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GO stage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5초

자궁경부암에 있어서 병기결정을 위한 검사의 효용성 (Efficiency of Staging Work-Ups in the Evaluation of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 김재성;하성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271-276
    • /
    • 1991
  • 요로조영술, 방광경검사, 직장내시경검사 등 자궁경부암에 있어서 병기결정을 위해 필요한 검사의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979년 3월부터 1986년 12월까지 방사선 치료를 받은 510명의 자궁경부암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요로조영술 및 방광경검사상 각각 $10.7\%$(49/456), $5.3\%$(24/452)가 이상소견을 보였으나 직장내시경검사에서는 $0.7\%$(3/413)만이 이상소견을 보였다. FIGO 병기결정에 필수적인 이러한 검사 결과로 26명의 환자 ($5.1\%$)가 골반내진 소견만으로 얻어진 병기보다 FIGO 병기가 상승하게 되었다. 각 병기의 환자에서 병기상승의 비율은 IB및 IIA병기에서는 $0\%$ (0/124), IIB 병기에서는 14명의 환자가 FIGO IIIB 병기로 또한 6명의 환자가 FIGO IVA 병기로 상승하여 $7.9\%$(20/252)로 나타났으며, IIIA 병기에서는 $0\%$(0/8), IIIB 병기에서는 6명이 FIGO IVA병기로 상승하여 $4.8\%$(6/126)로 나타났다. 병기결정을 위한 검사상 양성소견은 IIB 병기 이상의 진행된 병기에서만 나타났으며 초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보조적 검사로 337명이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받았으며 전산화단층촬영상 골반 임파절비대 소견이 $25.2\%$(85/337), 대동맥 임파절비대 소견이 $7.4\%$(25/337)에서 관찰되었다. 골반 임파절비대 소견의 빈도는 병기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대동맥 임파절비대 소견은 이러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자궁방결합 조직의 침윤소견에 있어서 전산화단층촬영 소견과 골반내진 소견은 $65.6\%$(442/674)에서 일치하였다. 또한 주위장기 침범소견에 있어서 전산화단층촬영은 내시경 검사를 기준으로 비교할 경우 음성예측치에 비하여 상당히 낮은 양성예측치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병기결정을 위한 검사의 선택은 각 환자의 이학적 소견상의 진행정도를 고려하여 시행되어야 하며 그렇게 할 경우 적절한 FIGO 병기가 결정되면서 그 효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Clinical Outcomes and Toxicity of Lobaplatin- Versus Cisplatin-Based Concurrent Chemotherapy Plus Radiotherapy and High-Dose-Rate Brachytherapy for FIGO Stage II and III Cervical Cancer

  • Wang, Ji-Quan;Wang, Tao;Shi, Fan;Yang, Yun-Yi;Su, Jin;Chai, Yan-Lan;Liu, Z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5957-5961
    • /
    • 2015
  • Background: We designed thi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to assess whether lobaplatin-based concurrent chemotherapy might be superior to cisplatin-based concurrent chemotherapy for FIGO stage II and III cervical cancer in terms of efficacy and safety. Materials and Methods: This prospective, open-label RCT aims to enroll 180 patients with FIGO stage II and III cervical cancer,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the three treatment groups (cisplatin $15mg/m^2$, cisplatin $20mg/m^2$ and lobaplatin $35mg/m^2$), with 60 patients in each group. All patients will receive external beam irradiation (EBRT) and high-dose-rate intracavitary brachytherapy (HDR-ICBT). Patients in cisplatin $15mg/m^2$ and $20mg/m^2$ groups will be administered four cycles of $15mg/m^2$ or $20mg/m^2$ cisplatin intravenously once weekly from the second week to the fifth week during EBRT, while patients inthe lobaplatin $35mg/m^2$ group will be administered two cycles of $35mg/m^2$ lobaplatin intravenously in the second and fifth week respectively during pelvic EBRT. All participants will be followed up for at least 12 months. Complete remission rate and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will be the primary endpoints. Overall survival (OS), incidence of adverse events (AEs), and quality of life will be the secondary endpoints. Results: Between March 2013 and March 2014, a total of 61 patients with FIGO stage II and III cervical cancer were randomly assigned to cisplatin $15mg/m^2$ group (n=21), cisplatin $20mg/m^2$ group (n=21) and lobaplatin $35mg/m^2$ group (n=19). We conducted a preliminary analysis of the results. Similar rates of complete remission and grades 3-4 gastrointestinal reactions were observed for the three treatment groups (P=0.801 and 0.793, respectively). Grade 3-4 hematologic toxicity was more frequent in the lobaplatin group than the cisplatin group. Conclusions: This proposed study will be the first RCT to evaluate whether lobaplatin-based chemoraiotherapy will have beneficial effects, compared with cisplatin-based chemoradiotherapy, on complete remission rate, PFS, OS, AEs and quality of life for FIGO stage II and III cervical cancer.

