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cal excretion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3초

상황버섯균사체청국장이 고지혈증을 유도한 암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eonggukjang Added Phellinus linteus myceria on Lipid Metalbolism in Adult Female Rats)

  • 최미애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679-1683
    • /
    • 2009
  • 청국장 분말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성숙한 암쥐에 4주간 고지방식이 (0.1% 콜레스테롤, 10% 지방)로 고지혈증을 유도한 후 대조군(고지방 식이), 청국장군(고지방식이에 단백질원으로 청국장 분말을 첨가한 식이) 및 상황버섯균사체 청국장군(고지방 식이에 단백질원으로 상황버섯균사체 청국장 분말을 첨가한 식이) 3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동물의 체중변화는 대조군은 15.99 g의 증가에 비해 청국장군 및 상황버섯 청국장군은 각각 4.47 g 및 1.89 g 증가로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도 대조군에 비해 청국장군들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자궁주위 지방의 무게 및 간조직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청국장군 및 상황버섯균사체 청국장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혈청의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AI는 대조군에 비해 청국장군 및 상황버섯균사체 청국장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은 대조군에 비해 청국장군들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변의 무게, 수분함량 및 총지질 배설량은 청국장군들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지방식이에 청국장 및 상황버섯균사체 청국장 분말 첨가 섭취시 흰쥐의 체중감소와 혈청과 간조직의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를 낮추며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이 증가되어 지질대사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정박 사일리지 제조시 인삼박의 혼합이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ng Ginseng Meal on the Quality of Distillers Feed Silage)

  • 이수기;이인덕;김용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28권1호
    • /
    • pp.27-3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타피오카 주정박에 인삼박을 혼합하여 사일리지를 제조하였을 때, 사일리지의 품질 (시험 I)과 건물 섭취량 및 소화율 (시험 II)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일리지 조제시 수분함량을 낮추기 위하여 소맥피를 10% 수준으로 첨가하였으며, 인삼박의 혼합비율은 원물기준으로 0, 15 및 30% 수준 (3 처리)으로 하였다. 처리당 5반복으로 20kg 씩 비닐백에 넣고 공기를 배제하여 포장한 후 $20{\sim}25^{\circ}C$에서 30일간 숙성시켜 공시하였다. 시험 II의 소화 시험에서는 10개월령의 재래산양 수컷 12두 (평균체중 14 kg)를 공시하여서 처리당 4반복이 되게 하였다. 7일 동안의 적응기간을 거친 후, 5일간 소화율을 조사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삼박의 혼합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조단백질, NDF 및 ADF의 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인삼박 30% 첨가구는 인상박 무첨가구와 인삼박 15% 침가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0.05). 그리고 조지방 함량과 hemicellulose 함량은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2. pH는 인삼박을 혼합하므로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인삼박 처리구간에 는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젖산 함량은 인삼박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많아졌으며(P<0.05), 총산도 인삼박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은 결과를 나타냈다. 초산은 인삼박 30% 첨가구가 유의하게 적었다. 한편 낙산은 인삼박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었다(P<0.05). 3. 사일리지의 섭취량은 인삼박 첨가구가 무첨가구 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건물 소화율은 인삼박을 많이 혼합할수록 증가하였다. 위의 결과로 볼 때 주정박에 인삼박을 혼합하여 사일리지를 조제하는 것은 주정박 만으로 조제할 때 보다 더 좋은 품질의 사일리지를 만들 수 있으며, 기타 유사 재료에 대해서도 광범위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시판 사료를 먹인 틸라피아( Oreochromis nijoticus) 의 질소 및 인 부하량 (Nitrogen and Phosphorus Excretion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Fed Commercial Diets)

