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ial wrinkles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6초

Bacillus subtilis natto 균주로 발효한 병아리콩 낫토를 이용한 mask pack의 피부 개선 효과 (The Skin Improvement Effect of Facial mask pack using Chickpea natto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natto)

  • 엄미선;류희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2-69
    • /
    • 2018
  • 건강 식품인 병아리콩을 화장품의 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Bacillus subtilis Natto 균주로 병아리콩을 발효한 낫토를 마스크 팩에 적용하여 피부개선 효과를 연구하였다. 병아리콩 낫토를 동결건조하여 얻은 분말을 paste 제형으로 얼굴 마사지 팩에 적용하였다. 50~60대 여성을 대상으로 낫토 팩의 피부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낫토 팩의 처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피부가 개선되며 4회 처치 후 개선효과가 두드러졌다. 4회 처치 후 수분 함량과 피지 분비량이 각각 $8.4{\pm}3.6%p$$4.0{\pm}2.3%p$ 증가하였고, 피부 모공과 주름도 각각 $1.8{\pm}0.3%p$$1.8{\pm}0.9%p$ 감소하였다. 피부 색소침착은 $1.3{\pm}0.2%p$ 감소되었고, 피부 톤은 55.2%에서 55.9%로 $0.7{\pm}0.2%p$ 밝아졌다. 병아리콩을 발효하여 얻은 낫토 발효물이 보습, 모공, 주름, 색소침착, 피지분비, 피부톤 등의 피부개선 효과가 있으며,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StyleGAN Encoder를 활용한 표정 이미지 생성에서의 연령 왜곡 감소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ge distortion reduction in facial expression image generation using StyleGAN Encoder)

  • 이희열;이승호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464-471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StyleGAN Encoder를 활용한 표정 이미지 생성에서의 연령 왜곡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표정 이미지 생성 과정은 StyleGAN Encoder를 사용하여 얼굴 이미지를 생성하고, SVM을 이용하여 학습된 boundary를 잠재 벡터에 적용하여 표정을 변화시킨다. 그러나 웃는 표정의 boundary를 학습할 때 표정 변화에 따른 연령 왜곡이 발생한다. 웃는 표정에 대한 SVM 학습에서 생성된 smile boundary는 표정 변화로 인해 생긴 주름이 학습 요소로 포함되어 있으며 연령에 대한 특성도 함께 학습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에서는 smile boundary와 age boundary의 상관계수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smile boundary에서 age boundary를 상관계수에 비례하여 조절하는 방식을 도입한다. 제안된 방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공개된 표준 얼굴 데이터셋인 FFHQ 데이터셋을 사용하고 FID score를 측정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Smile 이미지에서는 기존 방법에 비하여, Ground Truth와 제안된 방법으로 생성된 smile 이미지의 FID score가 약 0.46 향상되었다. 또한, Smile 이미지에서 기존 방법에 비하여, StyleGAN Encoder로 생성된 이미지와 제안된 방법으로 생성된 smile 이미지의 FID score가 약 1.031 향상되었다. Non-smile 이미지에서는 기존 방법에 비하여, Ground Truth와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으로 생성된 non-smile 이미지의 FID score가 약 2.25 향상되었다. 또한, Non-smile 이미지에서 기존 방법에 비하여, StyleGAN Encoder로 생성된 이미지와 제안된 방법으로 생성된 non-smile 이미지의 FID score가 약 약 1.908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한편, 각 생성된 표정 이미지의 연령을 추정하여 StyleGAN Encoder로 생성된 이미지의 추정된 연령과 MSE를 측정한 결과, 기존방법 대비 제안하는 방법이 smile 이미지에서 약 1.5, non-smile 이미지에서 약 1.63의 성능 향상되어 제안한 방법에 대한 성능의 효율성이 입증되었다.