자궁 내막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결과 (The Results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Endometrial Carcinoma)

  • 노오규;이상욱;안승도;최은경;김종혁;김용만;남주현;목정은;김종훈;신성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5권2호
    • /
    • pp.93-100
    • /
    • 2007
  • 목 적: 근치적 자궁절제술 후 보조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 받은 자궁내막암 환자의 치료 성적 및 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9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자궁내막암으로 자궁 절제술을 시행한 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7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FIGO 병기는 I, II, III기가 각각 41명(53.9%), 12명(15.8%), 23명(30.3%)이었다. 조직분화도는 1이 29명(38.2%), 2가 20명(26.3%), 3이 27명(35.5%)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외부방사선 조사와 강내 조사를 함께 시행한 환자가 42명, 외부 방사선 조사만 시행한 환자가 33명, 강내 조사만 시행한 환자는 1명이었다. 외부 방사선 치료의 조사 선량은 50.4 Gy였으며, 강내 조사는 1회 분할 선량을 $4{\sim}5\;Gy$$4{\sim}6$회 실시하였다. 생존환자의 추적기간은 5개월에서 121개월로서 중앙값은 51개월이었다. 결 과: 5년 전체 생존율은 89.6%이었으며, FIGO I기는 96.8%, II기는 91.7%, III기는 75.7%였다. 5년 무병 생존율은 83.7%이었고, FIGO 병기에 따라 I기는 94.8%, II기는 91.6%, III기는 59.8%이었다. 단변량 분석에서 전체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는 FIGO 병기, 림프절 양성 유무, 조직분화도였고, 무병 생존율에서는 관계되는 인자는 FIGO 병기, 림프절 양성 유무, 림프혈관침범 유무였다. 총 11명에서 재발하였고, 국소재발 1명, 원격전이가 10명이었다. 방사선 치료 후에 중등도 이상의 합병증을 보이는 경우는 없었다. 결 론: 자궁내막암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의 성적은 좋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주로 원격전이로 재발하는 양상으로 보이므로 항암치료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FIGO 병기가 높거나, 림프절 양성이거나, 림프혈관침범이 있거나, 조직 분화도가 높은 고위험 군에서 항암제를 포함한 방사선치료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궁육종 20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20 Uterine Sarcomas)

  • 이영기;박윤기;이두진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275-285
    • /
    • 1998
  •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1991년 1월부터 1998년 6월까지 20례의 자궁육종을 경험한 결과 자궁육종 환자의 연령별 분포는 24세에서 71세이었고 평균 연령은 50.2세였고 평균 분만 횟수는 3.7회였다. 병기는 1기가 9례(45.0%), 2기가 1례(5.0%), 3기가 6례((30.0%), 4기 가 4례(20.0%)이었으며 병기에 따른 생존율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병리조직검사상 자궁평활근육종이 13례(65.0%), 악성 혼합 뮬러씨 종양이 5례(25.5%), 기타 횡문근육종 1례, 맥관육종 1례로 조직검사에 따라서도 생존율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된 임상증상으로는 부정기적 질출혈이 7례(35.0%), 하복부동통이 5례(25.0%), 비정상 복부종괴가 5례(25.0%)였다. 조직학적 소견상 10 HPF당 유사분열수가 6-10개인 경우가 2례, 10-15개인 경우가 3례, 16-20개인 경우가 2례, 20개 이상인 경우가 2례였으며 이들 유사분열수와 생존기간과의 관계는 조사할 수가 없었다. FIGO 병기 1기의 중앙생존기간은 27.0개월이었고 3기는 23.5개월, 4기는 3.0개월이었으며 2기는 산출이 불가능하였고 이들 병기와 생존기간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적 방법, 화학요법, 방사선 요법을 실시하였으며 수술적 방법으로는 전자궁 및 양측 부속기 절제술이 15례 (75.0%), 전자궁 및 단측 부속기 절제술이 3례(15.0%), 근치적 자궁적출술이 1례였다. 치료결과 6명이 사망하였고 7명이 생존해 있는데 모두 무병상태로 추적 관찰중이며 나머지 7명은 추적이 불가능하였다. 추적조사를 위한 지표로서 CA-125가 5례에서 사용되었는데 그중 2례(40.0%)에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 PDF