  • 김유희;조재윤;정관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65-175
    • /
    • 1994
  • 육상에서 틸라피아를 양식할 때 문제가 되는 질소 및 인의 부하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판되는 상품 사료로 치어와 미성어를 사육하여 사료 중 영양 성분의 소화율과 분의 배설량 등을 통해 환경수계에 미치는 오염 부하량을 추정하였다. 시판되는 틸라피아 사료의 단백질 함량은 평균 $33.8\%$ (질소 함량 $5.4\%$)였고, 인 함량은 평균 $1.4\%$였으며, 사료 공급후 24 시간내에 총 분 배설량의 $60\%$가 배설되었다. 틸라피아 치어 (평균 어체중 65.2g) 및 미성어 (평균 어체중 389g)좌 단백질 소화율 및 인의 소화율은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지방의 소화율은 치어가 높았다. 질소 수지는 치어와 미성어의 경우, 공급한 질소의 $7.1\%$$9.9\%$를 분으로 배설하였고 뇨와 아가미를 통하여는 각각 $55.5\%$$62.3\%$를 배설하여, 어체에는 각각 $37.4\%$$27.8\%$를 축적하였다. 따라서 성장함에 따라 질소의 축적량은 줄면서 배설량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치어 1 톤 생산당 질소 및 인 부하량은 평균 49.5 kg과 6.3 kg 이였고 미성어의 경우 61.3kg과 13.4kg으로 어체 크기가 클수록 오염 부하량도 많아졌다.

  • PDF

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흰쥐에 새송이버섯이 지질대사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eurotus eryngii on Lipid Levels and Enzyme Activity in Male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 이충언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127-1132
    • /
    • 2006
  • 새송이버섯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생후 8주령 숫쥐를 정상식이군, 대조식이군(5% 옥수수기름, 5% 돈지 및 0.5%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식이) 및 대조식이에 새송이버섯 분말을 3% 및 5%씩 첨가한 식이군 (3% 및 5% 새송이버섯군) 등 4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동물의 체중증가량 및 식이효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3% 및 5% 새송이버섯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간과 부고환지방의 무게는 대조군에 비해 5% 새송이버섯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간의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5% 새송이버섯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혈청의 중성지 질, 총 콜레스테롤과 LDL+V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는 대조군에 비해 새송이버섯군들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은 대조군에 비해 새송이버섯군들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변의 지질배설량은 5% 새송이버섯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새송이버섯 분말 첨가 급여시 흰쥐의 일부 지질대사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발효 육계분의 면양에서의 조사료적 가치 평가 (Roughage Value of Deepstacked Rice Hulls-bedded Broiler Litter in Sheep)

  • 곽완섭;백용현;지경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2호
    • /
    • pp.201-208
    • /
    • 2004
  • 본 연구는 반추동물의 조사료 원으로서 볏짚을 퇴적발효 BL로 100% 대체하였을 때 면양(육우의 모델로 이용)의 영양소 섭취량, 체내 소화율, 가소화 영양소 섭취량, 반추위 성상, 혈액 성상 및 체내 질소 출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볏짚을 BL로 대체함에 따라 면양의 섬유소 및 유기물 소화율은 비슷하였고(P>0.05), 가소화 섬유소(NDF, ADF) 및 유기물 섭취량 또한 비슷하였으며(P>0.05), 가소화 단백질 섭취량은 증가하였다(P<0.05). 볏짚을 BL로 대체함에 따라 반추위 pH의 감소(P<0.05)와 반추위 $NH^3-N$ 농도의 증가(P<0.05) 현상이 나타났고, VFA 생성율과 혈중 urea-N 농도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BL의 볏짚 대체로 인한 사료 단백질 섭취량의 증가(P<0.05)는 분뇨로의 단백질 배설량, 단백질 체내 흡수량과 체내 축적량의 증가 현상을 초래하였다(P<0.05). 결과적으로 반추동물의 조사료 원으로서 퇴적발효 BL 섬유소는 볏짚 섬유소에 필적하는 체내 이용성을 보여주었고, BL 단백질 또한 양호한 체내 이용성을 보여주었다.