Isoquercitrin 함유 연꽃잎 추출물의 피부주름개선 효능 연구 (Effect of Isoquercitrin-containing 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on Skin Wrinkle Improvement)

  • 문은정;전준명;이가희;백민영;이대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91-20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제1형 프로콜라겐 분비량 측정을 통해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천연물을 검색하던 중, 연꽃잎추출물(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NLE)이 가장 우수한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고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NLE를 분석한 결과 isoquercitrin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isoquercitrin도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 (NHDF)에서 제1형 프로콜라겐의 분비를 촉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NLE와 isoquercitrin은 자유 라디컬 소거 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isoquercitrin은 인간 피부유래 세포주인 HaCaT 및 NHDF에서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하고 총항산화능을 증가시켰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팀은 isoquercitrin의 함유량을 높이기 위해 정제한 NLE를 1.7% 함유한 크림(isoquercitrin 51 ppm 함유)을 제조하여 눈가의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30 ~ 65세의 한국인 여성 22명을 대상으로 얼굴의 한쪽 면엔 NLE 함유 크림을, 그리고 다른 한쪽 면엔 대조제품을 매일 2회씩, 8주간 연속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NLE 함유크림을 사용하였을 때 피부자극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대조제품과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성 있게 눈가의 주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NLE 및 isoquercitrin이 우수한 콜라겐 생성 촉진 및 항산화 효능을 가지며, isoquercitrin 함유 NLE는 안전한 천연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CO2 gas와 RF 고주파를 적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봉합사 동물 실험에 따른 주름 개선 효과 검증 (Verification of wrinkle improvement effect by animal experiment of suture for skin wrinkle improvement by applying CO2 gas and RF radio frequency)

  • 정진형;신운섭;송미희;이상식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26-234
    • /
    • 2020
  • 고령사회의 진입과 더불어 인간의 평균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현대 사회의 남성 및 여성의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사람의 노화를 가장 외면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얼굴의 피부 주름이다. 깨끗하고 주름이 없으면서 탄력성 있는 건강한 피부를 갖기 위하여 사람들은 각종 시술을 받고 있다. 시술 중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시술을 원하는 경향이 있어 실리프팅 시술 방법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 리프팅 시 리프팅 효과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PDO봉합사 시술에 RF고주파와 CO2 gas를 주입하여 주름의 개선을 확인하기 위한 동물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술 전과 후의 주름 개선의 비교는 Labview를 이용한 주름 평가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였으며, 동물실험의 데이터는 시술 후 10주차 측정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실험그룹은 자연노화 그룹, PDO 시술 그룹, PDO에 RF고주파를 주입한 그룹, PDO에 CO2 gas를 주입한 그룹, PDO에 CO2 gas와 RF를 동시에 주입한 그룹으로 진행하였다. 자연노화 그룹의 개체들은 시술 전 평균 주름의 깊이는 0.408mm이었고, 10주째의 평균 주름의 깊이는 0.68mm으로 자연노화가 진행되었다. PDO 시술 그룹의 개체의 주름의 깊이는 시술 전 평균 0.384mm이었고, 시술 후 10주째에는 평균 0.348mm이었다. PDO에 RF고주파를 주입한 개체의 시술 전 평균 주름의 깊이는 0.42mm이었으며, 10주째 평균 주름의 깊이는 0.378mm이었다. PDO에 CO2 gas를 주입한 개체는 시술 전 평균 주름의 깊이는 0.4mm이었으며, 시술 후 10주째 평균 주름의 깊이는 0.332mm로 감소하였다. PDO에 CO2 gas와 RF고주파를 주입한 개체는 시술 전 평균 0.412mm, 시술 후 10주차 0.338mm로 감소를 볼 수 있었다. 동물 실험을 통하여 PDO봉합사에 CO2 gas와 RF를 주입한 시술이 가장 높은 17.96%의 감소율을 보였다.

