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hepatic bile duct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15초

소아 황달의 영상 평가 (Jaundice in Young Children)

  • 최영훈;이슬비;조연진;이승현;신수미;천정은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5호
    • /
    • pp.966-978
    • /
    • 2022
  • 신생아와 유소아 황달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며, 특히 생리적 황달의 경우는 만삭아의 반수 이상에서 관찰되는 매우 흔한 질환이다. 생후 2주 이후 황달이 지속되거나 새로이 발생하는 경우, 담즙 정체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총/직접 빌리루빈을 측정하게 되며, 담즙 정체로 판단되는 경우 외과적 치료를 요하는 간외 담도 폐쇄 질환을 감별하려는 목적으로 영상검사가 의뢰된다. 본 종설에서는 신생아 및 유소아에서 황달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질환들을 분류하고, 질환들을 진단하기 위한 여러 영상 검사들의 종류와 방법 및 정상 소견들을 기술하며, 연령별로 흔히 발생하는 각 질환에 대한 영상 소견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담도계 수술후 증상이 재발한 환자에서의 $^{99m}Tc-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y: 재발 농양성 간담도염과 간내 담석 발생빈도의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한 연구 ($^{99m}Tc-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ic Study in Symptomatic Patients after Various Biliary Surgeries: Regional Emphasis of Recurrent Pyogenic Cholangitis and Intrahepatic Duct Stones)

  • 염하용;박영훈;서재관;이성도;최경현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9-38
    • /
    • 1986
  • 간담도계 수술을 받고 증상이 재발한 환자 54명에서 $^{99m}Tc-DISIDA$ hepatobiliary scintraphy을 시행하고, 지역적인 질환발생 빈도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이의 임상적인 이용도를 분석하였다. 1) 제일 빈도가 많은 질환은 재발농양성 담도염였으며 빈도는 57%였고 다음으로 많은 질환은 간내의 담석증이였으며 빈도는 50%이다. 2) 세번째로 많은 질환은 풍토병인 간흡충증이및으며 빈도는 26%였다. 3) 재발농양성 담도염의 87%에서 간내 및 외 담도 담석증이 발병되었으며, 다만 11.4% 만이 간흡충증과 합병되어 없었다. 4) $^{99m}Tc-DISIDA$의 간담도 영상의 진단율은 재발농양성 담도염에서 81.6%, 담도 담석증에서 78.6%, 그리고 간흡충증에서 71.7%였으며 그 외 stenosis of ampula vater, 만성 감염등도 100% 진안이 가능했다. 5) 재발농양성 담도염 및 담도 담석증의 $^{99m}Tc-DISIDA$ 영상의 특징은 담관내 bile flow의 segmental retention 였으며 그 특징적인 영상을 설명하였다.

  • PDF

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S-100 Protein and Synaptophysin Expression in Biliary Atresia Gallbladder Tissue

  • Gurunluoglu, Semra;Ceran, Canan;Gurunluoglu, Kubilay;Kocbiyik, Alper;Gul, Mehmet;Yildiz, Turan;Bag, Harika Gozukara;Gul, Semir;Tasci, Aytac;Bayrakci, Ercan;Akpinar, Necmettin;Cin, Ecem Serbest;Ates, Hasan;Demircan, Mehmet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4권2호
    • /
    • pp.173-186
    • /
    • 2021
  • Purpose: Biliary atresia (BA) is a disease that manifests as jaundice after birth and leads to progressive destruction of the ductal system in the liv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stopathological changes and immunohistochemically examine the expression of 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GDNF), synaptophysin, and S-100 protein in the gallbladder of BA patients. Methods: The study included a BA group of 29 patients and a control group of 41 children with cholecystectomy. Gallbladder tissue removed during surgery was obtained and examined immunohistochemically and histopathologically. Tissue samples of both groups were immunohistochemically assessed in terms of GDNF, S-100 protein, and synaptophysin expression. Expression was classified as present or absent. Inflammatory activity assessment with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and fibrosis assessment with Masson's trichrome staining were performed for tissue sample sections of both groups. Results: Ganglion cells were not present in gallbladder tissue samples of the BA group. Immunohistochemically, GDNF, synaptophysin, and S-100 expression was not detected in the BA group.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more frequent fibrosis and slightly higher inflammatory activity in the BA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We speculate that GDNF expression will no longer continue in this region, when the damage caused by inflammation of the extrahepatic bile ducts reaches a critical threshold. The study's findings may represent a missing link in the chain of events forming the etiology of BA and may be helpful in its diagn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