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ature-based classification

검색결과 1,317건 처리시간 0.082초

피처벡터 축소방법에 기반한 장애음성 분류 (Classification of pathological and normal voice based on dimension reduction of feature vectors)

  • 이지연;정상배;최홍식;한민수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7년도 한국음성과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23-126
    • /
    • 2007
  •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athological/normal voice classifica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mel frequency-based filter bank energies using the fisher discriminant ratio (FDR) is analyzed. And mel frequency cepstrum coefficients (MFCCs) and the feature vectors through the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LDA) transformation of the filter bank energies (FBE) are implemented. This paper shows that the FBE LDA-based GMM is more distinct method for the pathological/normal voice classification than the MFCC-based GMM.

  • PDF

장르와 주제 범주간 용어 편차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문서의 장르기반 분류 (A Genre-based Classification of Digital Documents by using Deviation Statistic of Genre-revealing Term and Subject-revealing Term)

  • 이용배;맹성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11호
    • /
    • pp.1062-1071
    • /
    • 2003
  • 장르기반 분류는 문서를 내용이나 주제가 아닌 문서의 형식 또는 스타일에 의해 분류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장르분류 방법은 기존의 주제기반 분류방법에 사용되었던 알고리즘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자질선택 방법에 있어서도 효과적이지 못하고 비교적 단순하여 분류 정확률 또한 상대적으로 낮았다. 본 연구에서는 장르기반으로 문서를 자동 분류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다. 장르분류 방법은 크게 두 가지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과 분류를 하는데 장르 간 용어의 편차정보와 장르 내에 분포되어 있는 주제 범주 간 용어의 편차정보를 이용한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인터넷상에서 정제되지 않은 문서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의 카이제곱 자질선택 방법 및 베이지안 분류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약 30% 정도 우수한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Multimodal 분포 데이터를 위한 Bhattacharyya distance 기반 분류 에러예측 기법 (Estimation of Classification Error Based on the Bhattacharyya Distance for Data with Multimodal Distribution)

  • 최의선;이철희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4)
    • /
    • pp.85-87
    • /
    • 2000
  • In pattern classification, the Bhattacharyya distance has been used as a class separability measure and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feature selection and extra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predict the classification error for multimodal data based on the Bhattacharyya distance. In our approach, we first approximate the pdf of multimodal distribution with a Gaussian mixture model and find the bhattacharyya distance and classification error. Exp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Bhattacharyya distance and the classification error for multimodal data.

  • PDF

Prototype-based Classifier with Feature Selection and Its Design with Particle Swarm Optimization: Analysis and Comparative Studies

  • Park, Byoung-Jun;Oh, Sung-Kwu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7권2호
    • /
    • pp.245-254
    • /
    • 2012
  • In this study, we introduce a prototype-based classifier with feature selection that dwells upon the usage of a biologically inspired optimization technique of Particle Swarm Optimization (PSO). The design comprises two main phases. In the first phase, PSO selects P % of patterns to be treated as prototypes of c classes. During the second phase, the PSO is instrumental in the formation of a core set of features that constitute a collection of the most meaningful and highly discriminative coordinates of the original feature space. The proposed scheme of feature selection is developed in the wrapper mode with the performance evaluated with the aid of the nearest prototype classifier. The study offers a complete algorithmic framework and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quality of solution) and efficiency (computing cost) of the approach when applied to a collection of selected data sets. We also include a comparative study which involves the usage of genetic algorithms (GAs). Numerical experiments show that a suitable selection of prototypes and a substantial reduction of the feature space could be accomplished and the classifier formed in this manner becomes characterized by low classification error. In addition, the advantage of the PSO is quantified in detail by running a number of experiments using Machine Learning datasets.

Support Vector Machine 기반 지형분류 기법 (Terrain Cover Classification Technique Based on Support Vector Machine)

  • 성기열;박준성;유준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5권6호
    • /
    • pp.55-59
    • /
    • 2008
  • 야외 환경에서 무인차량의 자율주행에 있어서 효과적인 기동제어를 위해서는 장애물 탐지나 지형의 기하학적인 형상 정보외에 탐지된 장애물 및 지형 표면에 대한 재질 유형의 인식 및 분류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 영상 기반의 지표면 분류 알고리듬은 입력 영상에 대한 전처리, 특징추출, 분류 및 후처리의 절차로 수행된다. 본 논문에서는 컬러 CCD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야외 지형영상에 대해 색상 및 질감 정보를 이용한 지형분류 기법을 제시한다. 전처리 단계에서 색공간 변환을 수행하고, 색상과 질감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웨이블릿 변환 특징을 사용하였으며, 분류기로서는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적용하였다. 야외 환경에서 획득된 실영상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제시된 알고리듬의 분류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제시된 알고리듬에 의한 효과적인 야지 지형분류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 Novel Approach for Object Detection in Illuminated and Occluded Video Sequences Using Visual Information with Object Feature Estimation

  • Sharma, Kajal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4권2호
    • /
    • pp.110-114
    • /
    • 2015
  • This paper reports a novel object-detection technique in video sequences. The proposed algorithm consists of detection of objects in illuminated and occluded videos by using object features and a neural network technique. It consists of two functional modules: region-based object feature extraction and continuous detection of objects in video sequences with region features. This scheme is proposed as an enhancement of the Lowe's scale-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 object detection method. This technique solved the high computation time problem of feature generation in the SIFT method. The improvement is achieved by region-based feature classification in the objects to be detected; optimal neural network-based feature reduction is presented in order to reduce the object region feature dataset with winner pixel estimation between the video frames of the video sequenc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achieves better overall performance than other object detection techniques, and region-based feature detection is faster in comparison to other recent techniques.

