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rming oyster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4초

통영-사량도 굴 양식장 주변 해역에서 일차 생산자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Primary Producer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Vicinity of the Oyster Farming Area between Tongyeong-Saryang Island)

  • 임영균;백승호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492-500
    • /
    • 2017
  • 남해안 통영-사량도 동북부의 굴 양식장 주변 해역에서 2016년 6월부터 2017년 5월까지 식물플랑크톤군집의 계절변동 및 환경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굴의 먹이생물인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이 계절적으로 어떻게 분포하고, 그들의 현존량을 조절하는 환경인자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수온은 2월 $7.54^{\circ}C$에서 8월 $29.5^{\circ}C$로 변화하였고, 하계에 고수온현상이 지속되었다. 염분은 하계 집중강우와 태풍의 영향으로 31 psu 전후로 낮게 관찰되었고, 최저치는 9월에 30.68 psu로, 최고치는 5월 34.24 psu로 관찰되었다. pH는 표층에서 7.95~8.50로, 저층의 7.91~8.3보다 조금 높게 관찰되었으며, 용존산소는 pH와 유사하게 표층에서 $6.0{\sim}9.45mg\;L^{-1}$로 높게 나타났고, 저층에서는 하계에 $5.25mg\;L^{-1}$의 전후로 낮게 관찰되었다. 질산염+아질산염은 $0.14{\mu}M$에서 $7.66{\mu}M$로, 인산염은 $0.01{\mu}M$에서 $4.16{\mu}M$로, 규산염은 $0.27{\mu}M$에서 $20.33{\mu}M$로 각각 변화하였다. 표층 Chl. a 농도는 $0.37{\mu}g\;L^{-1}$에서 $2.44{\mu}g\;L^{-1}$로 변화하였고, 연평균 $1.26{\mu}g\;L^{-1}$로 관찰되었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연평균 규조류가 6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와편모조류가 17%, 은편모조류 10% 순으로 나타났다. 6월에는 와편모조류 P. donghaiense가 90%로 극우점하였고, 7월은 규조류 Chaetoceros decipiens가 우점하였다. 하계에는 Rhizosolenia setigera와 Pseudo-nitzchia delicatissima가 높게 나타났고, 추계에는 Chaetoceros spp.와 함께 은편모그룹이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동계에는 Skeletonema spp.와 Eucampia zodiacus가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다. 결과적으로 굴 양식장 주변 해역에서 계절에 관계없이 Chl. a 농도가 $2.5{\mu}g\;L^{-1}$ 이하로 나타났고, 연평균이 $1.26{\mu}g\;L^{-1}$로 일정하게 낮게 나타난 것은 지속적으로 여과섭식하는 굴의 성장특성 때문에 일정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제어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할 수 있었다.

신품종 느타리버섯 '화성2호'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 new cultivar Pleurotus ostreatus, Hwaseong #2)

  • 이정우;한용식;한철희;정종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96-100
    • /
    • 2011
  • 다양한 느타리버섯 품종간의 교잡을 하였으며 균상재배용으로서 유용한 특성을 갖는 느타리버섯 품종을 육종코자하였다. 그 중 화성1호에서 단핵균을 분리한 후 수한1호 이핵균과 di-mono교배법으로 육성된 MST247ns가, 세균성 갈변병에 약하고 저온기 재배시 어려움이 많은 수한1호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므로 최종 선발하여 "화성2호"로 명명하였다. 수한1호와 비교하여 대가 길고 조직이 무르지 않고 단단하였다. 화성2호는 중고온성인 수한1호와 비교하여 낮은 온도에서도 갓이 작고 대가 길며 저장성이 좋은 특성을 더욱 잘 나타내었다. 이러한 특성은 시장에서 선호하는 버섯으로서, 낮은 온도에서의 재배관리가 비교적 용이한 가을철에서 이른봄철까지 농가에서의 난방비 부담을 줄여주며 양질의 버섯을 생산할 수 있어 농가의 소득증대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화성2호'의 주요특성으로는 가. 적정 균사배양온도는 $25-30^{\circ}C$이다. 나. 버섯발생 온도는 $8-15^{\circ}C$, 자실체의 적정 생육온도는 $9-14^{\circ}C$으로 가을철부터 봄철까지의 기간에 재배하기에 좋은 품종이다. 다. 수한1호와 비교하여 대가 길고, 갓은 얕은 깔때기형이다. 라. 낮은 온도에서 재배시에도 대가 길고 곧으며 대의 표면이 백색이며 조직이 단단하면서 탄력이 있으므로 저온기의 생육관리가 비교적 쉽고 저장성이 우수하다.

