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ernal Morphology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34초

멸종위기 어류 꾸구리 Gobiobotia macrocephala (Pisces: Cyprinidae)의 번식생태 (Reproductive Ecology of an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macrocephala (Pisces: Cyprinidae), in Seom River, Korea)

  • 고명훈;송하윤;홍양기;방인철
    • 생태와환경
    • /
    • 제45권2호
    • /
    • pp.190-199
    • /
    • 2012
  • 멸종위기종 꾸구리의 번식생태를 밝히기 위하여 2010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 한강 지류인 섬강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비산란기의 암컷과 수컷은 형태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나 산란기에는 체장에 대한 체고와 체폭, 배지느러미 기점거리, 뒷지느러미 기점거리 등에서 차이를 보여 구별되었다. 성비(female; : male)는 1 : 1.01이었고, 산란기는 수온 $15{\sim}25^{\circ}C$인 4월말부터 6월 중순으로 추정되었다. 포란수는 평균 $2,134{\pm}930$개였으며, 성숙난의 크기는 $0.88{\pm}0.04mm$였다. 산란장소는 느린 여울부인 유속 13~24 cm $sec^{-1}$, 수심 12~18 cm의 3~10 cm의 자갈과 돌이 깔려있는 곳으로 추정되었다. 실험실 수조에서 Ovaprim을 주사하여 산란행동을 유도한 결과, 14~15시간 후에 암컷과 수컷이 수면 근처에서 1 : 1로 산란하였다.

한국인 배자 및 태아에서 유치 발생의 조직학적 변화 (EARLY DEVELOPMENT OF THE TOOTH IN THE STAGED HUMAN EMBRYOS AND FETUSES)

  • 임희식;박형우;오현주;김희진;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83-399
    • /
    • 1998
  • Tooth development is usually described in four stages such as bud stage, cap stage, bell stage and crown stage. Exact time of appearance of tooth primordia is different among reports, and up to now there is no timetable regarding initial tooth development. To understand the congenital malformations and other disorders of the orofacial region,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standard timetable on early tooth development. Till now, studies on the tooth development were mainly on later fetuses, and only few reports on early stage. Also, there were no reports on the time when bud stage turns to cap stage, and cap stage to bell stage. In this study, external morphology of face and the early development of the tooth, and transition of bud stage to cap stage, cap stage to bell stage were studied using 27 staged human embryos and 9 serially sectioned human fetu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Mandibular region was formed by union of both mandibular arch at stage 15, and maxillary region by union of maxillary arch, medial nasal prominence, and intermaxillary segment at stage 19. 2. Ectodermal thickening which represents the primordia of tooth appeared in mandibular region at stage 13, and maxillary region at stage 15. 3. Bud stage began from mandibular primary central incisor at stage 17, and maxillary primary central incisor at stage 18. And the sequence of appearance was in the mandibular primary lateral incisor at stage 19, maxillary primary lateral incisor at stage 20, mandibular primary canine at stage 22, maxillary primary canine and primary first molar at stage 23, madibular primary first molar and maxillary primary second molar at 9th week, and mandibular primary second molar at 10th week of development. 4. Cap stage began from the primary anterior teeth at 9th week, and primary second molar still had the characteristics of cap stage at 12th week of development. 5. Transition to bell stage started from the primary anterior teeth at 12th week, and primary second molar started at 16th week of development. 6. Trnasition to crown stage started from primary anterior teeth at 16th week, and primary second molar at 26th week of development.

  • PDF

주꾸미 (Octopus ocellatus) 의 생식소 발달에 따른 난소와 소화기관을 포함한 몸통부위 조직의 생화학적 성분변화 (Changes in Biochemical Components of the Ovary and the Trunk Tissues Including the Digestive Organ Associated with Gonadal Development of the Female Octopus ocellatus)