특징 추출과 분석 기법에 기반한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 신뢰도 향상 시스템 (Protein-Protein Interaction Reliability Enhancement System based on Feature Selection and Classification Technique)

  • 이민수;박승수;이상호;용환승;강성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3B권7호
    • /
    • pp.679-688
    • /
    • 2006
  • 대용량 실험으로부터 산출된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는 위양성(false positive) 데이터의 비율이 높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류가 섞여있는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 각 단백질 상호작용의 신뢰도를 검증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제안 시스템은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에 상호작용의 근거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생물학적 특징들에 관한 데이터를 통합하고 특징 선택 방법을 사용하여 통합된 속성들 중 위양성 여부를 판별하는데 가장 적합한 특징들을 선택한 후 데이터 마이닝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대용량 실험으로부터 산출된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의 신뢰도를 평가한다. 특징 선택의 결과와 분류 기법의 성능은 데이터 특성에 매우 의존하므로, 제안시스템에 가장 적합한 속성 부분집합과 가장 좋은 성능을 내는 분류 알고리즘을 찾기 위해 다양한 특징 선택 방법과 데이터 마이닝 분류 알고리즘들을 적용하고 그 성능을 다각적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실험 결과, 특징 선택 방법과 분류 알고리즘을 결합시킨 제안 시스템은 오류 데이터가 섞여있는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에서 실제로 상호작용하는 단백질 쌍을 골라내는 작업에 있어 기존 연구들에 비해 매우 뛰어난 성능을 보여줬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의 신뢰도를 검증함에 있어서 다양한 특징 선택 방법들과 분류 알고리즘들이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도 정리할 수 있었다.

Sparse and low-rank feature selection for multi-label learning

  • Lim, Hyunki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7호
    • /
    • pp.1-7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다중 레이블 분류를 위한 특징 선별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 많은 특징 선별 기법들은 상호정보척도 등을 이용하여 특징과 레이블 사이의 연관성을 계산하여 특징을 선별하였다. 하지만 상호정보척도는 결합 확률을 요구하기 때문에 실제 전제 특징 집합에서 결합 확률을 계산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소수의 특징만 계산이 가능하여 지역적 최적화만 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런 지역적 최적화 문제를 피해, 주어진 특징 전체 공간에서 저랭크 공간을 구성하고, 희소성을 가진 특징들을 선별할 수 있는 특징 선별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뉴클리어 노름을 이용해 회귀 기반의 목적함수를 설계하였고, 이 목적 함수의 최적화 문제를 풀기 위한 경사하강법 방식의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4가지의 데이터와 3가지 다중 레이블 분류 성능을 기준으로 다중 레이블 분류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방법론이 기존 특징 선별 기법보다 좋은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보였다. 또한 제안하는 목적함수의 파라미터 값 변화에도 성능 변화가 둔감한 것을 실험적인 결과로 확인하였다.

Attention-based CNN-BiGRU for Bengali Music Emotion Classification

  • Subhasish Ghosh;Omar Faruk Riad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9호
    • /
    • pp.47-54
    • /
    • 2023
  • For Bengali music emotion classification, deep learning models, particularly CNN and RNN are frequently used. But previous researches had the flaws of low accuracy and overfitting problem. In this research, attention-based Conv1D and BiGRU model is designed for music emotion classification and comparative experimentation shows that the proposed model is classifying emotions more accurate. We have proposed a Conv1D and Bi-GRU with the attention-based model for emotion classification of our Bengali music dataset. The model integrates attention-based. Wav preprocessing makes use of MFCCs. To reduce the dimensionality of the feature space, contextual features were extracted from two Conv1D layers. In order to solve the overfitting problems, dropouts are utilized. Two bidirectional GRUs networks are used to update previous and future emotion representation of the output from the Conv1D layers. Two BiGRU layers are conntected to an attention mechanism to give various MFCC feature vectors more attention. Moreover, the attention mechanism has increased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classification model. The vector is finally classified into four emotion classes: Angry, Happy, Relax, Sad; using a dense, fully connected layer with softmax activation. The proposed Conv1D+BiGRU+Attention model is efficient at classifying emotions in the Bengali music dataset than baseline methods. For our Bengali music dataset, the performance of our proposed model is 95%.

질감 및 에지 방향 특징에 기반한 게임 캐릭터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ame Character Classification Based on Texture and Edge Orientation Feature)

  • 박창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318-132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게임의 재미를 높이고 속도감 있는 게임 진행을 위하여 게임 캐릭터의 특징에 따라 움직임이 없는 캐릭터(NPC)와 움직임이 있는 캐릭터(Monster)로 분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분류 속성은 각각의 캐릭터 내부에 있는 직선선분의 특징을 추출하여 사용한다. 우선 캐릭터 내부에 존재하는 에지 특징을 추출하여 EEDH를 산출하고 또한 방향성을 질감의 속성으로 이용하여 SSPD를 계산한다. 추출된 속성들은 특정 방향에 따른 에너지를 나타내며 캐릭터 내부의 특정 방향에 대한 크기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게임 캐릭터들을 NPC와 Monster로 분류 하는 속성으로 이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게임진행에서 유저가 불필요한 플레이를 함으로서 소모되는 시간을 줄이고 전략적이고 속도감 있게 플레이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