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MA7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5초

조피볼락(Sebastes schligeli)에 있어 사료내 단백질 사료원으로서의 어분대체품 (Fish Meal Analog as a Dietary Protein Source in Kor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김강웅;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3-151
    • /
    • 1997
  • 본 연구는 조피볼락 사료에 있어서 어분대체품을 결정하고, 상품어분대체품과 유인물질의 첨가 효과를 통하여 조피볼락용 어분대체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도 사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사료는 조단백질 52%로, 가용성 에너지 16.8 KJ/g으로 설계되었고, 주단백질원으로 북양어분, 어분대체품 및 상품어분대체품을 사용하였다. 사료의 성분조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사료1, 100%FM (control) ; 사료2, 60%FM : 40% CFMA ; 사료3, 60%FM : 40% CFMA+ATT ; 사료 4, 80%FM : 20% FMA ; 사료5, 80% FM: 20%FMA+ATT : 사료 6, ; 사료6, 60%FM : 40%FMA+ATT; 사료7, 40%FM : 60% FMA+ATT. 어분대체품은 혈분(BM), 오징어간분(SLP), 육골분(MBM), 수지박(LM), 가금부산물(PBP), 우모분(FM), 필수아미노산(Met, Lys, Ile) 등을 적절히 배합하여 제작 사용하였다. 성장률, 사료효율, 일간성장률 및 단백질효율에 있어서 사료 1은 사료 4, 사료 5 및 사료 6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P>0.05), 나머지 실험구들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특히, 상품어분대체품(CFMA)인 사료 2와 사료 3은 실험사료로 제작된 동일한 수준의 사료 6과 비교하여 성장률, 사료효율, 단백질효율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0.5% 유인물질을 첨가한 사료 3과 5는 사료 2와 4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P>0.05), 간중량지수, hemoglobin 및 비만도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5). 따라서, 조피볼락에 있어서 어분대체품(FMA)으로 어분단백질을 40%정도 대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생산자동화 시스템에서 필드버스 네트워크 구축 기술 연구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fieldbus network in the manufacturing automation system)

  • 김기암;홍승호;김지용;고성준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6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포항공과대학교, 포항; 24-26 Oct. 1996
    • /
    • pp.1020-1023
    • /
    • 1996
  • Fieldbus provides real-time data communication among field devices in the process control and manufacturing automation systems. This paper presents an implementation method of Profibus in the experimental model of manufacturing automation system. The manufacturing automation system considered in this paper consists of robots, NC machines, sensors, conveyers and PCs. The application task programs are developed on the basis of FMS/FMA7 communication services which are provided by Profibus application layer. The communication and application programs are developed in the real-time environment.

  • PDF

지지면에 따른 마비 측 한 발 서기 훈련이 만성 편마비 환자의 보행속도와 균형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ingle Leg Stance Training According to Different Support Surfaces on Walking Speed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Hemiplegia)

  • 김명철;이홍준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43-151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ngle-leg stance training according to different support surfaces on walking speed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hemiplegia. Methods: Twenty-two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were randomly categoriz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11 patients) and a control group (11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ingle-leg stance training was performed on an unstable surface after 50 min of general physical therapy. In the control group, single-leg stance training was performed on a stable surface after 50 min of general physical therapy. All participants performed five sets of single-leg stance exercises per minute and rested for 3 min. The intervention was performed 5 times a week for 4 weeks, and each patient was evaluated using the Berg Balance Scale (BBS), Fugl-Meyer Assessment Scale (FMA), and difference in walking speed between the first and last day of the intervention. Results: Compared to baseline measurements, both study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FMA, BBS, and walking speed (p<.05) after the intervention.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Howev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increases in FMA, BBS, and walking speed were 3.36 %, 9.50 %, and 7.71 %, respectively. In the control group, the increases in FMA, BBS, and walking speed were 2.39 %, 6.65 %, and 7.64 %. Conclusion: Single-leg stance training on different support surfaces could help improve walking ability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hemiplegia.