  • 정의영;김종배;김병균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5-63
    • /
    • 2004
  • Gonadosomatic index, condition index and reproductive cycle with the gonadal development of the female Octopus ocellatus were investigated by histological observations and morphometric data, from January to December, 2000. And changes in biochemical components of the ovary and the trunk tissues including the digestive organ associated with gonadal development were studied by biochemical analysis from January to October, 2001. The specimens were collected at the coastal waters of Buan, Jeollabuk-do, Korea, from January 2000 to October 2001. O. ocellatus is a dioecious organism. The gonad of O. ocellatus locates medially in posterior region of the body. Morphology of the ovary shows round and oval in shape, the average diameter and external colour of ripe ovary was 32 mm and semitransparent light brown in colour. As the ovary was getting mature, transparent elongated eggs covered with chorion were present in the ovarian cavity. Monthly changes in the gonadosomatic index (GSI) showed a similar pattern with those of the condition index. The GSI and condition index began to increase in March and reached the maximum in April. And then, their values decreased from May and reached the minimum in September. Reproductive cycle of O. ocellatus can be categoriz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developing stage (September to December), late developing stage (November to March), ripe stage (March to May), partially spawned stage (April to June), and degenerative/resting stage (June to October). Follicle cells attached to an oocyte were involved in vitellogenesis in the cytoplasm of the vitellogeneic oocyte and formation of chorion (secondary egg membrane) of the ovarian eggs. Spawning occurred between April and June. The spawning period was once a year and the peak took place between May and June. This species belongs to semelparity. According to changes in biochemical contents of the ovary and the digestive organ, monthly variations of moisture, total protein, total lipid and glycogen contents (%) in the ovar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ship with those of the trunk tissues including the digestive organ. Accordingly, it is assumed that the ovary only may be received nutrient supply (total lipid content) for gonadal development from the trunk tissues including the digestive organ (r = -0.55, p < 0.05).

  • PDF

극동산 뱀장어(Anguilla japonica) 인공 자어와 실뱀장어의 두부 변화 및 안구의 조직학적 변화 (Development Changes in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Head and the Histological Structure of the Eye in Artificially Reared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Leptocephalus and Glass Eel)

  • 김대중;이남실;이배익;김신권;김경길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0호
    • /
    • pp.1288-1294
    • /
    • 2013
  • 뱀장어 자어의 형태변화에 관한 연구는 자어의 인공사육을 위해 알아야 할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부의 형태학적 관찰과 함께, 부화 이후 변태 직후까지의 단계별 안구의 조직학적인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들 결과로 부화 후 100일과 변태를 기점으로 상악과 하악의 발달에 큰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치아는 실뱀장어로 변태하면서 퇴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안구 망막에서의 조직학적인 주요 변화는 부화 100일 이후의 OPL (outer plexiform layer)과 ONL (outer nuclear layer)의 형성과 변태 이후 간상세포층의 변화이며, 안구의 각막은 부화 10일째 자어에서 관찰되지 않았지만 이후 모든 단계에서 관찰되었다. 실뱀장어의 양산을 위해 초기 자어의 발달에 관한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며, 본 결과가 자어의 인공사육시스템 안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국내에 서식하는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성숙에 따른 형태 및 생물학적 특성 변화 (Change in Morpholog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by Maturation of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Collected in Korea Waters)

  • 홍양기;송미영;이석은;이완옥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63-274
    • /
    • 2015
  • 2014년 9월부터 12월까지 국내에 서식하는 뱀장어 Anguilla japonica 총 182개체를 silvering index에 따라 4개의 단계로 구분하고, 성숙에 따른 형태 및 생물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하천 및 하구에서 채집한 개체군 (34.6%)은 댐 호 (3.8%)에서 채집한 개체군에 비하여 성숙뱀장어의 비율이 높았다. 성비 (♂/♀)는 0.11 (n=182)로 암컷의 비율이 매우 높았다. 성숙뱀장어 단계로 진행될수록 전장은 커지고, 체중은 증가하였다. 단계별 계측형질 비교에서 전장에 대한 두장 및 가슴지느러미 길이 백분비, 두장에 대한 가로 및 세로 안경의 백분비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였으나, 전장에 대한 등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 기점거리에서는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식소성숙도지수 (Gonado-somatic index, GSI), 비만도지수 (Condition factor, K), 소화관지수 (Gut index, GI), 안경지수 (Eye index, EI) 및 간 중량지수 (Hepato-somatic index, HSI) 중 GSI는 4가지 단계를 모두 구분할 수 있는 형질이었다. 한편 외부 체색 및 형태는 성숙한 A. japonica인 S2로 보이지만, 나머지 대부분의 단계별 분류 형질에서는 미성숙뱀장어인 Y1과 Y2에 해당하는 pseudo-silver eel 한 개체가 채집되어 이에 대한 형질을 비교하였다.