Locoregional Spread and Survival of Stage IIA1 versus Stage IIA2 Cervical Cancer

  • Hongladaromp, Waroonsiri;Tantipalakorn, Charuwan;Charoenkwan, Kittipat;Srisomboon, Jatupo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호
    • /
    • pp.887-890
    • /
    • 2014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surgical outcomes and survival rates of patients with the 2009 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FIGO) stage IIA1 versus IIA2 cervical cancer treated with radical hysterectomy and pelvic lymphadenectomy (RHPL). Patients with stage IIA cervical cancer undergoing primary RHPL between January 2003 and December 2012 at Chiang Mai University Hospital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analysis included clinicopathologic variables, i.e. nodal metastasis, parametrial involvement, positive surgical margins, deep stromal invasion (DSI)), lymph-vascular space invasion (LVSI), adjuvant treatment, and 5-year survival. The chi square test, Kaplan-Meier method and log-rank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During the study period, 133 women with stage IIA cervical cancer, 101 (75.9 %) stage IIA1, and 32 (24.1 %) stage IIA2 underwent RHPL. The clinicopathologic variables of stage IIA1 compared with stage IIA2 were as follows: nodal metastasis (38.6% vs 40.6%, p=0.84), parametrial involvement (10.9% vs 15.6%, p=0.47), positive surgical margins (31.7% vs 31.3%, p=1.0), DSI (39.6% vs 53.1%, p=0.18), LVSI (52.5% vs 71.9%, p=0.05) and adjuvant radiation (72.3% vs 84.4%, p=0.33). With a median follow-up of 60 months, the 5-year disease-free survival (84.6% vs 88.7%, p=0.67) and the 5-year overall survival (83.4% vs 90.0%, P=0.49)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stage IIA1 and stage IIA2 cervical cancer. In conclusion, patients with stage IIA1 and stage IIA2 cervical cancer have comparable rates of locoregional spread and survival. The need for receiving adjuvant radiation was very high in both substages. The revised 2009 FIGO system did not demonstrate significant survival differences in stage IIA cervical cancer treated with radical hysterectomy. Concurrent chemoradiation should be considered a more suitabl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stage IIA cervical cancer.

Effect of Hydronephrosis on Survival in Advanced Stage Cervical Cancer

  • Goklu, Mehmet Rifat;Seckin, Kerem Doga;Togrul, Cihan;Goklu, Yasemin;Tahaoglu, Ali Emre;Oz, Murat;Ertas, Ibrahim Egem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0호
    • /
    • pp.4219-4222
    • /
    • 2015
  • Background: Hydronephrosis is frequently encountered in advanced stage cervical cancers, and may be associated with mortality.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hydronephrosis on survival in patients with inoperable advanced stage cervic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data were acquired by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patient records belonging to 165 women with FIGO (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stage-IIIB or more advanced cervical cancer, which were not surgical candidates. Parameters including patient age, pathological diagnosis, disease stage, pelvic sidewall extension, presence of hydronephrosis and administration of chemoradiation were analyzed. Further, the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survival were assessed. P values less than 0.05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distribution of the study patients according to disease stage was as follows: 131 (79.4%) had stage-IIIB, 18 (10.9%) had stage-IVB and 16 (% 9.7) patients had stage-IVA disease. Hydronephrosis was not evident in 91 (55.2%) of these patients, whereas 41 (24.8%) had unilateral and 33 (20%) patients had bilateral hydronephrosis. When compared to mean survival in patients who did not have hydronephrosis, survival was significantly shortened in patients who had bilateral and unilateral hydronephrosis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survival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ith unilateral and bilateral hydronephrosis (p>0.05). Although patient age, pathological type, pelvic involvement, and chemotherapy treatment rates were similar (p>0.05), radiotherapy requirement rate and disease stag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tudy groups (p<0.05). Conclusions: Hydronephrosis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poor survival in patients with advanced stage cervical cancer, irrespective of unilateral or bilateral involvement.While waiting for future studies with larger sample sizes, we believe that the FIGO stages in advanced cervical cancer could further be stratified into subgroups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hydronephrosis.

