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2 population

검색결과 763건 처리시간 0.032초

Smoking Trajectories among Koreans in Seoul and California: Exemplifying a Common Error in Age Parameterization

  • Allem, Jon-Patrick;Ayers, John W.;Unger, Jennifer B.;Irvin, Veronica L.;Hofstetter, C. Richard;Hovell, Melbourne F.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5호
    • /
    • pp.1851-1856
    • /
    • 2012
  • Immigration to a nation with a stronger anti-smoking environment has been hypothesized to make smoking less common.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how environments influence risk of smoking across the lifecourse. Research suggested a linear decline in smoking over the lifecourse but these associations, in fact, might not be linear. This study assessed the possible nonlinear associations between age and smoking and examined how these associations differed by environment through comparing Koreans in Seoul, South Korea and Korean Americans in California, United States. Data were drawn from population based telephone surveys of Korean adults in Seoul (N=500) and California (N=2,830) from 2001-2002. Locally weighted scatterplot smoothing (lowess) was used to approximate the association between age and smoking with multivariable spline logistic regressions, including adjustment for confounds used to draw population inferences. Smoking differed across the lifecourse between Korean and Korean American men. The association between age and smoking peaked around 35 years among Korean and Korean American men. From 18 to 35 the probability of smoking was 57% higher (95%CI, 40 to 71) among Korean men versus 8% (95%CI, 3 to 19) higher among Korean American men. A similar difference in age after 35, from 40 to 57 years of age, was associated with a 2% (95%CI, 0 to 10) and 20% (95%CI, 16 to 25) lower probability of smoking among Korean and Korean American men. A nonlinear pattern was also observed among Korean American women. Social role transitions provide plausible explanations for the decline in smoking after 35. Investigators should be mindful of nonlinearities in age when attempting to understand tobacco use.

원예시험장 주변의 진딧물 (Flying Aphid Population at the Horticultural Experiment Station, Suweon)

  • 백운하;송기원;최성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5-31
    • /
    • 1974
  • 원예작물을 종합적으로 재배하는 원예시험장에서 원예작물에 직접, 간접으로 많은 피해를 주고있는 진딧물을 Yellow Water Trap을 5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설치하여 조사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시험장시는 24종의 매개진딧물을 포함하여 120여종이 분포되어 있다. 2. 본 시험장에 분포된 120여종 중에$75\%$ 이상을 차지하는 우세종 10종은 다음과 같다. * 조급나무진딧물(Aphis spiraecola $P_{ATCH}$) * 아카시아진딧물(Aphis craccivora $K_{OCH}$) *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_{ULZER}$) 자바못털진딧물(Capitophorus hippophaes javanicus H.R. $L_{AMBERS}$) 층층나무진딧물(Anoecia fulviabdominalis $S_{ASAKI}$) *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G_{LOVER}$) * 보리수염진딧물(Macrosiphum avenae $F_{ABRICIUS}$) 가시 진딧물(Cervaphis quercus $T_{AKAHASHI}$) * 무우테두리진딧물(Lipaphis erysimi $K_{ALTENBACH}$) 쑥못털진딧물식물(Pleotrichophorus chrysanthemi $T_{HEOBALD}$)(* : 바이러스매개진딧물) 3. 식물바이러스를 매개하는 24종의 진딧물은 전체 진딧물수의 $55\%$를 차지한다. 4. 본시험장의 진딧물 발생소장을 수원의 4개년(1967-'70) 것과 비교한 바 작물이 자라는 봄. 여름에는 살충제를 뿌리기 때문에 수원의 밀도보다 낮으나 작물의 수확이 끝난 10월에는 살충제살포를 중지하고 또 이 시기는 진딧물이 월동숙주로 이주하기 때문에 10월 중순에 밀도가 갑자기 상승하여 년중 최고곡선을 이룬다. 5. 진딧물 방제를 위해서 작물에만 살충제를 살포하는 것으로 그치는데 주위의 잡초나 숙주식물에도 아울러 살포해야한다. 그리고 작물의 수확이 끝난 10월중에도 원동숙주에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의 월동량을 감소시키므로써 다음해 봄에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예비책을 써야한 것이다. 진딧물은 원예작물에는 어느 해충보다도 피해가 크다는 것은 주지의 사식이나 이것의 발생은 해에 따라, 기상조건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므로 한번의 조사로는 만족할 수 없다. 그러므로 앞으로 영구적인 사업으로 매년 발생상황을 계속적으로 조사해야 될 줄로 믿는다.