Effects of different inorganic: organic zinc ratios or combination of low crude protein diet and mixed feed additive in weaned piglet diets

  • Oh, Han Jin;Kim, Myung Hoo;Lee, Ji Hwan;Kim, Yong Ju;An, Jae Woo;Chang, Se Yeon;Go, Young Bin;Song, Dong Cheol;Cho, Hyun Ah;Jo, Min Seok;Kim, Dae Young;Kim, Min Ji;Cho, Sung Bo;Kim, Hyeun Bum;Cho, Jin 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1호
    • /
    • pp.23-37
    • /
    • 2022
  • Thirty-six weaned piglets with an initial body weight (BW) of 8.43 ± 0.40 kg (28 days of age, ([Landrace × Yorkshire] × Duroc) were randomly assigned to 6 treatments for a 2-week feeding trial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inorganic zinc (IZ), organic zinc (OZ) or combination of low crude protein diet (LP) and Mixed feed additive (MFA) on diarrhea score, nutrient digestibility, zinc utilization, blood profiles, organ weight, and fecal microflora in weaned piglet diet. The pigs were individually placed in 45 × 55 × 45 cm stainless steel metabolism cages in an environmentally controlled room (30 ± 1℃). The dietary treatments included a negative control (NC), positive control (PC; zinc oxide, 1,000 mg/kg), T1 (IZ : OZ, 850 : 150), T2 (IZ : OZ 700 : 300), T3 (IZ : OZ, 500 : 500), and T4 (LP + MFA [0.1% Essential oils + 0.08% Protease + 0.02% Xylanase]). The daily feed allowance was adjusted to 2.7 times the maintenance requirement for digestible energy (2.7 × 110 kcal of DE/kg BW0.75). This allowance was divided into two equal parts, and the piglets were fed at 08 : 30 and 17 : 30 each day. Water was provided ad libitum through a drinking nipple. The diarrhea sco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5) in NC treatment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dry matter (DM), nitrogen (N), and gross energy (G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5) in the T2 treatment compared with the PC and NC treatments in week 1. In week 2, the ATTD of DM, N, and G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5) in the NC treatment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The T3 treatment had significantly higher (p < 0.05) ATTD and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of zinc than the PC and T1 treatments. The Escherichia coli count in fece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T4 treatment compared with the NC and T2 treatments. The Lactobacillus count in fec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T4 and T1 treatment compared with the T2 and T3 treatments. In conclusion, IZ : OZ 500 : 500 levels could improve nutrient digestibility and zinc utilization in weaned piglets, Moreover, MFA in LP diets could be used as a zinc alternative.

인분해효소를 급여한 산란계에서 배출되는 계분의 성상과 비료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Composition and Fertilization of Feces from Laying Hens Fed Dietary Phytase)

  • 임천익;김성준;김주은;송성은;이덕배;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5-32
    • /
    • 2022
  • 사료 내 인분해효소를 첨가급여한 산란계에서 사료섭취당 생계분 발생량의 차이는 없었다. 반면에 2,000 FTU/kg 인분해효소 처리구에서 발생한 생계분은 높은 함수율로 인하여 건계분 배출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질소, 인산, 칼리의 배출량도 모두 감축되었다(P<0.05). 부숙한 계분으로 복합비료를 제조한 결과 인분해효소 급여에 따른 퇴비의 배합량과 비료의 양분 함량의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퇴비의 구성비는 25~30% 함수율의 퇴비를 사용 시에 비료 내 69.6~71.6%를 차지하였으며, 40~60% 함수율 퇴비는 비료 내 13.0~47.1%를 구성하였다. 따라서 계분처리량을 높이기 위해 계분의 함수율을 낮추기 위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계분퇴비는 함수율 조절 및 다른 원료들과의 조합을 통해 양분 균형을 맞춘 복합비료의 주원료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dietary crude protein on growth performance, blood profiles, diarrhea incide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odor emission in weaning pigs