한국인과 몽골인의 주름 패턴분석 (Wrinkle Pattern in Korean and Mongolian Women Population)

  • 서영경;김민지;김소정;백지훈;고재숙;양성민;김종현;임유리;최성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59-266
    • /
    • 2018
  • 오늘날의 사회에서는 삶의 질 향상으로 실제 나이보다 젊어 보이며 이에 따라 노화방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같은 나이의 사람들과 비교했을 때 본인이 젊어 보이는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외적 노화에 가장 주요한 영향을 주는 주름 지수를 구하고자 하였다. 전체 얼굴의 주름은 8개로 분할된 영역에 의해 점수화되었고, 실제 연령과 피부 파라미터 사이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 206명(한국인 여성 105명, 몽골 여성 1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연령대별로 20대, 30대, 40대, 50대를 네 군으로 나누었다. 주름 패턴은 주름, 미간, 코뿌리, 눈꺼풀, 눈밑주름, 눈꼬리, 팔자주름, 입가 8개 부위의 주름을 평가하고 주름 점수에 따른 계산식을 개발 하였다. 또한 계산식에 의해 얻어진 주름지수와 연관성 있는 피부 특성 파라미터를 알아보고자 피부 탄력, 모공, 주름, 피지 분비를 측정하였다. 방정식을 적용하여 계산한 한국인의 경우 주름연령과 실제연령과의 차이는 없었다. 반면, 몽골인에서는 실제연령과 비교하여 9세가 더 나이 들어 보인다고 밝혀졌다. 얼굴 주름 나이와 피부 특성 파라미터 사이의 상관 관계는 양국에서 피부 탄력 > 모공 또는 눈꼬리 주름 > 피부 색 > 피지 분비 순으로 나타났다. 피부 탄력은 얼굴 주름 나이와 가장 관련이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과 몽골 여성의 연령별 피부 주름 패턴을 규명하였으며, 이 연구로부터 개발된 주름살 계산식을 향후 화장품의 효능 연구에서 얼굴 주름의 나이를 계산하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xpression, Purification and Transduction of PEP-1-Botulinum Neurotoxin Type A (PEP-1-BoNT/A) into Skin

  • Kim, Dae-Won;Kim, So-Young;An, Jae-Jin;Lee, Sun-Hwa;Jang, Sang-Ho;Won, Moo-Ho;Kang, Tae-Cheon;Chung, Kwang-Hoe;Jung, Hyun-Ho;Cho, Sung-Woo;Choi, Jin-Hi;Park, Jin-Seu;Eum, Won-Sik;Choi, Soo-Young
    • BMB Reports
    • /
    • 제39권5호
    • /
    • pp.642-647
    • /
    • 2006
  • Botulinum neurotoxin A (BoNT/A) has been used therapeutically to treat muscular hypercontractions and sudomotor hyperactivity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BoNT/A might have analgesic properties in headache. PEP-1 peptide is a known carrier peptide that delivers fulll-ength native proteins in vitro and in vivo. In this study, a BoNT/A gene were fused with PEP-1 peptide in a bacterial expression vector to produce a genetic in-frame PEP-1-BoNT/A fusion protein. The expressed and purified PEP-1-BoNT/A fusion proteins were efficiently transduced into cells in a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when added exogenously in a culture medium. In addition,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revealed that PEP-1-BoNT/A fusion protein efficiently penetrated into the epidermis as well as the dermis of the subcutaneous layer, when sprayed on mice sk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P-1-BoNT/A fusion protein provide an efficient strategy for therapeutic delivery in various human diseases related to this protein.

A Multicenter Noncomparative Clinical Study on Midface Rejuvenation Using a Nonabsorbable Polypropylene Mesh: Evaluation of Efficacy and Safety

