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ERING

검색결과 1,944건 처리시간 0.028초

Gui Valley: A High Yielding Potential and Good Processing Potato Cultivar

  • Lim, Hak-Tae;Dhital, Shambhu Prasad;Khu, Don-Man;Li, Kui-Hwa;Choi, Seon-Phil;Kang, Chang-Won;Kim, Tae-Joo;Mo, Hwang-Sung;Hwang, Won-Nam;Lee, Woo-Jo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483-488
    • /
    • 2009
  • The main objective of this breeding program is to develop high yielding, disease resistance and good processing potato cultivar. 'Gui Valley' is a clonal selection resulting from a cross between 'ND2471-8' and 'Cona'. It has medium plant height and light green foliage. 'Gui Valley' has medium flowering habit and light pink flowers. 'Gui Valley' is a medium maturing potato cultivar and tubers are smooth, yellow skin, light yellow flesh, long-oval tuber shape, distinct red eyes with medium depth and medium dormancy. It has high level of tuber uniformity and good keeping quality. 'Gui Valley' demonstrates resistance to potato virus Y (PVY), soft rot, but moderately susceptible to late blight and common scab. It is also resistant to most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physiological disorders particularly dehiscence, hollow heart and internal brown spot. The specific gravity of 'Gui Valley' is significantly higher (1.097) than that of 'Shepody' (1.078). 'Gui Valley' has suitable for processing mainly French fries and chips. This cultivar has high level of tuber uniformity and capable of yielding 37.6 $t{\cdot}ha^{-1}$, which is 18.2% higher than the control potato cultivar 'Shepody' under optimum agronomical practices.

신미종(辛味種) 고추의 주요(主要) 성분(成分)의 함량(含量)에 미치는 광질(光質) (Red, Blue)의 영향(影響) (Effect of Light Quality (Red, Blue) on the Major Components of Hot Pepper Fruit)

  • 김광수;노승문;박정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62-165
    • /
    • 1979
  • 신미종(辛味種) 고추인 가락금장 2호를 공시(共試) 품종(品種)으로 하여 추숙(追熟) 시(時)에 red 광(光)을 처리(處理)하여 white 광(光)에 대(對)한 적변(赤變) 효과와 주요(主要) 성분(成分)에 미치는 광질(光質)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추숙용(追熟用) 녹숙(綠熟) 고추는 개화(開花) $30{\sim}35$일(日) 정도의 것을 사용(使用)하였고, 이때 실험(實驗)은 $25^{\circ}C$ 항온(恒溫)에서 행(行)하였으며, 약(約) $40\;{\mu}watt/cm^2{\cdot}sec$에너지 수준의 광(光) 처리(處理)를 1일(日) 12시간(時間) 하였다. 광(光) 처리(處理)에 의(依)한 chlorophyll의 감소(減少) 현상(現狀)은 blue 광하(光下)에서 뚜렷하였고, red 광구(光區)는 white 광구(光區)와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chlorophyll a와 b도 blue 광(光)에 의한 total chlorophyll의 감소(減少) 현상(現狀)과 동일(同一)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Total carotenoid는 blue 광(光) 처리구(處理區)에서 생성(生成)이 촉진되었고 (약(約) 31%), 착색도(着色度)(color score)와 chlorophyll의 영향(影響)과는 달리 대조구(對照區)인 white 광구(光區)에 비(比)하여 red 광(光) 처리구(處理區)에서 함량(含量)이 적었다. 그러나 ${\beta}-carotene$은 red 광(光)의 효과는 없었고, blue 광구(光區)에서 0.71 mg%-f.w.로 white 구(區)의 0.56 mg%-f.w.에 비(比)하여 많았다. 따라서 추숙(追熟) 시(時) 착색(着色) 효과는 blue 광하(光下)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신미(辛味) 성분(成分)(capsaicin) 역시 red 광(光)의 효과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고 다만 blue 광하(光下)에서 다소 많았다.