서식적합도와 생태지표를 이용한 거제한산만 굴양식장의 입식밀도 산정 (Estimation of Stocking Density us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and Ecological Indicator for Oyster Farms in Geoje-Hansan Bay)

  • 조윤식;이원찬;홍석진;김형철;김정배;박정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85-191
    • /
    • 2012
  • 대부분의 국내 어장들은 반폐쇄성 내만에 집중되어 있으며, 장기 양식과 높은 입식밀도에 의한 연안오염에 매우 취약한 위치를 점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양식을 위하여 어장관리가 매우 중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적지선정과 생태학적 환경수용력을 함께 고려한 최적 입식밀도 산정이 될 수 있다. 거제한산만 굴양식장의 입식밀도 산정을 위하여 0.0이 비적지, 1.0이 적지임을 나타내는 서식적합도(Habitat suitability index)와 생태지표인 여과압 지표(Filtration pressure indicator)가 이용되었다. 거제만의 서식적합도는 0.75로서 한산만 0.53보다 높았으며, 이는 거제만이 굴양식에 좀 더 적합함을 의미한다. 생태지표는 연안특성에 따라 다른 입식밀도를 나타내었으며, 결과적으로 거제만의 굴양식장에 대하여 현 입식밀도와 비교하여 평균 40%, 한산만은 평균 60% 저감 입식하여야 생태학적 환경수용력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식밀도의 산정은 현재 국내 양식업이 직면한 연안오염, 환경악화, 생산성 감소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연구는 어장관리 정책 설립에 대한 과학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서해안 3배체 굴 (Crassostrea gigas) 의 계절별 체성분, 아미노산, 지방산 및 글리코겐 함량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the body composition, amino acid, fatty acid and glycogen contents of triploi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in we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 황인준;한종철;허영백;임현정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69-277
    • /
    • 2016
  • 본 연구는 2015년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양식된 3배체 굴의 일반성분, 지방산, 아미노산 조성 및 글리코겐 함량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지방 함량은 겨울철에 가장 높았으며 (2월, $2.10{\pm}0.06%$), 단백질 함량은 가을철에 (11월, $9.09{\pm}0.04%$) 에서 가장 높았고 수분과 회분은 여름철 (8월, $86.00{\pm}0.12%$$2.67{\pm}0.03%$) 에 가장 높았다. 총아미노산 함량은 겨울철 (1,011.5 mg/100 g) 에 가장 높았고,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여름철에 가장 낮았다 (486.7 mg/100 g). 아미노산조성은 taur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및 alanine 등이 주요 아미노산으로 분석되었다. 지방산 조성에서 전체 지방산 함량의 50 % 이상을 차지하는 지방산은 EPA와 DHA로 확인되었다. 글리코겐 함유량은 여름철에 가장 높았으며 ($1.26{\pm}0.03g/100g$), 다른 시기에는 $0.69{\pm}0.04-0.86{\pm}0.01g/100g$의 범위로 일정한 함량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3배체 굴은 불임처리를 통해 산란을 하지 않아 여름철에 글리코겐 함량이 높아 겨울철뿐만 아니라 여름철에도 상업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서해안 굴, Crassostrea gigas의 건강도 평가를 위한 Condition index와 혈구 apoptosis 분석 (Condition index and hemocyte apoptosis as a health indicator for the Pacific oysters, Crassostrea gigas cultured in the we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 임현정;임매순;이원영;최은희;윤주현;박승윤;이승민;김수경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89-196
    • /
    • 2014
  • A significant production decrease has been witnessed for the Pacific oysters, Crassostrea gigas farmed in the we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presumably by the loss of physiological viability. We evaluated the viability in terms of health indicators, the condition indices and hemocyte apoptosis rates of the oysters inhabiting two representative farming sites, Incheon and Taean each with different environmental variables. In our monthly measurements for the whole year 2013, the indicators were location specific. The condition indices of Incheon were highly variable, 1.67-8.58%, while those of Taean were less, 2.28-5.57%. The condition indices decreased during the spawning seasons, July and September in common. The two oysters exhibited also differed in the apoptotic activities of hemocyte, highly active, 4.03-30.15% for Incheon oysters and less active, 2.87-17.48% for Taean oysters. One thing we could identify was the two measurements were adverse during the critical seasons of spawning, reminiscent of being a useful tool for a health indicator for the oysters. Similar trend was also observed in the time when change in temperature was extreme. The findings in this study are highly indicative of health indicators for the oyster aquaculture.

