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ty Acid Methyl Ester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4초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합성에 관한 연구 (제3보). 슈크로오스에스테르의 합성에 관한 동력학적 고찰 (Studies on the Synthesis of Nonionic Surfactants (III). Kinetics of the Synthesis of Sucrose Esters)

  • 남기대;손주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3-290
    • /
    • 1981
  • N,N-디메틸포름아미드용매내 반응온도 50∼$90^{\circ}C$범위에서 과량의 슈크로오스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그리고 올레산등 5종의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와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에서 반응속도를 측정하여 반응속도정수, 활성화파라미터등을 구하여 고찰하였다. 이 반응은 본 실험범위내에서 유사 1차반응으로 진행하고 반응의 순서는 주로 메틸에스테르의 지방산기의 구조변화에 의존하면 라우르산메틸, 미리스트산메틸, 팔미트산메틸 올레산메틸 그리고 스테아르산 메틸의 순으로 반응되기 힘들어지는 엔탈피조절반응이라 생각된다. 한편 이들 각각의 활성화에너지는 9.3, 9.9, 10.3, 10.9 그리고 11.1 kcal/mole이 얻어졌다.

  • PDF

Methyl cellulose와 hydroxypropylated methyl cellulose 필름의 물성 (Physical Properties of Methyl Cellulose and Hydroxypropylated Methyl Cellulose Films)

  • 한윤정;김석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21-526
    • /
    • 2007
  • 본 연구는 MC와 HPMC를 기본 소재로 하여 이에 PEG와 복합인산염을 첨가할 경우 필름의 물성과, stearic acid, AMG 및 sucrose fatty acid ester로 구성된 지질소재를 유화법이나 코팅법으로 가하여 필름으로 제조한 후 물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우선 연구의 목표 물성을 인장강도 13.0MPa, 신장율 130%, 수증기투과도 $3.47{\times}10^{-2}ng{\cdot}m/m^2{\cdot}s{\cdot}Pa$로 설정하였다. 목표 물성과 비교한 결과 MC나 HPMC에 PEG와 복합인산염으로 기재 필름을 제조하고 여기에 지질소재를 coating법으로 첨가할 경우 수증기 차단성만 조금 더 개선하면 목표물성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고 신장률 면에서 HPMC보다 MC가 더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식물유지의 전처리 및 바이오디젤 생산 (Pretreatment of Vegetable Oil Using Ion-exchange Resin and Biodiesel Production)

  • 홍연기;허윤석;홍원희;오성우
    • 청정기술
    • /
    • 제13권2호
    • /
    • pp.104-108
    • /
    • 2007
  • 바이오디젤은 식물성 또는 동물성 유지를 알콜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얻어진 지방산 알킬에스터로서 친환경적인 대체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 폐식용유와 유채유에 대한 전처리 공정에 고체 산(acid)이온 교환수지를 도입하여 자유지방산을 제거함으로써 바이오디젤로의 전환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전처리를 통해 자유지방산의 90%이상을 제거할 수 있었으며 젖은 상태의 수지보다 건조 상태의 수지의 자유지방산 제거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이에스테르화를 통해 최대 98%의 수율로 지방산 메틸에스터를 얻을 수 있었으며 본 연구 결과는 자유지방산의 제거가 필요한 바이오디젤 원료유의 전처리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 PDF

동물성 유지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의 반응조건 (Reaction Condition for Biodiesel Production from Animal Fats)