  • PDF

온도(溫度) 및 일장조건(日長條件)에 따른 참당귀 생육특성(生育特性)과 추대현상(抽臺現象) (Effect of Temperature and Daylength on Growth and Bolting of Angelica gigas NAKAI)

  • 안상득;유창연;서정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0-25
    • /
    • 1994
  • 참당귀 추대에 비하여 온도와 일장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연구하므로서 개화생리현상(開花生理現狀)을 구명하고 이를 토대로 추대억제방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참당귀는 다른 월년생(越年生) 식물(植物)과 달리 저온처리 없이도 개화되었는바 추대(抽臺) 및 개화(개화)에 대한 저온감응도(低溫感應度)는 둔감한 식물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2. 처리온도별 신아(新芽)의 출현 및 초기생육은 $20^{\circ}C$$25^{\circ}C$에서 양호한 반면 $15^{\circ}C$에서는 늦게 발육이 부진한 경향이었으나 생육중기 이후에는 $15^{\circ}C$$20^{\circ}C$에서 양호한 반면 고온인 $25^{\circ}C$처리구에서는 부진하였다. 3. 참당귀의 추대는 생육적 온인 $20^{\circ}C$에서 추대율이 높은 반면 고온이나 저온에서는 추대율이 다소 낮았고 일장에 따라서는 일조시간이 길수록 추대율이 높았다. 4. 근중(根重)은 목질화(木質化)로 인하여 추대율이 높던 $20^{\circ}C$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15^{\circ}C$에서는 지상부의 영양생장기간(營養生長期間)이 길어 추대가 늦었으며 목질화의 진행도 완만(緩慢)하여 비교적 추대율이 높았음에도 수양(收量)은 많은 경향이었으나 비추대개체(非抽臺個體)에 비하여 품질은 낮은 경향이었다. 5. 추대율을 낮추거나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생육적온인 $20^{\circ}C$ 이내가 좋고 화아분화기에 단일(短日), 약광(弱光) 상태가 바람직하여 서늘한 지역의 곡간지 포장이나 차광재배등으로 추대율 감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갯쑥부쟁이(Heteropappus hispidus (Thunb.))의 감마방사선 감수성과 M1 세대 형질변동 특징 (Gamma Radiation Sensitivity and Quantitative Characters in M1 Generation of Heteropappus hispidus (Thunb.))

  • 오병권;홍경애;송성준;이선주;이영일;유장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4-299
    • /
    • 2003
  •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갯쑥부쟁이(Heteropappus hispidus (Thunb.))에 감마선을 10, 20, 40, 80, 120, 160, 200, 300, 400 Gy 수준으로 나누어서 조사한 뒤 발아율 및 발아 30일 후의 본엽 출현율, $LD_{50}$, 본엽길이, 줄기부분의 안토시아닌 색소 형성 유무, 생육 60일 후의 로젯형 엽, multi-shoot 형성율, 초장, 개화 결실률 등의 주요 양적형질들을 생존개체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120Gy 까지의 발아율은 88.5%로 대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60Gy 이상에서부터는 급격히 감소하여 치사선량($LD_{50}$)은 160 Gy 범위 정도였다. 또한, 본엽 출현율과 그 길이는 조사선량이 높아질수록 억제되었다. 안토시아닌 색소 형성은 조사선량이 높을수록 대조구 2%에서 30%로 높아졌으며 로젯형도 고선량 처리구에서 발생하였다. Multi-shooting은 80Gy 이상일 때부터 나타났으며 multi-shooting을 형성하는 개체들은 초장은 짧고 줄기는 가늘게 다발형으로 자라는 특성이 있어서 만일 형질이 고정된다면 화분 관상용 개체로 선발하기에 적합하였다. 특히, 조사선량이 증가됨에 따라서 안토시아닌 색소 형성, 로젯형 개체, multi-shoot등의 개체가 많이 출현되었는데 이는 돌연변이 유기의 선발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Effects of Planting Densities and Maturing Types on Growth and Yield of Soybean in Paddy Field

  • Cho, Jin-Woong;Lee, Jung-Joon;Oh, Young-Jin;Lee, Jae-Dong;Lee, Sang-Bo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05-109
    • /
    • 2004
  • Field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southeastern Korea ($36^{\circ}$N) on a commerce silt loam soil at paddy field. Seed were manually planted on 16 July 2003. Plants were planted with plant densities of 70${\times}$10 cm (row width x plant spacing), 50 x 10 cm, and 30 ${\times}$10 cm. Two seedlings per hill were taken prior to V3 stage. Fertilizer was applied prior to plant at a rate of 30-30-34 kg (N-$\textrm{P}_2\textrm{O}_5$-$\textrm{K}_2\textrm{O}$) per ha. Experimental design wa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in a split plot arrangement with three replications. Yield from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responded similarly in three soybean cultivars and increased when planting density increased. Somyeongkong showed the highest increasing rate of yield about 26% by 338 g $\textrm{m}^{-2}$ at 30 x l0 cm compared to yield of conventional planting density (70 x 10 cm). Also, the planting density significantly affected pod and seed number and seed weight, but not seed per pod. The tallest plant appeared at 30${\times}$10 cm. The change of leaf area according to days after emergence showed differently in soybean cultivars. The highest and lowest total dry matter production per square meter appeared at 30 x 10 cm and at 70 x 10 cm, respectively. Crop growth rate (CGR) showed greater at R3∼R4 stages compared with V7∼R2 or R2∼R3 growth stages and showed the greatest at 30 x 10 cm in three soybean cultivars. As late planted soybean,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seed yield and CGR, and leaf area index (LAI) according to planting densities at before and after the flowering stage. Relationship between seed yield and CGR in three planting densities showed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textrm{R}^2$=0.757) at R3 to R4 stages, and significant relations ($\textrm{R}^2$=0.505, 0.617) at V7 to R2 and V2 to V3. Also,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difference between seed yield and LAI during R3 to R4 and R2 to R3 stages.

