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ature-based classification

검색결과 1,317건 처리시간 0.025초

지능형 휠체어 적용을 위해 Haar-like의 기울기 특징을 이용한 아다부스트 알고리즘 기반의 보행자 인식 (Pedestrian recognition using differential Haar-like feature based on Adaboost algorithm to apply intelligence wheelchair)

  • 이상훈;박상희;이영학;서희돈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81-486
    • /
    • 2010
  • In this paper, we suggest an advanced algorithm, to recognize pedestrian/non-pedestrian using differential haar-like feature, which applies Adaboost algorithm to make a strong classification from weak classifications. First, we extract two feature vectors: horizontal haar-like feature and vertical haar-like feature. For the next, we calculate the proposed feature vector using differential haar-like method. And then, a strong classification needs to be obtained from weak classifications for composite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differential area of horizontal and vertical haar-like. In the proposed method, we use one feature vector and one strong classification for the first stage of recognition. Based on our experiment, the proposed algorithm shows higher recognition rate compared to the traditional method for the pedestrian and non-pedestrian.

식별함수를 이용한 오디오신호의 내용기반 분류 (Content Based Classification of Audio Signal using Discriminant Function)

  • 김영섭;이광석;고시영;허강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201-204
    • /
    • 2007
  • 본 논문은 오디오 색인 검색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오디오 신호에 대한 특징 파라미터 풀(pool)을 구성하고, 구성되어진 특징 파라미터 풀을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의 내용분석 및 분류에 관한 연구이다. 오디오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오디오 신호로서 분류되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의 분류에 이용 가능한 특징 파라미터를 분석하고 추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논한다. 그리고 특징 파라미터 풀을 색인 그룹 단위로 구성하여 오디오 카테고리에 대한, 설정된 특징들의 포함 정도와 색인기준을 오디오 데이터의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분류카테고리 별로 오디오 데이터의 특징 벡터를 구성한 뒤 이를 이용하여 식별함수 분류기를 통한 분류를 실험한다.

  • PDF

도시 구조물 분류를 위한 3차원 점 군의 구형 특징 표현과 심층 신뢰 신경망 기반의 환경 형상 학습 (Spherical Signature Description of 3D Point Cloud and Environmental Feature Learning based on Deep Belief Nets for Urban Structure Classification)

  • 이세진;김동현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15-126
    • /
    • 2016
  • This paper suggests the method of the spherical signature description of 3D point clouds taken from the laser range scanner on the ground vehicle. Based on the spherical signature description of each point, the extractor of significant environmental features is learned by the Deep Belief Nets for the urban structure classification. Arbitrary point among the 3D point cloud can represents its signature in its sky surface by using several neighborhood points. The unit spherical surface centered on that point can be considered to accumulate the evidence of each angular tessellation. According to a kind of point area such as wall, ground, tree, car, and so on, the results of spherical signature description look so different each other. These data can be applied into the Deep Belief Nets, which is one of the Deep Neural Networks, for learning the environmental feature extractor. With this learned feature extractor, 3D points can be classified due to its urban structures well. Experimental results prove that the proposed method based on the spherical signature description and the Deep Belief Nets is suitable for the mobile robots in terms of the classification accuracy.

SNS 특징정보를 활용한 마르코프 논리 네트워크 기반의 단문 텍스트 분류 방법 (A Method for Short Text Classification using SNS Feature Information based on Markov Logic Networks)

  • 이은지;김판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065-1072
    • /
    • 2017
  • As smart device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SNSs) become increasingly pervasive, individuals produce large amounts of data in real time. Accordingly, studies on unstructured data analysis are actively being conducted to solve the resultant problem of information overload and to facilitate effective data processing. Many such studies are conducted for filtering inappropriate information. In this paper, a feature-weighting method considering SNS-message features is proposed for the classification of short text messages generated on SNSs, using Markov logic networks for category inferenc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through a comparison with an existing frequency-based classification methods.

LCD 패널 상의 불량 검출을 위한 스펙트럴 그래프 이론에 기반한 특성 추출 방법 (Feature extraction method using graph Laplacian for LCD panel defect classification)

  • 김규동;유석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B)
    • /
    • pp.522-524
    • /
    • 2012
  • For exact classification of the defect, good feature selection and classifier is necessary. In this paper, various features such as brightness features, shape features and statistical features are stated and Bayes classifier using Gaussian mixture model is used as classifier. Also feature extraction method based on spectral graph theory is presented.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feature extraction method using graph Laplacian result in better performance than the result using PCA.