  • Hongjun Kim;Haewon Shin;Yoo Yong Kim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8호
    • /
    • pp.1228-1240
    • /
    • 2023
  • Objectiv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dietary crude protein (CP) on growth performance, blood profiles, diarrhea incide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odor emission in weaning pigs. Methods: A total of 240 weaning ([Yorkshire×Landrace]×Duroc) pigs (8.25±0.050 kg body weight [BW]) were assigned to six treatments based on sex and initial BW, with five replicates of eight pigs per pen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Experimental diets with different crude protein levels for early and late weaning phases were as follows: i) CP16, corn-soybean-based diet containing 16%/15% CP; ii) CP17, corn-soybean-based diet containing 17%/16% CP; iii) CP18, corn-soybean-based diet containing 18%/17% CP; iv) CP19, corn-soybean-based diet containing 19%/18% CP; v) CP20, corn-soybean-based diet containing 20%/19% CP; and vi) CP21, corn-soybean-based diet containing 21%/20% CP. Results: In the early weaning period, average daily feed intake increased when the dietary CP level decreased (linear, p<0.05).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average daily gain and the gain to feed ratio decreased when the dietary CP level increased (linear, p<0.01). Additionally, a decrease in dietary CP level resulted in a linear increase in final BW (linear, p<0.05). In the early and late weaning periods, blood urea nitrogen (BUN) decreased when the dietary CP level decreased (linear, p<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atinine, glucose, total protein, triglyceride or insulin-like factor-1 levels over the experimental period. The concentrations of immunoglobulin A (IgA) and IgG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dietary CP level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In the early weaning period, fecal and urine N decreased when the dietary CP level decreased (linear, p<0.01). No differences in nutrient digestibility among the treatments during the early weaning period were found. Throughout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when the dietary CP level decreased in the weaning pig diet, the diarrhea incidence decreased linearly (linear, p<0.01). Throughout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when the dietary CP level decreased in the weaning pig diet, ammonia, amines and hydrogen sulfide decreased linearly (linear, p<0.01). Conclusion: Reducing dietary CP could decrease diarrhea incidence, the concentration of BUN in serum and odor emission in manure. Furthermore, it could improve N excretion in feces and urine and growth performance in weaning pigs.

Effects of Organic or Inorganic Acid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White Blood Cell Counts in Weanling Pigs

  • Kil, D.Y.;Piao, L.G.;Long, H.F.;Lim, J.S.;Yun, M.S.;Kong, C.S.;Ju, W.S.;Lee, H.B.;Kim, Y.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2호
    • /
    • pp.252-261
    • /
    • 2006
  • Four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ganic or inorganic acid supplementation on the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intestinal measurements and white blood cell counts of weanling pigs. In growth trial (Exp I), a total of 100 crossbred pigs ({$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weaned at $23{\pm}2$ days of age and $7.25{\pm}0.10kg$ average initial body weight (BW), were allotted to 5 treatments by body weight and sex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RCB) design. Three different organic acids (fumaric [FUA], formic [FOA] or lactic acid [LAA]) and one inorganic acid (hydrochloric acid [SHA]) were supplemented to each treatment diet. Each treatment had 5 replicates with 4 pigs per pen. During 0-3 wk, average daily gain (ADG),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and feed efficiency (G/F ratio)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However, pigs fed LAA or SHA diet showed improved ADG by 15 or 13% respectively and 12% greater ADFI in both treatments compared to CON diets. Moreover, compared to organic acid treatments, better ADG (p = 0.07) and ADFI (p = 0.09) were observed in SHA diet compared to pigs that were fed the diet containing organic acids (FUA, FOA or LAA). However, during 4-5 wk, no differences in ADG, ADFI and G/F ratio were observed among treatments. Overall, ADG, ADFI and G/F ratio were not affected by acidifier supplementation. Although i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igs fed LAA or SHA diets showed numerically higher ADG and ADFI than pigs fed other treatments. In metabolic trial (Exp II), 15 pig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cidifier supplementation on nutrient digestibility.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crude fat (CF), crude ash (CA), calcium (Ca) and phosphorus (P) was not improved by acidifier supplementation. Although the amount of fecal-N excretion was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s, that of urinary-N excretion was reduced in acidsupplemented treatments compared to CON group (p = 0.12). Subsequently, N retention was improved in acid-supplemented groups (p = 0.17). In anatomical trial (Exp III), the pH and $Cl^-$ concentrations of digesta in gastrointestinal (GI) tracts were not affected by acidifier supplementation. No detrimental effect of intestinal and lingual (taste bud) morphology was observed by acidifier supplementation particularly in inorganic acid treatment. In white blood cell assay (Exp IV), 45 pigs were used for measuring white blood cell (WBC) counts. In all pigs after LPS injection, WBC counts had slightly declined at 2 h and kept elevating at 8 h, then returned to baseline by 24 h after injection of lipopolysaccharide (LPS). However, overall WBC counts were not affected by acidifier supplementation. In conclus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organic and inorganic acidifier supplementation in weanling pigs' diet, however inorganic acidifier might have a beneficial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and N utilization with lower supplementation levels. Furthermore, inorganic acidifier had no negative effect on intestinal measurements and white blood cell counts in weanling pig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norganic acidifier might be a good alternative to organic acidifiers in weanling pigs.

