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rrowing performance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2초

돼지에서 동결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시 종모돈의 품종, 인공수정 횟수, 정자농도, 농장 및 연도가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reed, Insemination Time, Sperm Concentration, Farm and Year on Reproductive Performance of Sows Inseminated by Frozen Boar Semen)

  • 김인철;이장희;김현종;이성호;박창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1-117
    • /
    • 2002
  • 돼지에서 동결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이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축산기술연구소 종축개량부 (충남, 성환)의 돼지 인공수정센터에서 사육중인 종모돈을 이용하여 1995년부터 2000년까지 인공수정을 실시하였다. 동결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시 종모돈의 품종, 인공수정 횟수, 정자농도, 농장 및 연도가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동결정액이 인공수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5$m\ell$ maxi-straw에 포장된 동결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시 번식성적을 조사한 결과 종모돈의 품종 (Landrace, Yorkshire, Duroc)간 차이가 없었다. 1회 발정당 수정횟수는 2회 수정과 3회 수정시 차이가 없었으며, 1회 주입정자 농도도 5.0, 4.0 및 3.0$\times$$10^{9}$ /dose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양돈장의 관리방법과 인공수정사의 기술은 수태율과 산자수에 영향을 주었다. 1995년부터 1999년까지 5년간 농장에서 매년 인공수정한 결과수태율은 68.3~74.6%, 분만율은 61.7~67.6%, 총산자수는 8.7~9.6두 그리고 생존산자수는 8.1~8.7두로 각각 나타났다.

The Effect of Wet Pad and Forced Ventilation House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Boar

  • Chiang, S.H.;Hsia, L.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호
    • /
    • pp.96-101
    • /
    • 2005
  • There were two trials involved in the experiment. Trial 1: the trial was conducted on two Taiwan Sugar Corporation (TSC) pig farms. One was located in the north of Taiwan and the other was located in the south. Both farms had wet pad and forced ventilation (WPFV) and conventional open design (COD) boar and sow houses. There were 12 Duroc boars, age ranging from 12-24 months. Half of them (6 boars) were raised in a WPFV pig house, and the other half were kept in a COD house. Semen was collected at 5-day intervals from May $1^{st}$ to the end of October. Sixteen sows (2-8 parity) were served by artificial insemination each week from the beginning of May to the end of Oct. These sows were checked for heat from 18 days to 25 days after insemination. Trial 2: there were four MPFV boar houses involved in the test. Two houses were located in the north of Taiwan, and the other two houses were located in the south. The test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1. The total number of serviced sows by MPFV-housed boars was 35,105 head and for COD-housed boars 103,065 hea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semen volume, density of sperm, total sperm per ejaculate, sperm motility and morphological abnormality were significantly better (p<0.01) for boar raised in WPFV house than for COD houses. Average sperm motility in June and July was lower than for the other months. Morphological abnormality was higher during May, June and July. Although the results did not reach a significant level, the average value showed that the total volume of boar semen was higher in the north than for the south. The total semen volume production of boar raised in WPFV was higher than for boars raised in COD house, reaching a significant level only in summer. Boars kept in WPFV house had higher total sperm number than boars kept in COD house, reaching a significant level in spring (p<0.05), summer (p<0.01), and fall (p<0.05) but not in winter (p>0.05). Boars raised in WPFV house had significantly higher sperm motility than boars in COD house during spring (p<0.001), summer (p<0.001), fall (p<0.01) and winter (p<0.05). The average farrowing rate and piglets born alive were higher for boars in WPFV house than for boars in COD house, but neither reached a significant level (p>0.05). The present experiment shows that WPFV house can improve the reproduction performance of boars.

동결정액 포장방법이 돼지정액의 성상 및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cking Materials of Frozen Boar Semen on Sperm Characteristics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 김인철;이장희;김현종;이성호;박창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9-124
    • /
    • 2002
  • 본 연구는 돼지에서 동결정액을 이용한 번식능력을 개선하기 위한 동결정액 포장재료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시험에는 축산기술연구소 종축개량부 (충남, 성환)의 인공수정센터에서 사육중인 종모돈이 사용되었다. 기존의 돼지 동결정액 포장방법인 maxi-straw 동결정액 포장방법과 5$m\ell$빈 cryogenic-vial 및 aluminum-pack 포장방법을 비교한 결과 cryogenic-vial로 포장하여 액체질소 상단 15cm에서 동결한 후 52$^{\circ}C$ water bath에서 190초 융해한 방법이 기존의 maxi-straw 방법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Cyogenic-vial 포장방법의 동결-응해 방법을 설정하기 위하여 융해시간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 액체질소 상단 15cm에서 동결하고 52$^{\circ}C$에서 190초 간 융해하였을 때 정자운동성이 120초 및 150초 응해시 보다 우수하였다 (P<0.05). 그러나 정상첨체비율은 응해시간 간에 차이가 없었다. 52$^{\circ}C$에서 45초간 응해 한 maxi-straw 포장방법과 52$^{\circ}C$에서 190초 융해한 cryogenic-vial 포장방법간에 정액성상을 비교한 결과 총정자운동성과 정자의 빠르기는 maxi-straw가 우수하였다 (P<0.05). 그러나 직진성과 정상첨체비율은 두 포장방법간에 차이가 없었다. 동결정액 포장방법별 인공수정시 번식성적은 maxi-straw 동결정액이 cryogenic-vial 동결정 액보다 수태율, 분만율, 그리고 산자수가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cryogenic-vial 포장 방법의 동결 및 음해방법을 좀 더 연구개발하면 기존의 maxi-straw포장방법을 대체하여 실용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사료내 약용식물(인진쑥, 오가피 및 마늘)의 첨가가 포유돈, 포유자돈 및 이유자돈의 성적 및 혈청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upplemental Medicinal Plants(Artemisia, Acanthopanax and Garlic) on Growth Performance and Serum Characteristics in Lactating Sows, Suckling and Weanling Pigs)