서해안 갯벌과 주민 생활 -가로림만, 곰소만, 영광 갯벌을 사례로- (Tidal Flats and Resident Life : The Case of Bay, Gomso Bay, Youngwang Tidal Flat)

  • 이윤화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39-351
    • /
    • 2006
  • 뻘중심의 갯벌이 넓게 형성된 가로림만의 웅도리외 모래 갯벌과 염전이 발달한 영광 갯벌의 두우리, 수산 양식업이 발달한 곰소만 주변 지역을 대상으로 조석 주기, 갯벌 지형.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과 주민 생활과의 관련성을 검토했다. 갯벌 주변 주민들에게 갯일은 농사일보다 우선되고, 갯벌에서 얻어지는 수입이 이들의 주소득원이다. 갯벌주변의 주민 생활은 조석 주기에 맞추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사리 저조위 때는 가장 바쁘고 많은 소득을 올릴 수 있어 마치 장날과 같다. 뻘 갯벌에서는 패류 양식이 주이고, 모래 갯벌에는 안강망 어업이 활발하며, 해안에 접한 혼합 갯벌에는 염전이 발달한다. 또한 하나의 갯벌에도 경제 활동의 분화가 이루어져 조상대에는 염전과 양어장으로, 조간대에는 패류 양식장으로, 조하대는 굴, 김 양식징으로 이용된다.

  • PDF

수온과 크기의 영향을 고려한 양식굴, Crassostrea gigas의 여수율 모형 (Filtering Rate Model of Farming Oyster, Crassostrea gigas with effect of Water Temperature and Size)

  • 김용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89-598
    • /
    • 1995
  • 본 연구는 수온과 크기의 영향을 포함하는 양식굴 C. gigas의 단위시간당 여과수량 산출식을 제시하였다. 여수율의 측정은 폐쇄순환계에서 지표물질의 농도 저감속도를 측정하는 간접법으로 수행되었으며, 지표물질은 배양한 규조류 Chaetoceros calcitrans를 사용하였고, 이 규조의 $chlorophyll-\alpha$양에 직선적으로 비례하는 675nm의 흡광도 값으로 부터 농도감소계수 Z를 구하고, Z를 감소율로 변환하여 수량 V에서 여수율 FR을 산출하였다. $Z=-In(\frac{C_t}{C_0})/t$, $FR=V{\codt}(1-e^{-z})$ 양식굴의 여수율은 다음과 같이 수온 및 개체건조 육중량을 변수로 하는 지수함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수율은 수온과 더불어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며, 상한측 임계온도는 $28-29^{\circ}C$ 사이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frac{FR}{DW}$, 1/hr/g, dry meat wt = $Exp(0.208{\cdot}T-4.324){\cdot}(DW)^{-0.7771}$, FR, 1/hr/animal = $Exp(0.208{\cdot}T-4.324){\cdot}(DW)^{0.223}$

  • PDF

한산만에서의 굴(Crassostrea gigas) 부유유생의 출현과 생존율 (Occurrence and Survival Rate of the Larvae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in Hansan Bay)