  • PDF

돼지의 Leptin receptor 유전자내 초위성체 다형성에 따른 개체별 성장곡선 특성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Growth Curve by Porcine LEPR-derived Microsatellite Polymorphisms)

  • 조용민;최봉환;김태헌;이지웅;정일정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6호
    • /
    • pp.885-890
    • /
    • 2003
  • 본 연구는 재래돼지와 랜드레이스 품종을 기초축으로 조성한 F2 집단의 일령별 체중 자료를 이용하여 비선형 회귀에 의해 추정한 개체별 성장곡선 모수 및 성장 특성치에 대한 LEPR 관련 초위성체 표지인자의 다형성에 따른 효과를 추정함으로써 Leptine 수준에 따른 성장 형질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된 F2 집단에 대해 개체별 성숙체중(A)과 성숙률(k)의 평균은 각각 179.69${\pm}$4.40kg 및 0.3103${\pm}$0.0043으로 추정되었으며, 성장 특성에 대한 성의 효과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 (p〉.05), 성숙체중(A) 및 최대 증체 속도($\partial$W$_{t1}$/$\partial$t)는 분만 그룹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5). 조사된 모든 성장특성에 대해 LEPR 표지인자의 다형성 효과는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p〈.05), AA 유전자형을 가지는 개체는 만숙성이며, 반면 유전자형이 DD인 경우, 조사된 유전자형들 가운데 초기 성장이 빠른 조숙성의 성장 특성으로 가지지만, 성장률의 증가추세가 일찍 감소하며, 성숙체중의 최대치는 낮을 것을 추정되었다. 따라서 조사된 LEPR 관련 표지인자 유전자형의 다형성에 따른 성장 특성의 해석 및 예측이 가능하며, 그 범위는 생애 전반에 걸쳐 적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감미종(甘味種) 고추에 더뎅이병(病) 저항성(抵抗性)을 도입(導入)하기 위한 교잡(交雜) 초기세대(初期世代) 검정(檢定) (Evaluation of Early Generation of Crosses for Incorporation of Resistance to Bacterial Spot into Sweet Pepper)

  • 정호정;김병수;손은영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2권
    • /
    • pp.23-28
    • /
    • 1994
  • 감미종 고추에 더뎅이병(病)에 대한 저항성(抵抗性)을 도입하기 위하여 품질이 우수하면서 국내 적응성이 뛰어난 피만계 품종 Keystone Resistant Giant #3과 더뎅이병에 저항성인 PI271322를 교배하여 그 후대의 유전적 분리 양상을 조사한 결과 더뎅이병균 race 1에 대하여는 저항성(抵抗性)이 과민형반응(過敏型反應)으로 나타났으며 여기에는 한개의 우성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race 3에 대해서는 발병정도가 연속적(連續的) 변이(變異)를 나타내어 저항성은 양적유전(量的遺傳)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_2$ 집단에서 비과민형반응을 나타내는 개체간의 race 1에 대한 발병지수(發病指數)와 race 3에 대한 발병지수 간에는 고도(高度)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PI271322에 들어 있는 비과민형의 일반저항성 성분은 race에 비특이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BC_1$에서 race 1에 과민형반응을 나타내고 race 3에 저항성인 개체를 선발하여 여교잡(戾交雜)육종을 계속할 수 있었다.

  • PDF

벼 종간교잡 후대계통 '수원497호'의 흰잎마름병 저항성에 대한 유전분석 (Genetic Analysis on the Bacterial Blight Resistance of Suweon497, a Rice Breeding Line Developed through Wide Hybridization)