가속도계를 활용한 뇌졸중 환자의 환측과 건측의 사용량이 라이프 케어 증진을 위한 상지 기능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mount of Use on the Affected and Unaffected Side Using an Accelerometer in Stroke Patients on the Upper Limb Function Assessment for Improving Life Care)

  • 곽호성;김선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11-51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속도계를 활용하여 측정된 환측과 건측의 사용량과 상지 기능 간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임상 작업치료를 시행하는데 있어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2019년 5월 2일부터 2020년 7월 18일까지 원주시에 위치한 Y병원에 내원해 있는 뇌졸중 환자를 40명을 대상으로 가속도계(Accelerometer), 퍼글 마이어 평가(Fugle-Meyer Assessment: FMA), 운동 활동 척도(Motor Activity Log: MAL), 연세 양손 활동 검사(Yonsei-Bilateral Activity Test: Y-BAT)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건측의 사용량과 FMA, MAL의 사용량(Amount of Use: AOU), 움직임의 질(Quality of Movement: QOM), Y-BAT를 통한 양손 수행의 질과 만족도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환측의 사용량은 FMA, MAL의 AOU, QOM, 양손 수행의 질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가속도계를 활용하여 측정한 환측과 건측의 실제 사용량이 상지기능 평가항목으로써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밸런스 핸들 장치를 이용한 상지 운동 기능의 근전도 신호 분석 (EMG Signal Analysis of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using Balance-handle Device)

  • 이충근;송기호;안재용;신성욱;정성택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95-303
    • /
    • 2016
  • 편마비 환자의 상지 운동 기능 재활 치료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훈련의 정량적인 평가를 위한 다양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거치대와 핸들, 밸런스 볼을 결합한 밸런스 핸들 장치를 개발하였다. 피험자 7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상지 훈련 장치를 기울일 때 주요 상지 근육에 대한 근전도 신호의 변화를 측정하여 재활 훈련 장치로 사용이 가능한지에 대한 유효성을 검토하였다. 밸런스 핸들 장치를 앞뒤로 기울였을 때의 상지 신전 굴곡 운동 동작과 좌우 기울임을 이용한 상지 운동 동작에서 근 수축과 이완이 기준이 되는 주동근과 길항근에서 근 활성화 신호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Fugl-Meyer Assessment(FMA)의 신전 굴곡 운동 평가 항목에서 편마비 환자의 상지 운동 기능 평가에 이용되는 이두근, 삼두근, 삼각근에서 근 활성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된 장치를 활용하여 편마비 환자의 상지 재활 훈련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정상교합자에 있어서 Steiner씨 및 Tweed씨 분석법에 의한 교정학적 표준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TANDARDS ACCORDING TO THE STEINER AND TWEED ANALYSIS IN KOREAN NORMAL OCCLUSION)

  • 이과희;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3-94
    • /
    • 1983
  • For the better orthodontic diagnosis, case analysis, and treatment plan, the author studied the cephalometric analysis of 365 Korean with normal occlusion occording to the Steiner and Tweed analysis. The subjects consisted of 162 males and 203 females from 7 to 19 years with normal occlusion and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Hellman's dental age.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Ideal Acceptable Compromises were determined after measurement of male and female average by the Steiner analysis in Hellman's dental age III B, IV A, IV C group. 2. The Holdaway ration were 6.5:1.0 in Group I, 6.5:1.5 in Group II, 6.5:1.5 in Group III. 3. The Tweed's triangle were $FMA\;27^{\circ}\;FMIA\;58^{\circ}\;IMPA\;95^{\circ}$ in Group I and II, $FMA\;27^{\circ}\;FMIA\;62^{\circ}\;IMPA\;95^{\circ}$ in Group III.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골격유형에 따른 치아치조특성 (Dentoalveola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facial types of Class III Malocclusion)

  • 박성수;김현덕;이대희;김정기;전영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1호통권90호
    • /
    • pp.33-42
    • /
    • 2002
  • 본 연구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두부방사선사진 분석을 통하여 수평적, 수직적 골격 형태에 따른 치아치조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전북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중 교정 치료의 경험이 없는 남자 29명, 여자 31명, 합계 60명(평균나이 :남자 19.4세, 여자 20.2세)의 표본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III급 부정교합의 치아, 치조의 보상적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군는 남녀 모두 정상교합보다 작은 IMPA를 보였다(p<0.01). 2.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남녀군 모두에서 하악골의 전후방적 위치를 나타내는 SNB 및 NtoPog은 하악전치의 전후방 경사를 나타내는 IMPA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남자군에서는 SNB가 SNU1, FHU1, PalU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p<0.01), 여자군에서는 SNU1만이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3.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남자군에서 하악골의 수직적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SNMP, FMA, PalMP와 하악전치의 전후방 경사를 나타내는 IMPA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p<0.01), SNU1, FHU1, PalU1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여자군에서는 FMA, PalMP와 IMPA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4.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 high angle군에서 low angle군과 비교하여 SNU1, IMPA가 작은값을 보였다(<0.05).