Clinical and Pathologic Features of Patients with Rare Ovarian Tumors: Multi-Center Review of 167 Patients by the Anatolian Society of Medical Oncology

  • Bilici, Ahmet;Inanc, Mevlude;Ulas, Arife;Akman, Tulay;Seker, Mesut;Babacan, Nalan Akgul;Inal, Ali;Bal, Oznur;Koral, Lokman;Sevinc, Alper;Tufan, Gulnihal;Elkiran, Emin Tamer;Ustaalioglu, Bala Basak Oven;Yavuzsen, Tugba;Alkis, Necati;Ozkan, Metin;Gumus, Mahmu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1호
    • /
    • pp.6493-6499
    • /
    • 2013
  • Background: Non-epithelial malignant ovarian tumors and clear cell carcinomas, Brenner tumors, transitional cell tumors, and carcinoid tumors of the ovary are rare ovarian tumors (ROTs). In this study, our aim was to determine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ROT patients and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67 patients with ROT who underwent initial surgery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Prognostic factors that may influence the survival of patients were evaluated by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Results: Of 167 patients, 75 (44.9%) were diagnosed with germ-cell tumors (GCT) and 68 (40.7%) with sex cord-stromal tumors (SCST); the remaining 24 had other rare ovarian histologi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ROT groups with respect to age at diagnosis, tumor localization, initial surgery type, tumor size, tumor grade, and FIGO stage. Three-year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rates and median PFS intervals for patients with other ROT were worse than those of patients with GCT and SCST (41.8% vs 79.6% vs 77.1% and 30.2 vs 72 vs 150 months, respectively; p=0.01). Moreover, the 3-year overall survival (OS) rates and median OS times for patients with both GCT and SCST were better as compared to patients with other ROT, but thes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87.7% vs 88.8% vs 73.9% and 170 vs 122 vs 91 months, respectively; p=0.20). In the univariate analysis, tumor localization (p<0.001), FIGO stage (p<0.001), and tumor grade (p=0.04)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PFS. For OS, the univariate analysis indicated that tumor localization (p=0.01), FIGO stage (p=0.001), and recurrence (p<0.001) were important prognostic indicator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FIGO stage for PFS (p=0.001, HR: 0.11) and the presence of recurrence (p=0.02, HR: 0.54) for OS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Conclusions: ROTs should be evaluated separately from epithelial ovarian cancers because of their different biological features and natural history. Due to the rarity of these tumors, determination of relevant prognostic factors as a group may help as a guide for more appropriate adjuvant or recurrent therapies for ROTs.

자궁경부암 환자의 근치적 방사선치료성적 (Treatment Results of Radical Radiotherapy in Uterine Cervix Cancer)