  • Pak, Chang Sik;Chang, Lan Sook;Lee, Hobin;Jeong, Jae Hoon;Jeong, Jinwook;Yoon, Eul-Sik;Heo, Chan Yeong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2권5호
    • /
    • pp.572-579
    • /
    • 2015
  • Background Facial rejuvenation can be achieved using a variety of techniques. Since minimally invasive procedures for face lifting have become popular because of their convenience and short operating time, numerous minimally invasive surgical procedures have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a nonabsorbable polypropylene mesh is introduced as a new face lifting instrument, with the nasolabial fold as the main target area. In this paper, we report the efficacy and safety of a polypropylene mesh in midface rejuvenation. Methods Thirty-three subjects with moderate-to-severe nasolabial folds were enrolled from two medical institutions for a noncomparative single-sample study. A mesh was inserted above the superficial muscular aponeurotic system layer, reaching the nasolabial folds through a temporal scalp incision. After 3 weeks, the temporal end of the mesh was pulled to provide a lifting effect. Then, the mesh was fixed to the deep temporal fascia using nonabsorbable sutures. To evaluate efficacy, we compared the scores on the Wrinkle Severity Rating Scale and a visual analog scale for patient satisfaction between the baseline and 7 weeks postoperatively. In addition, we evaluated safety based on the incidence of adverse events. Results The treatment was deemed effective at improving wrinkles in 23 of 28 cases, and patient satisfaction improved significantly during the study period. There were seven cases of skin or subcutaneous tissue complications, including edema and erythema, but there were no suspected serious adverse events. Conclusions Face lifting using a nonabsorbable mesh can improve nasolabial folds without serious adverse effects. Thus, this technique is safe and effective for midface rejuvenation.

악교정수술환자에서 폴리메틸메터크릴레이트(아테콜$^{(R)}$) 주입을 통한 융비술 (PMMA MICROSPHERES (ARTECOLL$^{(R)}$) INJECTION FOR NASAL RIDGE AUGMENTATION IN THE ORTHOGNATHIC SURGERY)

  • 옥용주;김명진;팽준영;명훈;황순정;최진영;이종호;정필훈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1권4호
    • /
    • pp.329-334
    • /
    • 2005
  • Polymethyl-methacrylate(PMMA; Artecoll$^{(R)}$) microspheres suspended 1 : 3 in a 3.5% collagen solution has been used as an injectable implant for long lasting correction of wrinkles and minor skin defects. The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have increased necessity for nasal augmentation. Usually these patients usually get an additional rhinoplasty after orthognathic surg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sult of PMMA injection for nasal ridge augmentation simultaneously with the orthognathic surgery. PMMAs were injected to the nasal dorsum of 13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to augment the nasal ridge at the end of the orthognathic surgery. The cephalometric X-ray and clinical facial photograph were taken at 2, 4 and 6 months after operation. Using S-N line, we calculated the change of soft tisuue on the nasal ridge and also investigated the degree of patients satisfaction at 6 months after operation. Most of th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nasal ridge height status from moderate to good degree. The average amount of nasal ridge augmentation was $1.4{\pm}0.5$ mm immediately after operation, $1.2{\pm}0.4$ mm at 2 months after operation. The postoperative nasal ridge height seemed to be remained stable after 2 months. Intraoperative PMMA injection is considered to be simple and effective technique which can be used for the minor augmentation of nasal ridge in the orthognathic patients.

하고초 추출물의 항노화 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otential Anti-aging Properties of Prunella vulgaris Extract In Vitro and In Vivo)

  • 홍은숙;안기웅;조병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9-13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하고초(Prunella vulgaris) 추출물의 항노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험 결과, 하고초 추출물의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는 250 ${\mu}g/mL$ 농도에서 75.7%, MMP-1 생성 억제 효과는 200 ${\mu}g/mL$ 농도에서 90.2%로 나타났고, 엘라스테이즈 활성 억제 효과는 2.0% 농도에서 43.7%로 나타났다. 또한, 하고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측정을 위한 자유 라티칼 소거 효과 시험 결과 2.0% 농도에서 76.9%의 소거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과산화수소에 의한 세포사멸 억제 효과는 2.0% 농도에서 49.9%로 나타났다. 하고초 추출물의 피부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2명(연령분포 : 34세$\sim$48세)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이중 맹검 임상 연구 결과, 하고초 추출물 4.0% 함유 제형을 12주간 도포하였을 때, 대조군과 비교하여 전문가의 육안평가, 모사판을 제작하여 주름의 정도를 분석한 결과 주름 개선에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p<0.05).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하고초 추출물은 피부의 탄력과 주름을 효과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천연 항노화 소재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elanogenesis regulatory constituents from Premna serratifolia wood collected in Myanmar

