they perceive it should be empirically analysed carefu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walking behavior as a method to examine local residents' subjective perceptions and consider its usability. The researcher walked the site(Sucheongri) with the residents, carrying a GPS device, taking photographs of the landscape objects they described, and recording the relevant explanations. After gathering photographs and explanations which represent the research participants' individual subjective perception, the researcher analysed the explanation using open coding, based on grounded theory. By the analysis, 117 landscape objectives are identified and 18 reason factors for landscape perception were deduced from the explanation. Those factors could be classified as 'positive feeling inducing' and 'negative feeling inducing', and also as 'personal emotion based' and 'community based emotion'. By comparison between feeling map by conventional method and feeing map by new method, usability of new method was empirically reveled. Walking behavior makes it easier for researcher to get more abundant data in quantitative aspect and profound understanding with affection of respondent by allowing them to 'go beyond' the perceptions they remember. Finally new method with walking gives professionals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a place and more resident-oriented plans and management on sites.

얼굴형(形)과 패션감각(感覺)에 따른 헤어스타일 연출(演出)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Hair Style Production Based on the Face Contour & Fashion Feeling)

  • 안현경;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10권4호
    • /
    • pp.29-44
    • /
    • 2006
  • This study was aimed at giving help to the people intending to change hair fashion feeling for making their own hair style design and also providing the academic guide line to the cosmetic circles for developing new hair design and promoting sales by producing hair styles following the results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y on the face contour groups & hair fashion feeling groups. The researching methods were composed of following 3 steps ; prior theoretical research, statistical analysis, and hair style production. At first, the prior theoretical research was accomplished by analysis of literatures, magazines and internet sites about face contour, total & hair fashion feelings, hair style productions. Second, the prior statistical analysis were done about hairstyle images & their charateristics based on fashion feelings, and characteristics of fashion feeling group. And the third, hair style productions were done coordinated by face contours(oval, circle, long, square, reverse triangle) and hair fashion feelings(natural, sexy, sophisticate, ethnic, romantic pretty, elegance, sporty, avant garde) following the statistical results. But owing to the limitations to change hair length and color, these changes are modified by wigs and photoshop 7.0 program. So we could know there was no confirmed hair fashion feeling of one's best, but one could change one's hair fashion feeling and express one's beauty if one could adjust one's hair styles properly to one's face contour. This study would be very helpful to the people trying to change their own hair fashion feeling and be useful to the cosmetic circles for developing new design and promoting sales by comprehending hair design market and also be valuable to develop the methodology of 3 step research.

RIA기술을 적용한 웹 지도 서비스의 특징 연구 (The Characteristic of Web Map Service Using RIA Technologies)

  • 김문기;고준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35-44
    • /
    • 2012
  • 최근 국내외에서는 민간기업 뿐만 아니라 관공서에서도 웹 지도 서비스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플랫폼으로써 데스크 탑에서부터 스마트 폰까지 다양하며, 이에 사용되는 기술도 계속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사용자들에게 현재 서비스 중인 공간정보를 사용하여서 매쉬업 할 수 있도록 다양한 API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 지도 서비스에서 최근 유행하고 있는 RIA기술을 적용하여 각 언어별로 지도 서비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각 웹 브라우저별로 사용자가 느끼는 속도에 대해서 실험 및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JavaScript, Silverlight, Flex로 구현된 기능마다의 특징이 발견되었다. 실제 지도 서비스중인 서울시GIS포털시스템의 생활지도에서 직접 테스트하였다. 종합적인 결과 본 연구의 환경에서는 Silverlight의 성능이 다소 우수한 것으로 나왔다.