  • 정지웅;노태환;강경호;정종민;김명기;김연규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81-91
    • /
    • 2011
  • 야생벼은 재배벼의 친환경적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병해충 저항성 및 불량환경에 견딜 수 있는 유용한 유전자들의 보고로 알려져 왔다. 국내에서 육성된 벼 품종인 '화성'(AA게놈)와 야생벼인 Oryza. minuta(BBCC 게놈; Acc.=101141)간의 교잡을 통하여 종간잡종 후대들이 육성되었다. 불화합성과 초기분리세대의 극심한 불임을 극복하기 위해 배주배양으로 $F_1$ 개체를 확보하였으며, '화성'으로의 여교잡을 수 차례 실시하였다. 확립된 계통들에 대한 표현형 평가를 통하여 흰잎마름 병에 저항성을 발현하는 계통을 확인하고 '수원497호'라 명명하였다. '수원497호'와 '밀양23호'간의 교잡에서 작성된 $F_2$ 개체들을 유전자지도 작성 및 표현형조사에 활용하였다. 유전자지도 작성에 사용된 SSR 마커의 유전자형과 흰잎마름병균 접종에 따른 병반장길이간의 연관성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원 497호'의 흰잎마름병저항성을 지배하는 주동유전자가 염색체 11번 말단에 표지 되었는데, 기존에 보고되어 온 흰잎마름병 저항성유전자들인 Xa3, Xa4, Xa26 및 Xa31 등이 표지 된 곳과 동일하였다.

수박 종자크기에 대한 유전분석 (Genetic Analysis of Seed Size in Watermelon)

  • 김용재;양태진;박영훈;이용직;강순철;김용권;조정래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12-419
    • /
    • 2009
  • 수박에서 종자크기의 유전분석을 위해 종자크기가 다른 6계통을 양친으로 한 교배집단을 조사하였다. 전체 6계통 중 3계통은 수집 계통으로 giant seed(GS)인 'PI525088' big size(BS)인 'Charleston Gray' 그리고 medium seed(NS)인 'NT'를 사용하였으며, 다른 3계통은 보통 크기와 가장 작은 크기 계통간($^{\prime}NT^{\prime}{\times}^{\prime}TDR^{\prime}$) 교잡 및 여교잡으로부터 육성되어 종자크기만 상이한 near isogenic line으로서 small seed(SS)인 'NTss' micro seed(MS)인 'NTms' tomato seed size(TS)인 'NTts'가 이용되었다. 각각의 종자크기에 관련한 유전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인접한 종자크기를 가진 계통들간의 조합인 $GS{\times}BS$, $BS{\times}NS$, $NS{\times}SS$, $MS{\times}TS$, 그리고 종자크기가 비교적 차이가 계통들간 큰 두 조합인 $NS{\times}TS$, $GS{\times}NS$에 대하여 P1, P2, $F_1$, $F_2$, $BC_1F_1(P1)$, $BC_1F_1(P2)$를 작성, 전개하여 종자크기의 분리를 관찰하여 유전양식을 판단하였다. $GS{\times}BS$, $NS{\times}SS$, $MS{\times}TS$ 의 경우 1개의 유전자 차이가 발견되었고, 유전양식은 부분우성이었고, $BS{\times}NS$의 경우 2개 이상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GS{\times}TS$에서는 분리후대에서 매우 넓은 범위의 종자크기를 가진 개체들이 관찰되어 이들 두 계통들간에는 6개 이상의 유전자, $NS{\times}TS$의 경우에는 3개의 유전자가 종자크기의 차이를 만드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락산에 서식하는 계곡산개구리(Rana huanrensis Fei, Ye & Huang, 1991) 유생의 서식지 면적에 따른 생장률 연구 (The Effect of Habitat Size on Huanren Brown Frog (Rana huanrensis) Larvae's Growth Rate in Mt. Surak)

  • 나수미;엄예원;김현정;안치경;이훈복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2호
    • /
    • pp.75-82
    • /
    • 2017
  • 본서식지의 면적이 계곡산개구리 (Rana huarenensis)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 노원구 상계동에 위치한 수락산 일대 계곡에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은 계곡을 계곡산개구리 서식지의 면적의 크기에 따라 가장 좁은 면적의 S1($3.91m^2$), 중간 면적의 S2($4.42m^2$), 가장 넓은 면적의 S3($38.37m^2$), 3곳으로 나눈 후 각 조사지역에서 3월부터 6월까지 주 2회 15개체의 계곡산개구리 유생을 무작위로 포획하여 개체의 길이를 측정하였으며, 계곡의 습도, 기온, 수온을 측정하였다. 부화율은 S2지점에서 세 개의 난괴를 채집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구별 서식지의 면적을 측정한 결과, 실험기간 중 강우량이 적었기 때문에 모든 실험구의 서식지 면적이 감소하였으며, S2지점은 눈에 띄게 줄어 들지 않았으나, S1은 원래 서식지의 4분의 1이 줄어들었으며 S3지점은 2분의 1이 감소하였다. 실험구별 평균대기습도와, 실험구별 평균기온, 실험구별 평균수온은 F-test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부화율을 분석한 결과, 평균 부화율은 $76.84{\pm}18.23%$으로 확인되었다. 실험구별 유생 개체의 길이를 측정 한 결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서식지의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개체의 길이가 증가하였다 (F-test p< 0.05). 발생기간을 측정한 결과, 서식지의 면적이 넓을수록 개체의 발생속도가 빨라짐을 확인하였다. 실험구별 아성체 개체의 평균 길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개체의 길이는 S1, S3, S2순서로 증가하였다. 서식지 면적 변화가 없었던 S2의 개체의 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보아 본 연구를 통해 계곡산개구리의 서식지 면적의 민감성을 알 수 있었다 (F-test p<0.05). 추후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도의 차이가 계곡산개구리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을 진행한다면 계곡산개구리 개체군의 서식환경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간호의 질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일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Nursing Care)