토픽모델링과 딥 러닝을 활용한 생의학 문헌 자동 분류 기법 연구 (A Study of Research on Methods of Automated Biomedical Document Classification using Topic Modeling and Deep Learning)

  • 육지희;송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63-88
    • /
    • 2018
  • 본 연구는 LDA 토픽 모델과 딥 러닝을 적용한 단어 임베딩 기반의 Doc2Vec 기법을 활용하여 자질을 선정하고 자질집합의 크기와 종류 및 분류 알고리즘에 따른 분류 성능의 차이를 평가하였다. 또한 자질집합의 적절한 크기를 확인하고 문헌의 위치에 따라 종류를 다르게 구성하여 분류에 이용할 때 높은 성능을 나타내는 자질집합이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딥 러닝을 활용한 실험에서는 학습 횟수와 문맥 추론 정보의 유무에 따른 분류 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문헌집단은 PMC에서 제공하는 생의학 학술문헌을 수집하고 질병 범주 체계에 따라 구분하여 Disease-35083을 구축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가장 높은 성능을 나타낸 자질집합의 종류와 크기를 확인하고 학습 시간에 효율성을 나타냄으로써 자질로의 확장 가능성을 가지는 자질집합을 제시하였다. 또한 딥 러닝과 기존 방법 간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분류 환경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영상분류문제를 위한 역전파 신경망과 Support Vector Machines의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and Support Vector Machines for the Image Classification Problems)

  • 서광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889-1893
    • /
    • 2008
  • 본 논문은 영상 분류 문제를 위한 support vector machines (SVMs)의 적용을 통한 분류의 성능을 다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 분류 문제에서 자연영상을 대상으로 색상, 질감, 형상 특징벡터를 추출하고, 각각의 특징벡터와 이들을 결합한 특징벡터를 사용하여 역전파 신경망과 SVM 기반의 방법을 적용하여 영상 분류의 정확성을 비교한다. 실험결과는 각각의 특징벡터중에는 색상 특징벡터값을 이용한 영상 분류가 그리고 각각의 특징벡터보다는 이들을 결합한 특징벡터를 이용한 영상 분류가 보다 우수함을 보여준다. 그리고 알고리즘간의 비교에서는 정확성과 일반화성능 측면에서 역전파 신경망보다 SVMs이 우수함을 보였다.

Development of a Hybrid Deep-Learning Model for the Human Activity Recognition based on the Wristband Accelerometer Signals

  • Jeong, Seungmin;Oh, Dongik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9-16
    • /
    • 2021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human activity recognition (HAR) system as a Deep-Learning (DL) classification model, distinguishing various human activities. We solely rely on the signals from a wristband accelerometer worn by a person for the user's convenience. 3-axis sequential acceleration signal data are gathered within a predefined time-window-slice, and they are used as input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We a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developing a Deep-Learning model that can outperform conventional machine learning classification performance. A total of 13 activities based on the laboratory experiments' data are used for the initial performance comparison. We have improved classification performance using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combined with an auto-encoder feature reduction and parameter tuning. With various publically available HAR datasets, we could also achieve significant improvement in HAR classification. Our CNN model is also compared against Recurrent-Neural-Network(RNN) with Long Short-Term Memory(LSTM) to demonstrate its superiority. Noticeably, our model could distinguish both general activities and near-identical activities such as sitting down on the chair and floor, with almost perfect classification accuracy.

Dimensionality Reduction of Feature Set for API Call based Android Malware Classification

  • Hwang, Hee-Jin;Lee, Sooj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1호
    • /
    • pp.41-49
    • /
    • 2021
  • 악성코드를 포함한 모든 응용프로그램은 실행 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API Call 정보를 기반으로 악성코드를 탐지하고 분류하는 접근방법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API Call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세트는 그 양이 방대하여 많은 계산 비용과 처리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악성코드 분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정보들이 학습모델의 분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특성 선택(feature selection) 방법을 적용하여 API Call 정보에 대한 차원을 축소시킨 후, 핵심 특성 집합을 추출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실험은 최근 발표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데이터세트인 CICAndMal2020을 이용하였다. 다양한 특성 선택 방법으로 핵심 특성 집합을 추출한 후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분류를 시도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특성 선택 알고리즘에 따라 선택되는 특성 집합이나 가중치 우선순위가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진분류의 경우 특성 집합을 전체 크기의 15% 크기로 줄이더라도 97% 수준의 정확도로 악성코드를 분류하였다. 다중분류의 경우에는 최대 8% 이하의 크기로 특성 집합을 줄이면서도 평균 83%의 정확도를 달성하였다.

Gaussian Mixture Model을 이용한 다중 범주 분류를 위한 특징벡터 선택 알고리즘 (Feature Selection for Multi-Class Genre Classification using Gaussian Mixture Model)

  • 문선국;최택성;박영철;윤대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0C호
    • /
    • pp.965-97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내용 기반 음악 범주 분류 시스템에서 다중 범주를 위한 특징벡터 선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특징벡터 선택 알고리즘은 분리 성능을 측정할 때 가우시안 혼합 모델(Gaussian Mixture Model: GMM)을 기반으로 GMM separation score을 측정함으로써 확률분포 및 분리 성능 추정의 정확도를 높였고, sequential forward selection 방법을 개선하여 이전까지 선택된 특징벡터들이 분리를 잘 하지 못하는 범주들을 기준으로 다음 특징벡터를 선택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다중 범주 분류의 성능을 높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 검증을 위해 음색, 리듬, 피치 등 오디오 신호의 특징을 나타내는 다양한 파라미터를 오디오 신호로부터 추출하여 제안된 특징벡터 선택 알고리즘과 기존의 알고리즘으로 특징벡터를 선택한 후 GMM classifier와 k-NN classifier를 이용하여 분류 성능을 평가하였다. 제안된 특징벡터 선택 알고리즘은 기존 알고리즘에 비하여 3%에서 8% 정도의 분류 성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낮은 차원의 특징벡터의 분류 실험에서는 분류 정확도 측면에서 5%에서 10% 향상된 좋은 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