  • 허승재;김보경;임도훈;신성수;이정은;강민규;안용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3호
    • /
    • pp.237-245
    • /
    • 2002
  • 목적 : 삼성서울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목적으로 외부조사와 고선량율 강내치료를 이용하여 치료한 자궁경부암 환자의 치료 성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9월부터 1998년 7월까지 근치적 목적으로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10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환자의 연령분포는 $22\~89$세(중앙값, 61세)이었다. 98명의 환자에서 편평상피암이었다. 환자의 FIGO 병기는 CIS 4명, IA 4명, IB 17명, IIA 15명, IIB 33명, IIIA 2명, IIIB 27명, IVA가 4명이었다. ECOG 활동도는 88명에서 1이하였다. 11명의 환자에서 전보조화학요법이 시행되었다. 방사선치료는 상피내암인 4명을 제외한 102명에서 30.6-50.4 Gy를 외부 조사하였으며 고선량율 강내치료를 모든 환자에서 A점 기준으로 24 Gy/6회 시행하였다. 치료 예후 인자는 연령($\leq60$세 vs >60세), 병리조직학적 소견(편평상피암 vs 기타 병리), FIGO 병기(IIA 이하 vs IIB vs IIIA 이상), ECOG 활동도(ECOG 0, 1 vs 2), 항암화학요법의 시행여부, 그리고 방사선치료 후 반응정도(완전관해 vs 부분관해), 방사선치료기간($\leq55$일 vs >55일)에 따라 비교하였다. 환자의 추적관찰기간은 $6\~66$개월(중앙값, 28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 3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82\%,\;73\%$이었으며, 무병생존율은 각각 $72\%,\;69\%$이었다. FIGO 병기별 생존율은 병기 IB, IIA, IIB, 그리고 III에서 3년 생존율이 각각 $100\%,\;83\%,\;87\%,\;62\%$이었고 5년 생존율은 IB $100\%$, IIA $69\%$, IIB $80\%$, III에서는 $62\%$이었다. 단변량분석에 따른 예후인자를 살펴보면 전체생존율에서는 FIGO 병기와 방사선치료의 반응이 무병생존율과 골반부 조절율에는 나이와 병기, 방사선치료의 반응, 방사선치료기간이 의미 있는 인자로 확인되었다. 방사선치료 부작용으로 직장 출혈은 모두 14명$(13\%)$의 환자에서 나타났다. 결론 : 자궁경부암 환자의 고선량율 강내치료와 외부 방사선치료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임을 확인하였으며, 치료기간의 단축이 중요한 예후 결정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궁경부암의 근치적 방사선치료 성적 (The Results of Curative Radiotherapy for the Uterine Cervical Cancer)

  • 김형진;김정수;김진기;권형철;오병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191-199
    • /
    • 1996
  • 목적 : 자궁경부암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후 치료결과 및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 치료후 합병증, 실패 양상을 알고자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3월부터 1990년 5월까지 조직학적 검사로 확진되고 근치적 목적으로 외부조사 및 강내치료를 받은 5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FIGO 병기에 따른 환자분포는 병기 IIa이하인 Ib, IIa가 각각 2예($3.4\%$), IIb가 31예($52.5\%$), IIIb가 15예 ($25.4\%$), IV가 9예($15.3\%$)였다. 외부조사를 시행한 후, 강내조사를 실시하였는 데, 강내치료는 A점을 기준으로 병기에 따라서 중앙값 3460 cGy(범위: 3000-4366 cGy)까지 조사하였으며, 강내 치료와 외부방사선 치료 전체조사량의 중앙값은 8500 cGy(범위: 8040-10980 cGy)였다. 추적조사 기간은 2개월에서 110개월이었고, 중앙값은 61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환자의 5년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은 각각 $55.9\%$$55.0\%$였으며, FIGO 병기에 따른 5년 생존율은 병기 IIa이하인 경우 $75.0\%$, 병기 IIb는 $74.8\%$, 병기 IIIb는 $26.7\%$, 병기 IV는 $33.3\%$였다. 단변량 분석에 의하면 병기 IIb이하인 경우 5년 생존율은 $74.8\%$였고, IIIb이상인 경우 $29.2\%$ (p<0.005)였다 방사선치료중 혈색소 수준이 한 번이라도 10 gm/dL미만인 환자군의 5년 생존율은 $0\%$였고, 10 gm/dL이상 군은 $73.3\%$ (p<0.005)였다. 종양의 크기가 5 cm이상인 18예($30.5\%$)에서 5년 생존율은 $22.2\%$였고, 5cm미만인 39예($66.1\%$)에서는 $71.8\%$(p<0.005)였다. 또한 50세이상인 경우와 50세미만인 경우 5년 생존율은 각각 $65.3\%$, $34.2\%$ (p<0.05)였다. ECOG 수행능력 정도, 병리소견, 전체 선량, 전체 치료기간은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다. 다변량분석에 의하면 방사선 치료중 혈색소 수준(p=0.0001), 종양의 크기(p=0.0390), FIGO병기 (p=0.0468)가 통계학적 의의를 나타냈다. 전체 환자의 재발율은 $23.7\%$(14/59)로 국소재발이 $15.2\%$(6/59), 원격전이가 $6.8\%$(4/59), 국소재발과 원격전이가 $1.7\%$(1/59)를 보였다. 결장직장과 비뇨생식기에서 각각 $15.3\%$(9/59), $8.5\%$(5/59)를 보이고, Grade 2는 10예($17.0\%$), Grade 3은 3예($5.1\%$), Grade 4도 1예($1.7\%$)를 나타내고 있다 빈도는 방사선 직장염, 직장 출혈, 방사선 대장염, 설사, 방사선 방광염 순서로 발생하였다. 결론 : 치료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향적인 무작위 표본에 의한 새로운 예후인자 발견 및 예후가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치료방법의 개선 및 방사선 감작제 또는 항암제를 병용하여 국소재발과 원격전이 억제를 위한 적극적인 치료방법이 연구되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