  • 양희승;정귀택;박석환;박재희;박돈희
    • KSBB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228-233
    • /
    • 2007
  • 동물성 유지로부터 알칼리 촉매를 사용한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에 있어 적정 반응조건을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L 규모의 회분식 반응기에서 적정 반응조건은 반응온도 65$^{\circ}C$, KOH 1.0% (w/w), 그리고 유지와 메탄올의 몰 비 (1:15)의 조건에서 20분 동안 반응 시에 98.9%의 높은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함유량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생산한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의 물성을 분석해 본 결과, 점도는 4.2 (40$^{\circ}C$, cp)로 감소하였으며, 산가 0.08 (mg KOH/g), 밀도 865 ($15^{\circ}C,\;kg/m^3$)로 국내 바이오 디젤 품질규격을 만족시키는 결과를 얻었다. 알칼리 촉매를 이용한 동물성 유지의 전이에스테르화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식물성 유지와 더불어 바이오디젤의 원료 유지로써 동물성유지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방산에 의한 경지 및 미경지 토양의 미생물군집평가 (Evaluation of Microbial Community Composition in Cultivated and Uncultivated Upland Soils by Fatty Acids)

  • 서장선;전길형;권장식;김상효;백형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39-246
    • /
    • 2003
  • 경지이용이 토양 화학성과 미생물 군집상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경지 및 미경지 토양을 채취하여 토양지방산, 미생물밀도 및 미생물체량간(biomass C)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경지와 미경지 토양의 pH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전기전도도 (EC), 유기물, 유효인산 및 치환성 양이온 함량은 미경지 토양에 비해 경지토양에서 높았다. 훈증추출법에 의해 측정된 미생물체량과 지방산 총 함량간에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r^2=0.557$, n=18, p<0.01). 세균, 방선균, 사상균, 원생동물을 나타내는 지표성 지방산 함량은 경지토양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피혁 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폐돈지를 이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ionic Surfactant Using Waste Fleshing Scrap)

  • 신수범;민병욱;양승훈;박민석;원기천;백두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31-36
    • /
    • 2006
  • Study has been made for producing anionic surfactant using waste fleshing scraps from the leather making process through refining, esterification, sulfonation and blending processes. As a most optimum lard oil refining method, refining was carried out for 4 hours under temperature of $120^{\circ}C$ and approximately 200 mbar vacuum, which gave a recovery of more than 80% lard oil. Refined lard oil obtained thus was undergone methlyl-esterification, then sulfonated to make a degreasing agent. By methyl-esterification using lard oil, more than 85% of fatty acid and $12{\sim}13%$ of glycerine were extracted from the oil. Sulfonation of the extracted fatty acid ester lard oil has shown most optimum at $15{\sim}20%$ chlorosulfonic acid content, and the content of bonding sulfate at this time was higher than 3.5%. Finally the followed anionic surfactant having degreasing force of 80% and higher could be made by blending process.

Characteristics of direct transesterification using ultrasound on oil extracted from spent coffee grounds

  • Kim, Yeong Su;Woo, Duk Gam;Kim, Tae Ha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470-478
    • /
    • 2020
  • Spent coffee grounds (SCG), the residue after brewing coffee beverage, is a promising biodiesel feedstock due to its high oil contents (15-20%). However, SCG should be pretreated to reduce the high free fatty acid content, which hampers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To overcome this, we explored a direct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of SCG using ultrasound irradiation and identified the optimal sonication parameters. A high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content, up to 97.2%, could be achieved with ultrasound amplitude of 99.2 ㎛, irradiation time of 10 min, and methanol to oil ratio of 7:1 in the presence of potassium hydroxide concentration of 1.25 wt.%. In addition, we demonstrated that ultrasound irradiation is an efficient method to produce biodiesel from untreated SCG in a short time with less energy than the conventional mechanical stirring method.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SCG biodiesel met the requirements for an alternative fuel to the current commercial biodiesel.