γ-PGA(Poly-γ-glutamic acid) 보충이 흰쥐의 칼슘 흡수율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γ-PGA (Poly-γ-Glutamic Acid) Supplement on Calcium Absorption and Bone Metabolism in Rats)

  • 이민숙;강정일;김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55-261
    • /
    • 2006
  • 칼슘은 한국인에게 가장 부족되기 쉬운 영양소로 섭취만큼이나 흡수가 중요한 요인이 되는 미네랄이다. 최근 칼슘흡수 증진에 효과가 있는 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폴리 감마글루탐산(${\gamma}-PGA;\;poly-{\gamma}-glutamic\;acid)$이 체내 칼슘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4주령된 수컷 흰쥐(Sprague Dawley, female rats)를 이용하여 3주간 칼슘결핍식이를 급여시켜 칼슘결핍을 유도 후에, ${\gamma}-PGA$ 보충식이를 4주간 급여하였다. 실험군은 칼슘결핍군(Ca free group), 칼슘보충군(칼슘1.2% 보충군, total Ca 0.45%), 칼슘과 CPPl% 보충군(칼슘1.2%+CPP1% 보충군), 칼슘과 PGA1% 보충군(칼슘1.2%+${\gamma}-PGA1%$ 보충군), 칼슘과 CP1%+PGA1% 보충군(칼슘1.2%+CPP1%+${\gamma}-PGA1%$ 보충군), 칼슘과 PGA3% 보충군(칼슘1.2%+$\gamma$-PGA3% 보충군)으로 구분하였다. 이때 ${\gamma}-PGA$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gamma}-PGA$와 칼슘흡수 기전이 유사하고 이미 효능이 알려져 있는 casein phosphopeptide 보충군을 실험군에 추가하였다. 식이섭취량은 칼슘결핍군이 다소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칼슘섭취량도 유의적 차이 없이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변 및 뇨중 칼슘 배설량은 칼슘만을 섭취한 대조군에 비해 ${\gamma}-PGA$보충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칼슘흡수율 또한 그룹간의 유의적 차이를 보여 칼슘만을 섭취한 그룹에 비해 ${\gamma}-PGA$를 함께 보충한 그룹의 흡수율이 30%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이미 효능이 알려진 CPP보다 우수한 수준이었다. 골형성 지표인 혈중 ALP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gamma}-PGA$보충군이 유의적으로(p<0.05) 낮았고, 혈중 칼슘농도는 항상성을 유지하며 그룹간의 유의적 차이 없이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 OHPr/Cre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뼈 중 칼슘함량 및 강도는 칼슘결핍군이 나머지군에 비해 유의하게(p<0.03) 낮았으며, 칼슘함량의 경우 칼슘만을 보충한 그룹에 비해 ${\gamma}-PGA$를 함께 보충한 그룹이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칼슘함량을 보였고(p<0.05), 골강도의 경우는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gamma}-PGA$를 함께 보충한 그룹이 농도 의존적으로 골강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칼슘결핍을 유발한 흰쥐 에 칼슘만을 보충시켰을 때보다 칼슘과 함께 ${\gamma}-PGA$를 함께 보충했을 경우, 칼슘흡수 증진 및 골대사에 긍정적으로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좀 더 명확한 효과 검증을 위해서는 차후 많은 개체수와 장기간의 식이를 통한 반복실험, ${\gamma}-PGA$섭취수준에 따른 추가실험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