  • 유지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21
    • /
    • 1977
  • Many in nursing look back on Nursing Research history and proudly point to the fact that emphasis in nursing research has changed from studying the nurse to studying nursing practice. In recent years, much emphasis has been placed on seeking a method of evaluating the quality of nursing care. In spite of these attempts, however, an instrument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nursing care that is actually applicable in the clinical area has not been foun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develop the instrument to be used in evaluating the quality of nursing care provided in the Neuro - Surgery Constant Care Unit of Severance Hospital 2) To evaluat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in the clinical area. 3) To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improvement of quality of nursing care. The instrument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nursing care,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 was composed of 7 nursing goals and divided into 65 standards of nursing performance. The 7 nursing goal are as follows : 1) Maintenance of airway 2) Maintenance of fluid at electrolyte balance 3) Maintenance of elimination 4) Personal hygiene 5) Optimum activity 6) Prevention of accidents 7) Emotional care The study population defined was composed of all the case (51) who were admitted in the Neuro- Surgery Constant Care Unit of Severance Hospital from May 7-13, 1976. The observation method was used and the data was subjected to the %, X²-test, T-test, F-test and Correlation. The results of tile study were as follows : 1. Levels of nursing performance regarding nursing goals. Seven different nursing care indices were constructed in terms of nursing goals. The index scores were grouped arbitrarily into ,j categories such as "excellent", "good", "moderate", "incomplete", and "poor"based upon the investigator′s personal judgement. a. The nursing index of maintaining airway showed that 78%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he "excellent" and 22%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he "good" category. b. The nursing index of maintaining fluid & electrolyte balance showed that 95%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he "excellent" and 5 %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he "good" category. c. The nursing index of maintaining elimination showed that 100%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he "excellent" category. d. The nursing index of personal hygiene revealed that 49%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he "excellent" and 51%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he "good" category. e. The nursing index of optimum activity showed that 63%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he "excellent" and 32%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ile "good" and 5% of patients fell within the "moderate" category. f. The nursing index of prevention of accidents showed that 100% of the patients foil within the "excellent" category. g. The nursing index of emotional cart revealed that 27%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he "excellent", 24 %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ile "good", 29 %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he "incomplete" category. From these findings it is disclosed that the quality of nursing care provided in the Neuro- Surgery Constant Care Unit of Severance Hospital was excellent. 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ursing index of physical care and emotional care. (t=8.73, D. F. =100. p<0.01) It is revealed that more physical care then emotional care was carried out by nurses. 2. Levels of nursing performance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statistically with the nursing indices of nursing goals according to the sex (t=0.084, D. F. =12, p>0.05). Age (F=0.1251, D. F. : 3.18. p 〉0.05), absence or presence of operating experiences (t=0.6032, D. F. =12, p〉0.05, levels of consciousness (F=0.31, D. F. :3. 18, p >0.05) 3.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consciousness and the nursing index of each nursing goal.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consciousness and the nursing index of maintaining airway (r=-0. 5449, p<0.01) and personal hygiene (r= -0.4075, p<0.01)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consciousness and the nursing index of optimum activity (r=0.3936, p <0.01) and emotional care (r=0.7819, p〈0.01). There was slight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consciousness and the nursing index of maintaining fluid & electrolyte balance (r=-0.3418, 0.010.05) and preventing accidents (r=0.1441, p>0.05.