울금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Antioxidative Property of Turmeric (Curcumae Rhizoma) Ethanol Extract)

  • 강우석;김정한;박은주;윤광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66-271
    • /
    • 1998
  • 천연물로부터 안전성과 안정성이 우수한 항산화성 물질을 찾기 위하여 생약류 10종을 선정하여 95% ethanol으로 추출하면서 추출 수율과 팜유를 기질로한 항산화력을 비교한 결과 울금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울금 추출물을 팜유에 대해 첨가농도를 $0.05{\sim}0.5%$까지 높혀 가면서 현재 사용되는 천연 항산화제인 mixed tocopherol, rosemary 추출물들과 비교하여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0.05%까지는 3종류 모두 유사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 있어서는 울금 추출물의 항산화력이 월등히 우수하였다. 돈지에 대한 울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0.01% 첨가시 AI가 4.59로서 1.57인 팜유보다 월등하였으며, 대두유에 대해서는 첨가에 따른 항산화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각종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에 울금 추출물을 각각 0.05%, 0.1% 첨가하였을 때 oleic acid methyl ester에 대해서는 AI가 각각 3.01, 4.33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나, linoleic acid methyl eser에 대해서는 각각 0.85, 0.96으로서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 PDF

동백나무와 차나무 기름의 지방산 조성 및 메틸에스테르 특성 분석 (Analysis of Fatty Acid Composition and Methyl-ester Properties of Camellia and Tea Oil)

  • 김광수;이영화;장영석;최인후
    • 신재생에너지
    • /
    • 제9권3호
    • /
    • pp.36-42
    • /
    • 2013
  • To secure raw materials of biodiesel production, the possibility of camellia (C. japonica L.) and tea (C. sinensis L.) seed oil was studied to produce biodiesel. In this research, crude oil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eds were analyzed by Solxlet and Gas chromatography (GC). The oil contents in the seeds of camellia were 69.8%~73.8%, and tea were 26.3%~29.4%. Among the fatty acids of camellia and tea oil, oleic acid was dominant. The unsaturated fatty acids accounted for 88.4% and 80.2% of the whole fatty acids of camellia and tea seed oil. Total seed oi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ea seed were influenced by collecting date. Across maturation period, oil content of tea seed averaged 18.3% on $6^{th}$ September increasing to 27.9% by $11^{th}$ October. For largest seed yield and oil content, the optimum time to harvest tea is in middle october, and camellia is late september and thereafter.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oil from seeds by extraction methods was determined. Biodiesel were synthesized in 92.1~92.8% yields from camellia and tea oils by transesterification. The biodiesel was characterized by its physical and fuel properties including oxidation stability, iodine value and cold filter plugging point (CFPP). Oxidation stability of camellia was 8.6~8.8 hours and tea was 2.9~3.6 at $110^{\circ}C$. Camellia oil had considerably better oxidation stability and CFPP than tea oil.

Streptomyces sp. SAR01 균주에서의 항진균 관련 단백질 분석 (Analysis of Antifungal Proteins in Streptomyces sp. SAR01)

  • 이영근;김재성;조규성;장병일;추철형
    • 환경생물
    • /
    • 제20권3호
    • /
    • pp.237-244
    • /
    • 2002
  • 항진균 활성 관련 단백질을 탐색하기 위해 미역류로부터 식물병원성 곰팡이의 생장을 저해하는 SAR01 균주를 분리하였고, FAME (fatty acid methyl ester) 분석 결과, Streptomyces sp.로 동정되었다. 방사선 조사$(^{60}Co)$를 실시한 결과, Botrytis cinerea를 포함한 5종의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소실한 SAR535 균주 외 6종의 돌연변이 균주가 유도되었다. SAR01 야생형 균주와 SAR535 돌연변이 균주의 세포내 단백질의 이차원 전기영동 분석결과, 6종의 단백질이 야생형 균주인 SAR01 균주의 세포내에만 존재하였다. 이들 6종의 단백질 중, 5종은 heat shock protein 70 (HSP70), Fe-containing superoxide dismutase II (Fe - SODII), ribosome recycling factor (RRF), 10 kD chaperonin (GroES) 및 inorganic pyrophosphatase (PPAse)와 각각 75%, 93%, 100%, 96% 및 83%의 유사성을 보였다. 이들 6종의 단백질들은 Streptomyces sp. SAR01 균주의 항진균 활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