가정-중심 가상현실이 만성뇌졸중환자의 팔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 실험자 맹검 단일실험연구 (Effects of Home-based Virtual Reality on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for Stroke - An Experimenter Blind Case Study)

  • 이정아;황수진;송창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023-302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편마비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상지 운동기능 회복을 위하여 적용한 가상현실 가정운동프로그램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만성 뇌졸중 환자 2명을 대상으로, 한 명의 참여자는 가상현실운동프로그램을 가정운동프로그램으로 처방하여 실행하였고, 다른 한 명의 참여자는 강제-유도운동치료를 가정운동프로그램으로 처방하여 실행하였다. 치료기간은 4주간으로 1주일에 총, 5회로 1회에 4시간씩 실시하였다. 평가는 뇌졸중 기능회복평가(Fugl-Meyer Assessment; FMA), 운동활동척도검사(Motor Activity Log, MAL), 그리고 울프운동기능검사(Wolf Motor Function Test; WMFT)를 이용하였다.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을 가정운동프로그램으로 실시한 대상자가 모든 운동기능평가에서 상당한 기능적 회복을 보여주었다. 특히, FMA 점수는 가상현실프로그램을 사용한 대상자는 17% 향상된 반면, 강제유도운동치료를 가정운동프로그램으로 실시한 대상자는 5% 증가하였다. 또한, MAL 점수의 환측 상지를 이용하는 양(Amount of Use; AOU)와 움직임의 질(Quality of Movement; QOM)점수에서도 가정중심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대상자가 각 40%, 20% 향상된 반면, 강제유도운동치료를 받은 대상자는 각각 0%, 20% 증가하였다.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사용한 대상자와 강제유도운동치료를 받은 대상자의 WMFT 점수가 모두 20%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만성 편마비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 기능 향상을 목적으로 가정운동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이 강제-유도운동치료보다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뇌졸중 환자에 대한 상지기능 평가도구의 검사자간 신뢰도 (Interrater Reliability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ssessment on Stroke)

  • 황성수;김푸름;원지인;유선주;윤준병;이근우;이왕재
    • PNF and Movement
    • /
    • 제10권1호
    • /
    • pp.1-7
    • /
    • 2012
  • Purpose : To verify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ssessment among three tools(Wolf motor function test, Motor assessment scale, Fugl-meyer assessment scale).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40 (20 was physical therapists and 20 was physical therapy students). For the test one patients with chronic hemiparesis after strok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Wolf Motor Function Test consists of 16 functional tasks. The motor assessment scale consists of 3 functional tasks. The fugl-meyer assessment scale consists of 8 functional tasks. All test sessions were videotaped and scored by 40 subjects. Analysis : The data was analysis by SPSS PC 14.0 with Cronbach alpha Coefficient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Kendall tau-b value. Results : WMFT was highly scored in Cronbach's value, Cronbach's ${\alpha}=0.819$ that means high interrater reliability among assessment. WMFT was highly scored all items in p-value except one item, that means high p-value between therapists and students. WMFT was highly scored in Intrarater correlation coefficient (ICC) = 0.79, that means high interrater reliability of each examination item. WMFT was low index of coincidence from all items, MAS was low index of coincidence from a tim and FMA was low index of coincidence from 4 items. Conclusion :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WMFT were compared with MAS, FMA and highly verified. WMFT can be more useful tool among upper extremity function assessment.

원심모형실험을 이용한 경량포장체의 거동특성 (Behavior characteristics of Light-Weight Pavement Using Centrifuge Test)

  • 김성겸;이관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5176-5183
    • /
    • 2013
  • 일반적으로 국내에서의 경량기포콘크리트는 건축용 온도구조용 단열재나 토목용 폐공 채움재, 터널의 뒤채움재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기타 사무실 바닥 충전재, 경량블록제조 등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사용범위를 확대하여 연약지반에 도로건설시 등간격으로 말뚝을 설치하여 기층으로 사용하는 공법을 연구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량포장체의 연약지반에서의 거동 특성을 분석하기위해 지오센트리퓨지 시험을 이용하였다. 실제 포장체를 1/30로 축소한 슬래브 형태의 모형을 카올리나이트로 조성된 연약지반에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말뚝 배열은 무리말뚝(36본 $3{\times}12$)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시험 중력 레벨은 실중력의 30배로 원심력을 작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이때 작용하는 경량포장체 모형의 거동특성을 바탕으로 실제 경량포장체의 거동특성을 추정하였다. FMA해석결과의 10배인 39.4kg(실제 하중35ton)의 횡하중를 가했을 경우 7.8mm(실제 거동 23.4mm)의 미세한 거동만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