  • 유성규;유호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71-476
    • /
    • 1985
  • 우리나라 굴 양식의 중심해역인 한산만에서 효율적인 채묘예보를 기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이 수역에 발생한 굴 부유유생을 대상으로 하여 각 유생의 발육단계별 출현상황과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1984년 6월 13일 부터 10월 16일까지의 조사기간 중 크기가 약 $72{\times}61{\mu}m$의 D 형 유생은 7월 16일과 9월 20일에 각각 출현 Peak가 있었으며, $189{\times}217{\mu}m$의 umbo 형 유생은 7월 21일과 9월 25일에, $303{\times}308{\mu}m$의 성숙유생은 7월 28일과 9월 30일에 각각 Peak가 있었다. D형유생에서 umbo 형 유생으로 되는데는 약 5일이 걸렸으며, 순간사망률은 0.24, 일간생존율은 0.78, 일간사망률은 0.22, 평균생존율은 약 $29.38\%$였다. umbo형유생에서 성숙유생으로 되는데는 $5{\sim}7$일 소요되었으며, 순간사망률은 0.15, 일간생존율은 0.86, 일간사망률은 0.14, 평균생존율은 약 $38.54\%$였다. D형유생의 발생에서 채묘의 대상이 되는 성숙유생으로 되는데는 $10{\sim}12$일 걸렀으며, 이 기간중의 평균생존율은 약 $11.32\%$였다.

  • PDF

위성영상을 이용한 해상 양식장 관리방안 연구 - 한려해상 국립공원과 호주 태즈매니아 지역을 사례로 - (A Study of Marine Aquaculture Management Strategies Using Remotely-sensed Satellite Data - A Case Study on Hallyeo Marine National Park and Tasmania -)

  • 박경;장은미
    • 환경영향평가
    • /
    • 제13권5호
    • /
    • pp.231-241
    • /
    • 2004
  • This study aims to detect the change of marine aquaculture farm within the boundary of Hallyeo Marine National Park. Comparison has been made on the Landsat images taken in 1984 and 2002 respectively by using feature extraction methods and other image analysis techniques. During the 18 year period between 1984 and 2002, total area of the aquaculture farms has been decreased in 63 percent. The reason for the change seems to be that aquaculture farms became concentrated only around the Geoje Islands due to the growth of the labor- and capital-intensive cage aquaculture for the expensive fish species instead of traditional oyster farming. Authors suggest the monitoring using remotely-sensed data as the best tool for the management of marine aquaculture farms on the basis of accuracy of analysis and relatively cheap cost. Management strategies of salmon farms in Tasmania, Australia has been analyzed to find the field techniques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of aquaculture.

화력발전소 발생 플라이애쉬를 이용한 인공골재 제조 (Fabrication of Lightweight Aggregates Using Fly Ash from Coal Burning Heat Power Plant)

  • 윤수종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2-107
    • /
    • 2006
  • Recycling industrial wastes such as fly ash from a coal burning heat power plant and shell from an oyster farming were investigated to prevent environment contamination as well as to enhance the value of recycling materials. In this study, the lightweight aggregates and the red bricks were fabricated from fly ashes with other inorganic materials and wastes. The starting materials of the lightweight aggregate were fly ash powder and water glass, and the compacts of these materials were heat treated at $1100^{\circ}C$. The fabricated lightweight aggregates had low bulk density, $0.9-1.2\;g/cm^3$, hence floated on the water and had the strength of 7.0-11.0 MPa and the modulus of 2900-3300 MPa which indicates it has enough strength as the aggregate. Another type of the light weight aggregate was prepared from fly ashes, shell powders and clays. The bulk density, poro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of these aggregates were $1.19-1.34\;g/cm^3,\;18.3{\sim}56.1%$ and 5-12 MPa, respectively. The addition of a small amount of fly ash powder prevented hydration of the light weight aggregates. The red brick was also fabricated from the fly ash containing materials. It is suitable for the brick facing of a building as it has moderate strength and low water absorption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