  • WOO, SO-YEU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22
    • /
    • 2019
  • Melanin is a mixture of pigmented biopolymers synthesized by epidermal melanocytes that determine the skin, eye, and hair colors. Melanocytes produce two different kinds of melanin, eumelanin (dark brown/black insoluble pigments found in dark skin and dark hair and pheomelanin (lighter red/yellow). The biological role of melanin is to prevent skin damage by ultraviolet (UV) radiation. However, the overproduction or deficiency of melanin synthesis could lead to serious dermatological problems, which include melasma, melanoderma, lentigo, and vitiligo. Therefore, regulating melanin production is important to prevent the pigmentation disorders. Myanmar has a rich in natural resources. However,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these natural resources in Myanmar have not been fully investigated. In the effort to search for compounds with anti-melanin deposition activity from Myanmar natural resources, five plants were collected in Myanmar. Extracts of these collected five plants were tested for anti-melanin deposition activity against a mouse melanoma cell line (B16-F10) induced with ${\alph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alpha}$-MSH) and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and their anti-melanin deposition activities were compared with the positive control, arbutin. Among the tested extracts, the CHCl3 extracts of the Premna serratifolia (syn: P. integrifolia) wood showed anti-melanin deposition activities with IC50 values of $81.3{\mu}g/mL$. Henc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econdary metabolites with anti-melanin deposition activity from P. serratifolia wood of Myanmar. P. serratifolia belongs to the Verbenaceae family and is widely distributed in near western sea coast from South Asia to South East Asia, which include India, Malaysia, Vietnam, Cambodia, and Sri Lanka. People in Tanintharyi region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Myanmar utilize the P. serratifolia, Sperethusa crenulata, Naringi crenulata, and Limonia acidissima as Thanaka, traditional cosmetics in Myanmar. Thanaka is applied in the form of paste onto skins to make it smooth and clear, as well as to prevent wrinkles, skin aging, excessive facial oil, pimples, blackheads, and whiteheads. However, the chemical constituents responsible for their cosmetic properties are yet to be identified. Moreover,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P. serratifolia was almost uncharacterized. Investigation of the P. serratifolia chemical constituents is thus an attractive endeavor to discover new anti-melanin deposition active compounds. The investigation of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active CHCl3 extract of P. serratifolia led to isolation of four new lignoids, premnan A (1), premnan B (2), taungtangyiol C (3), and 7,9-dihydroxydolichanthin B (4), together with premnan C (5) (assumed to be an artifact), one natural newlignoid,(3R,4S)-4-(1,3-benzodioxol-5-ylcarbonyl)-3-[(R)-1-(1,3-benzo dioxol-5-yl)-1-hydroxy methyl]tetrahydro-2-furanone (6), and five known compounds (7-11)1,2). The structures of all isolated compounds we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ir spectroscopic data and by comparison with the reported literatures. The absolute configurations of 1-3 and 5 were also determined by optical rotation and circular dichroism (CD) data analyses1). The anti-melanin deposition activities of all the isolated compounds were evaluated against B16-F10 cell line. 7,9-Dihydroxydolichanthin B (4) and ($2{\alpha},3{\alpha}$)-olean-12-en-28-oic acid (11) showed strong anti-melanin deposition activities with IC50 values of 18.4 and $11.2{\mu}M$, respectively, without cytotoxicity2). On the other hand, compounds 1-3, 5, and 7 showed melanogenesis enhancing activities1). To better understand their anti-melanin deposition mechanism, the effects of 4 and 11 on tyrosinase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The assay indicated that compounds 4 and 11 did not inhibit tyrosinase. Furthermore, we also examined the mRNA expression o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 (TYR), tyrosinase-related protein-1 (TRP-1),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2 (TRP-2). Compounds 4 and 11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Tyr and Mitf mRNAs, respectively. Although the P. serratifolia wood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cosmetics in Myanmar for centuries, there are no scientific evidences to support its effectiveness as cosmetics. Investigation of the anti-melanin deposition activity of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P. serratifolia thus provided insight into the effectiveness of the P. serratifolia wood as a cosmetic ag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