파종기 추동 및 질소비료수준차이가 홍화의 생육,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ifting Planting - time and Different Nitrogen Level on the Yield and Characteristics of Plant Growth in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 박종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6-102
    • /
    • 1981
  • 본 실험은 홍화에 대한 파종기 7수준(3월 17일부터 5월 16일까지 10일 간격)과 질소 비료 5개 수준(무배비, 0.5배비, 표준비, 1.5배비 및 2배비)으로 각각 파종하여 알맞는 파종 적기 및 시비량 수준에 따른 형질간의 변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상지대학 농학과 실습 포장에서 실시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아율은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되고 발아세는 파종기가 늦어질 수록 증가하였다. 발아 최감기는 위의 결과와 반대로 반종기가 늦어질수록 단축되였다. 발아 소요 기간도 파종기가 늦어갈 수록 단축되었다. 2.초장, 분지수, 치경에서도 파종기가 늦어질 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질소 시비량이 증가할 수록 초장 및 분지수는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3. 꼬투리와 1,000입중도 파종기가 지연될수록 감소되었고 1,000입중은 파종기가 이를 수록 무거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질소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꼬뚜리수와 수량에서토 현저한 증가를 보여 주었다. 4. 파종기 차이에 따른 등황색 및 등홍색 꽃의 중량은 4월 상순 파종구가 가장 무거웠다. 그러나 질소 시비량의 증가는 개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5. 본 실험의 결과로서 파종 적기는 4월 상순이라고 믿어졌고 홍화 재배에서는 다비의 효과가 있는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 PDF

참깨 개화, 등숙에 관한 연구 VI. 참깨 초형에 따른 착삭부위별 등숙율 (Studies on Flowering and Maturity in Sesame(Sesamum indicum L.) VI. Grain Filling Rate for Differently Positioned Capsules in Different Plant Types)

  • 이정일;강철환;손응룡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14-219
    • /
    • 1986
  • 참깨의 신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코자 527품종 중에서 분지의 유무, 착과성 및 삭실방에 따라 분류한 8개 초형에 대하여 각 2개씩의 품종을 공시하여 초형에 따를 착삭위치별 등숙율의 차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경중앙삭에서는 등숙률이 중ㆍ하위간에 큰차리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측삭에서는 하위>중위>상위의 순으로 좋았으며 중앙삭이 측삭보다 양호한 등숙을 보였다. 2. 분지에서는 하위>상위, 중앙삭>측삭의 순으로 높았다. 3. 1과성형은 3과성형보다, 단경형은 분지형보다 등숙이 양호하였는데 3과성형에서는 측삭, 분지형에서는 분지삭에서의 등숙불량이 3과성형과 분지형의 등숙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4. NMB (단경, 1과성 2실 4방)형은 양호한 등숙을 보였으며, BTB(분지, 3과성 2실 4방)형은 중 정도의 등숙을 보였으나 가장 많은 sink를 보유하여 수양성에서는 가장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5. NTQ(단경, 3과성 4실 8방)형과 BTQ(분지, 3과성 4실 8방)형과 BTQ(분지, 3과성 4실 8방)형은 상위측삭에서 결실이 안되어 전체등숙은크게 떨어졌으나 NMQ, BMQ형 등은 같은 4실 8방형이면서도 3과성형과는 달리 양호한 등숙을 보여 3과성 4실 8방형에서도 source를 확대하여 양분공급을 늘린다면 대형삭의 이점을 살린 이상초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단고추(피망) 육묘시 주야간 온도차(DIF)가 플러그묘 생장과 정식후 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Difference between Day and Night Temperatures (DIF)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Bell Pepper Plants before and after Transplanting)