  • 권오석;유종상;민병준;손경승;조진호;김해진;진영걸;김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501-512
    • /
    • 2005
  • 본 시험은 약용식물(인진쑥, 오가피, 마늘)의 사료내 첨가가 모돈의 생산성, 포유자돈의 성장율 및 이유자돈에서의 성적 및 혈청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시험 1은 3~5산차의 임신 모돈 48두를 공시하여 각각 1) CON(basal diet; Control), 2) MP1(basal diet added 0.05% of medicinal plant mixtures), 3) MP2(basal diet added 0.1% of medicinal plant mixtures) 그리고 4) MP3(basal diet added 0.2% of medicinal plant mixtures)로 하여 처리구당 12두씩 배치하여 21일동안 실시하였다. 시험 기간동안 포유모돈의 일당 사료섭취량은 약용식물을 0.1% 첨가한 처리구가 0.2%를 첨가한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포유자돈의 개시시와 이유시의 체중 변화에서는 약용식물을 0.05%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0.05). 혈액내 glucose의 함량에서는 MP3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시험 2는 개시시 체중 4.70$\pm$0.63kg의 3원교잡종(Landrace$\time$Yorkshire$\time$Duroc) 이유자돈 120두를 공시하여 20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로서 NRC(1998)의 영양소 요구량에 따라 1) CON(basal diet; Control), 2) MP1(basal diet added 0.05% of medicinal plant mixtures), 3) MP2(basal diet added 0.1% of medicinal plant mixtures) 그리고 4)MP3(basal diet added 0.15% of medicinal plant mixtures)의 4개의 처리구로 하여 처리당 6반복, 반복당 5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전체시험기간 동안의 이유자돈의 일당증체량(linear, P<0.067)과 사효효율(linear, P<0.018)에서는 약용식물을 첨가함으로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사료섭취량(linear, P<0.018)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물의 소화율에서는 약용식물을 첨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linear, P<0.004; quadratic, P<0.03). 결론적으로 포유모돈 사료내 약용식물의 첨가는 0.1%까지 첨가 급여시가 모돈의 체손실 감소 및 포유자돈의 증체량의 향상을 가져 왔으며, 이유자돈에서는 약용식물을 0.05-1.0% 첨가시 자돈의 성장율 및 건물의 소화율을 개선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Cassava in Lactating Sow Diets: I. Effects on Milk Composition and Quality

  • Jupamatta, A.;Kanto, U.;Tirawattanawanich, 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4호
    • /
    • pp.517-524
    • /
    • 2011
  • The effect on sow milk of variable levels of cassava in lactating sow diets was analyzed in an attempt to explain the beneficial effects reported by producers of including cassava as a basal feed. Twenty crossbred lactating sows were randomly assigned to five dietary treatments. The treatments were: i) broken rice (BR) as the basal feed (BR100), ii) 50% of BR replaced with cassava chip meal (CCM) (CM50), iii) 75% of BR replaced with CCM (CM75), iv) CCM as the basal feed (CM100), and v) dried boiled cassava chips (CCB) as the basal feed (CB100). The hydrocyanide (HCN) content of CCB was reduced to be intermediate between HCN in the no cassava (BR100) and the 50% cassava (CB50) diets. Hydrocyanide was 0.54, 3.24, 4.41, 5.43 and 1.77 ppm in the BR100, CM50, CM75, CM100 and CB100 diets, respectively. Increasing cassava did not affect feed intake (p>0.05), but increased HCN intake (p<0.01). Milk composition was analyzed for protein, fat, lactose, solids not fat (SNF) and total solids (TS). Milk quality was analyzed for total microbes, coliform bacteria, thiocyanate ($SCN^-$), lactoperoxidase (LPO),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activity. At farrowing, sow milk composition was not affected by experimental diets (p>0.05), but milk $SCN^-$ increased as the intake of HCN increased in sows diets (p<0.01), $r^2$ = 0.96. At mid-lactation (day 14), milk composition was not affected (p>0.05). The milk quality levels of $SCN^-$ were 9.4, 10.3, 10.5, 11.6 and 9.1 ppm for the BR100, CM50, CM75, CM100 and CB100 diets, respectively (p = 0.01). The LPO contents were 16.41, 42.13, 51.42, 53.94 and 22.81 unit/L, respectively (p = 0.03). There was no GPx activity found in sow milk. When BR was replaced with cassava meal, total microbes and coliforms were reduced 78% and 87%, respectively, by the influences of HCN. The reported beneficial effects of cassava chip meal as a basal feed in lactating sow diets is manifested by improved performance of suckling pigs. This is due to beneficial, non-toxic levels of HCN in the diets. Besides passing HCN to suckling pigs in the form of $SCN^-$, sow milk may also benefit suckling pigs with the observed (day 14) increase in lactoperoxidase content and reduction in coliform bacteria.