병기 IB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에서 외부방사선치료와 고선량율 강내치료의 최적선량 배합 (Optimum Dose Combination of External Radiation and High Dose Rate ICR in FIGO IB Uterine Cervical Cancer)

  • 이상욱;서창옥;정은지;김우철;장세경;금기창;김귀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201-209
    • /
    • 1996
  • 목적 : FIGO 병기 Ib 자궁경부편평상피암 환자에서 고선량율 강내치료를 이용한 방사선치료후 환해율, 5년 국소제어을, 5년 생존율 및 예후인자, 방사선 합병증을 분석하여 고선량율 강내치료의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심각한 후기 합병증 없이 만족스런 국소 제어율을 얻기 위한 외부방사선선량과 강내치료선량의 최적 선량배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79. 5 - 1990. 12월 까지 연세암센타 치료방사선과에서 자궁경부 편평상피암 FlGO 병기 Ib로 진단된후 근치적 목적하에 외부 및 강내치료를 받은 162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 결과를 후향적 분석하였다. 외부 방사선 치료는 LINAC 10MV X-ray를 이용해 180-200cGy/fr씩 4000-4600cGy14.5-5주를 전골반 부위에 시행하였근데, 일부환자에서 2000-4000 cGy에서 중앙차폐(midline block)를 시행하였다. 코발트 선원을 이용한 원격 조정 아프터 로딩 고선량율 강내치료를 A점에 1회당 300cGy씩 주 3회, 총 10-13회 (3000-3900 cGy)실시하여 A 점에 들어간 총방사선 조사량은 6420 - 9500cGy 으로 평균 8394 cGy 였다. 결과 : 방사선 치료후 완전 관해율은 $99.4\%$ 였다. 5년 전체생존율은 $91.1\%$이고, 5년 무병생존율은 $90.9\%$였다. 추적 관찰 기간동안 치료 실패 양상을 관찰해 보면 국소 실패만 보인 경우는 7명이었고 원격전이만 보인경우가 6명이었으며, 국소 및 원격전이가 모두 발생한 경우가 1예 있어서 국소제어 실괘율은 $4.9\%$(8/163), 원격전이율은 $4.3\%$(7/164)였다. 후기 합병증은 38명 ($23.5\%$)에서 발생하였초, 그 중 30병 직장 합병증으로 $18.5\%$ 후기 합병증 발생율을 보였고, 방광 합병증은 8명에서 발생하여 $4.9\%$ 후기 합병증 발생율을 보였다. 직장 합병증이 생긴 환자관에서 직장에 소사된 방사선량은 평균 7887 cGy 이었고,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환자군의 평균조사량은 7488 cGy이었다. 결론 : 근치적 목적으로 외부 방사선 치료 및 고선량률 강내 치료는 FIGO병기 Ib 자궁경 부편평상피암을 치료하는데 매우 효과석이라 생각하였고, 외부방사선치료중 중앙차폐를 시행하여 A점 선량이 75Gy를 넘지 않게 방사선치료 설계를 하면 심각 합병증없이 좋은 치료성적을 얻을 수 있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