  • 임기병;손기철;정재동;김종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5-25
    • /
    • 1997
  • 피망(Capsicum annuum L.) 플러그 육묘시 초장 조절을 위해 주야간 온도차(DIF)에 따른 16조합 처리를 50일간 실시한 뒤 각각의 묘소질에 따른 정식후 생육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주야간 온도차 처리에 따른 피망 플러그묘의 초장은 주간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같은 일평균 온도에서는 -DIF에 의해 억제되고, +DIF에 의해 촉진되었다. 엽전개 속도는 DIF처리 효과보다는 일평균 온도에 의해 좌우되었고, 생체중 및 건물중은 일평균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야간온도에 비해 주간온도가 크게 영향을 미쳤다. 엽면적과 줄기직경은 주야간온도가 16$^{\circ}C$부터 24$^{\circ}C$로 증가할 때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감소하였다. 육묘시 온도처리에 따른 제 1번화의 착생 절위는 일평균 온도가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나 화뢰의 퇴화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피망육묘시 DIF를 조절하여 육묘시 초장조절이 가능하며 -DIF 처리로 초장이 억제된 유묘일지라도 정식후 +DIF 조건에서 재배함으로써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었다. 또한 엽전개 속도(생육속도)와 제 1번 화의 화아 분화도 일평균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조절이 가능하며, 적온 범위 내에서 일평균 온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화아 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발아시기 정밀추정에 의한 포도 만상해 경보방법 개선 (Phonology and Minimum Temperature as Dual Determinants of Late Frost Risk at Vineyards)

  • 정재은;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8-35
    • /
    • 2006
  • 근년에 자주 나타나고 있는 봄철 과원의 서리피해는 관측된 기온이 비슷한 지역일지라도 개화 혹은 발아 단계의 과원에서 집중되고 있어 효율적인 상해 경보시스템 운영을 위해서는 발아기 혹은 만개기의 정확한 예측이 필요하다. 품종별 모수가 알려져 있는 포도 거봉, Campbell Early를 대상으로 생물계절모형을 적용하여 발아기를 추정하고 최저기온 예상치와 함께 늦서리 위험도 추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발아 이후에 최저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면 상해가 발생한다고 가정하는데, 추정값의 오차범위를 고려한 발아일 이후 일 최저기온이 $-1.5^{\circ}C$ 이하로 떨어지면 경보(Warning), ${\pm}1.5^{\circ}C$ 사이면 주의보(Watch)를 발령한다. 이 방법을 2004년과 2005년 4월 경기 안성의 포도원에 적용하여 결과의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1971-2000평년의 기후조건에서 예상되는 안성지역의 포도 늦서리피해 위험지역을 30 m의 고해상도 전자기후도로 표현하였다. 안성시 전역을 30 m 격자점으로 표현하면 총 608,585개로 구성되는데, 평년의 포도 상해위험지역 판정결과 거봉은 1,059지역이, Campbell Early는 2,788지역이 주의지대로 예상된다.

겨울기온 상승에 따른 복숭아 나무 '장호원황도' 품종의 결과지에 대한 동상해위험 공간분석: II. 휴면심도로 표현한 생리적 내동성에 근거한 동해위험지수 (Geospatial Assessment of Frost and Freeze Risk in 'Changhowon Hwangdo' Peach (Prunus persica) Trees as Affected by the Projected Winter Warming in South Korea: II. Freezing Risk Index Based on Dormancy Depth as a Proxy for Physiological Tolerance to Freezing Temperature)

  • 김진희;김수옥;정유란;윤진일;황규홍;김정배;윤익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13-220
    • /
    • 2009
  • 복숭아 나무 '장호원황도' 품종의 결과지에 대한 월동기간 중 생리적 내한성을 가리키는 지표로서 일별 기온에 의해 계산되는 휴면심도를 설정하였다. 휴면심도 추정모형의 최적모수(기준온도, 저온요구도)를 도출하기 위해 2008-2009 겨울 동안 총 12회에 걸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내생휴면해제에 필요한 '장호원황도'의 기준온도 $5.7^{\circ}C$와 저온요구도 -108을 얻었다. 1992-2008년 기간 중 수원기상대 일 최고 및 최저기온자료를 이용하여 이 모형에 의해 '장호원황도'의 만개기를 예측하고 기존의 DVS모형과 회귀모형에 의한 예상 만개기와 비교한 결과 이 모형의 예측능력이 우수하였다. 이 모형에 의해 추정된 휴면심도를 선행연구에서 얻은 동해유발온도와 결합하여 동해위험확률을 계산할 수 있는 경험식을 도출하였다. 날짜와 최저기온이 주어지면 이 식에 의해 '장호원황도'의 갈변이나 발아장해 등 동해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확률, 즉 동해위험 지수를 미리 알 수 있으므로 복숭아 재배농가의 동해 경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