  • PDF

콩 P34 단백질 결핍 유전자를 이용한 SSLP 마커 개발 (Development of SSLP Marker Targeted to P34 Null Gene in Soybean)

  • 양기웅;고종민;이영훈;전명기;정찬식;백인열;김현태;박금룡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02-506
    • /
    • 2010
  • 콩 알레르기에 민감한 사람들은 15가지가 넘는 콩 알레르기 단백질을 인지한다. 이러한 알레르기 단백질 때문에 콩의 광범위한 사용이 제한적이다. 시스테인 프로테아제에 속하는 P34 단백질은 콩의 주된 알러젠이다. 미국 국무부에서 16,226개의 유전자원에서 P34 단백질이 결핍된 PI567476 유전자원을 찾아냈다. P34 유전자 염기서열과 P34 유전자가 결실된 염기서열을 NCBI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한 결과 P34 유전자가 결실된 염기서열에서 4 bp 가 삽입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그 부위에서 SSLP 마커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태광콩과 PI567476을 이용한 교배조합 $F_2$ 339개체를 개발한 분자표지마커로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태광콩 유형과 heterozygous 유형 및 PI567476 유형의 분리비는 85: 187: 67로 $X^2{_{0.05}}=5.99$, df=2에서 1:2:1의 분리비로 하나의 유전자가 관여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P34 단백질 관련 분자마커가 단백질 수준에서 정확히 일치하는지 확인 할 것이다.

생쥐 모델을 이용한 배아의 할구 생검법과 할구가 생검된 배아의 배양시 공배양 효과에 관한 연구: 인간에서의 착상 전 유전진단 기술 개발을 위한 동물실험 모델의 개발 (Effects of Coculture on Development of Biopsied Mouse Embryos as a Preclinical Model for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of Human Embryos)

  • 김석현;류범용;지병철;최성미;김희선;방명걸;오선경;서창석;최영민;김정구;문신용;이진용;채희동;김정훈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1호
    • /
    • pp.9-20
    • /
    • 1999
  • The genetic defects in human gametes and embryos can cause adverse effects on overall reproductive events. Biopsy of embryos for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PGD) offers a new possibility of having children free of the genetic disease. In addition, advanced embryo culture method may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mbryo biopsy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PGD. This experimental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culture on the development in vitro of biopsied mouse embryos as a preclinical model for PGD of human embryos. Embryos were obtained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IVF) from F1 hybrid mice (C57BLfemale/CBAmale). Using micromanipulation, 1, 2, 3 or 4 blastomeres of 8-cell stage embryos were aspirated through a hole made in the zona pellucida by zona drilling (ZD) with acidic Tyrode's solution (ATS). After biopsy of blastomeres, embryos were cultured in vitro for 110 hours in Ham's F-10 supplemented with 0.4% BSA or cocultured on the monolayer of Vero cells in the same medium. The frequence of blastocyst formation were recorded, and the embryos beyond blastocyst stage were stained with 10% Giemsa to count the total number of nuclei in each embry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lastocyst formation between the zona intact control group and the zona drilling (ZD) only, or biopsied groups. The hatching rate of all the treatment groups except 4/8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In all the treatment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mean cell number of embryos beyond blastocyst stage ($50.2{\pm}14.0$ in control group vs. $41.2{\pm}7.9$ in ZD, $39.3{\pm}8.8$ in 7/8, $29.7{\pm}6.4$ in 6/8, $25.1{\pm}5.7$ in 5/8, and $22.1{\pm}4.3$ in 4/8 groups, p<0.05). When the same treatments were followed by coculture with Vero cells, a similar pattern was seen in the blastocyst formation and the hatching rate. However, in all the treatment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ean cell number of embryos beyond blastocyst stage with coculture, compared with the parallel groups without coculture. In the cleavage rate of biopsied blastomeres cultured for 110 hours after IVF,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culture and non-coculture groups (87.2% vs. 78.7%). However, the mean cell number of embryos developed from the biopsied blastomer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culture group ($11.5{\pm}4.7\;vs.\;5.9{\pm}1.9$, p<0.05). In conclusion, biopsy of mouse embryos after ZD with ATS is a safe and highly efficient method for PGD, and coculture with Vero cell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in vitro of biopsied mouse embryos and blastomeres as a preclinical model for PGD of human embryo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