SPOT 위성의 수치영상자료를 이용한 정사투영사진지도의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Orthophoto Map from Digital Imagery Data of SPOT Satellite)

  • 유복무;손덕재;박정남;정수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83-96
    • /
    • 1993
  • 정사투영사진지도는 지형도와 동일한 축척을 지니면서도 사진의 형태로 표현되므로 현장감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판독이 용이하여 차세대의 지형도로 이용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또한 수치형태의 정사투영영상은 현재 널리 응용되고 있는 지형공간정보체계의 격자형 기본 지형정보자료로 이용가능 하므로 그 효용성이 매우 크다. 본 연구에서는 프랑스의 SPOT 위성으로부터 취득한 수치영상자료를 이용하여 정사투영사진지도를 제작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정사투영사진지도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수치표고모형과 원영상을 이용하여 정사투영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이 요구되며 이를 수치미분편위수정이라고 한다. 수치미분편위수정 방법에 있어서는 수치표고모형의 정확도가 최종적인 정사투영사진지도의 정확도를 좌우하게 되므로 정확하고 효율적인 수치표고모형의 생성방법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SPOT 위성영상으로부터 수치표고모형을 직접 생성하는 방안을 연구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정사투영영상을 생성하여 등고선을 중첩시키므로서 간단한 형태의 정사투영사진지도를 제작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농촌어메니티자원도 정보전략계획 수립을 위한 목표설정 (Establishing Goals for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of Rural Amenity Resources Map)

  • 서보환;정남수;김종옥
    • 농촌계획
    • /
    • 제12권2호
    • /
    • pp.11-16
    • /
    • 2006
  • Value of rural amenity resources scattered in rural area is difficult to be assessed isolatedly. Rural Amenity Resources Map (RARM) is developed for assessing rural resources based on specific territory. In the developing process, knowledge based system is oriented because rural amenity is differed from personal feeling. Possible decision trees in RARM are developed in reviewing process of previous GIS based decision support systems, and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is constructed for achieving goals such as rural tourism, down shifting, and rural investment.

깊이 불연속 정보를 이용한 저해상도 깊이 영상의 업샘플링 방법 (Low-Resolution Depth Map Upsampling Method Using Depth-Discontinuity Information)

  • 강윤석;호요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10호
    • /
    • pp.875-880
    • /
    • 2013
  • 시청자에게 입체감과 몰입감을 줄 수 있는 3차원 영상의 제작을 위해서는 장면의 색상 영상과 함께 깊이 정보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장면의 깊이를 측정하는 깊이 센서에서 획득된 깊이 영상은 매우 작은 해상도를 가진다. 따라서 색상 영상과 함께 3차원 영상 제작에 이러한 깊이 영상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저해상도 깊이 영상의 업샘플링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깊이 불연속 정보를 이용하여 저해상도 깊이 영상을 업샘플링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깊이 영상을 업샘플링할 때 가장 민감하게 다루어야 할 깊이 불연속 부분을 고해상도 색상과 저해상도 깊이 영상으로부터 찾아낸다. 그리고 깊이 불연속 부분을 고려하여 깊이 영상 업샘플링을 위한 에너지 함수를 모델링하고, 신뢰 확산(belief propagation) 방법을 이용하여 해상도가 확대된 깊이 영상을 획득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필터 기반이나 에너지 함수 기반의 다른 방법들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멘탈 맵을 이용한 범죄발생 우려 지역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riving of Areas of Concern for Crime using the Mental Map)

  • 박수정;신동빈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77-188
    • /
    • 2019
  • 최근 '묻지마 범죄'가 늘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시민 삶의 질이 저하되고 범죄에 대해 느끼는 두려움의 정도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범죄발생 현황 외 범죄관련 여러 변수를 바탕으로 시민이 심리적으로 느끼는 범죄발생 우려 장소(점 선 면)를 멘탈 맵의 방법론을 사용하여 작성하고, 커널(kernel) 밀도 추정 분석을 활용한 공간중첩분석을 통해 범죄발생 우려 지역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그 결과 지역주민의 민원요청 지점과 범죄발생 우려 지역이 서로 중복되어 나타났다. 또한, 범죄 두려움을 나타내는 멘탈 맵은 주로 시설간의 점이지역, 좁은 골목, 방범 CCTV 및 가로등 보안등 미설치 지역, 시간대별 유동인구가 적은 지역을 중심으로 지도화하여 구축되었다. 본 연구는 범죄 관련 기존 선행연구와는 달리, 멘탈 맵이라는 방법론을 사용하여 범죄발생 우려 지역을 도출하는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멘탈 맵 등 본 연구의 결과물은 범죄취약지도 구축, 범죄예방 환경설계의 가이드라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