약용식물(Artemisia, Acanthopanax and Garlic)의 급여가 돼지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l Medicinal Plants (Artemisia, Acanthopanax and Garlic) on Productive Performance of Sows and on Growth and Carcass Traits in Finishing Pigs)

  • 장해동;이제현;홍성민;정지홍;김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2호
    • /
    • pp.103-110
    • /
    • 2010
  • 본 연구는 약용식물(Artemisia, Acanthopanx and Garlic)이 함유된 배합사료 급여시 돼지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시험 1은 모돈 90두 공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1) CON (basal diet), 2) BM1 (basal diet +약용식물 0.1%) 및 3) BM2 (basal diet +약용식물 0.2%)로 3개 처리로 하였다. 등지방두께 변화량은 대조구에 비해 약용식물 급여 처리구가 낮은 감소량을 나타내었다(P<0.05). 자돈의 증체량은 대조구에 비해 약용식물 급여처리구가 높은 증체량을 나타내었다(P<0.05). 하지만, 모돈 사료섭취량, 직장온도 및 자돈의 생존율에서는 처리구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시험2는 비육돈에 약용식물 급여시 생산성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시험 개시시 체중이 $65.21\;{\pm}\;0.04\;kg$인 3원 교잡종(Landrace ${\times}$ Yorkshire ${\times}$ Duroc)의 비육돈 60두를 공시하였으며, 8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1) CON (basal diet), 2) BM1 (basal diet +약용식물 0.1%) 및 3) BM2 (basal diet +약용식물 0.2%)로 3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5반복, 반복당 4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4~8주와 전체기간에서 일당증체량에서 약용식물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내었다(P<0.05). 등심의 pH와 가열감량에서는 CON 처리구가 BM1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내었다(P<0.05). 보수력과 육즙감량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약용식물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내었다(P<0.05). 육색, 지방산패도 및 등심단면적에서는 처리구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비육돈에서는 일당 증체량, 보수력 및 가열 감량에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모돈에서는 등지방두께 감소율과 복당증체량에 효과를 나타내었다.

환경보조물이 임신모돈의 생산성 및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vironmental enrichments on performance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ows during gestating period)

  • 정용대;김두완;민예진;정현정;조은석;김영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428-434
    • /
    • 2019
  • 동물복지의 관심고조는 전 세계적인 동향이며 최근 국내 소비자들의 복지는 반려동물에서 경제동물인 가축으로 확산되고 있다. 환경보조물은 동물복지수준 강화에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임신돈에서는 관련 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보조물이 임신모돈의 생산성 및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동물은 30두의 임신돈(랜드레이스)를 준비하였고, 완전임의배치법에 의거하여 3개 처리구(대조구; T1, 플라스틱 소재 놀이기구; T2, 볏짚)에 처리구당 10두씩 배치하였다. 사양시험은 임신 28-105일령동안이며 볏짚과 놀이기구는 시험돈방($11.6{\times}6.0m$) 중앙에 배치하였다. 시험 종료일에 체중 및 등지방두께를 측정하였으며 혈중 코티졸 농도를 분석하였다. 행동특성 분석을 위해 임신 91일령에 행동패턴을 24시간 촬영하였고 행동특성을 분석하였다. 시작 및 종료체중은 대조구 및 처리구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등지방두께는 대조구보다 T2에서 감소하였다(C, 16.56mm vs. T2, 15.73mm; p>0.05). 총산자수, 실산자수는 처리구간 차이가 없다. 사산수는 T1 및 T2에서 대조구보다 감소하였다(1.00 and 0.63 vs. 1.50두; p>0.05). 분만폐사율은 사산수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C, 8.68%; T1, 6.86%; T2, 3.40%). 혈중 코티졸은 대조구 및 처리구간 차이가 없다. 섭취행동은 T2에서 대조구 및 T1 처리구보다 감소하였다(1.81 vs. 9.68 and 6.99%; p<0.05). 놀이 및 파헤치기 행동은 각각 T1와 T2 처리구에서만 확인되었다(p<0.05). 반면에 사육시설에 문지르기 행동은 대조구에서만 관촬되었다(p<0.05). 이러한 결과는 환경보조물 제공이 임신돈의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돼지의 행동특성은 복지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