형태기반 보간법과 양자화 기법을 이용한 CT 영상에서의 간 영역과 간암 추출 및 분석 (Detection and Analysis of the Liver Region and Hepatoma in CT Images Using Shape-based Interpolation and Quantization Method)

  • 김광백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80-389
    • /
    • 2007
  • 암은 한국에서 전체 사망률의 가장 많은 원인 중의 하나이며 이 중 간세포 암은 암에 의한 사망원인 중에서 성별에 관계없이 위암 다음으로 사망률이 높다. 특히 $40{\sim}60$세까지 중장년 기에서의 간암 발생률은 세계에서 가장 높으며, OECD 국가 중에서 간암 사망률은 최고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조영증강 CT 영상에서 간암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전문의를 보조할 수 있는 보조 전문가 시스템으로서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흉부의 상위 부분부터 5mm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촬영한 약 $40{\sim}50$장의 조영 증강 CT 영상에서 늑골의 정보를 이용하여 장기들의 정보만으로 구성된 내부 영역과 늑골 및 피하지방층, 그리고 배경으로 구성된 외부 영역을 구분한다. 간 영역의 정보가 포함된 내부영역에서 명암도와 명암의 분포도, 간의 형태 및 위치 정보, 그리고 각 슬라이드를 기준으로 이전 CT 영상과 다음 CT 영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간 영역을 추출한다. 간암은 추출된 간 영역에 형태기반 보간법을 적용하여 CT 촬영에서 생기는 슬라이드 사이의 5mm 공간정보를 복원한 후, 각 슬라이드를 기준으로 이전 CT 영상과 다음 CT 영상의 정보와 간암이 가지는 명암도 및 형태학적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제안된 간 및 간암 영역 추출 방법을 전문의가 판별한 것과 비교 분석한 결과, 전문의를 보조할 수 있는 보조 전문가 시스템으로서 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목화바둑명나방의 더듬이 감각기와 꼬리털의 외부 형태적 특징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ntennal Sensilla and Hair-pencils on the Cotton Caterpillar, Palpita indica (Lepidoptera: Pyralidae)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이대홍;강명기;이희진;석희봉;박선남;강은진;서미자;유용만;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83-191
    • /
    • 2007
  • 목화바둑명나방[Palpita indica (Saunder)]의 더듬이에 있는 감각기와 꼬리털의 구조를 주사전자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목화바둑명나방의 암컷과 수컷에는 공통적으로 6 종류의 감각기가 분포하고 있었으며, 그 종류로는 긴털감각기 (Ltr: long trichodea sensilla), 짧은털감각기 (Str: short trichodea sensilla), 센털감각기 (Ch: chaetica sensilla), 돌기함몰형감각기 (Cos: coeloconicum sensillum around spines), 종상감 각기 (Ca: camaniformia sensilla), 돌출형감각기 (St: styloconica sensilla) 등이 있다. 그러나 함몰형감각기(Co: coeloconicum sensillum)는 암컷에서만 관찰이 되었고, 이에 반하여 수컷에서는 구두주걱형감각기(Au: auricillica sensillum)가 분포하고 있다. 꼬리털에는 수컷에 달려 있는 털 타래 표면에 많은 구멍이 관찰되었다.

한국산 꿩의다리속(Thalictrum L.) 식물의 형태학적 연구 (The morphology of Thalictrum L. in Korea)

  • 박성준;박선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33-458
    • /
    • 2008
  • 한국산 꿩의다리속 식물에 대해 뿌리, 잎, 화서, 꽃, 수술, 암술, 열매 등 형태 형질의 종합적인 검토를 통하여 형질의 분류학적 가치를 논하고, 이에 따라 새로운 종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화된 줄기 및 뿌리는 수근형, 괴경을 갖는 수근형, 괴근형, 팽미근형(tuberoid), 지하경, 지상경으로 구분되었다. 줄기는 능선의 유무 또는 털의 유무에 따라 구분되었으며, 잎은 일반적으로 2-3회 3출엽이며, 엽선, 엽저, 탁엽의 모양, 열편의 수로 구분되었다. 화서는 산방화서와 원추화서로 구분되고, 꽃은 양성화이다. 꽃잎이 없으며, 개화시 꽃받침이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구분되고, 다양한 형태를 하고 있어 종을 동정하는데 중요한 형질로 나타났다. 특히 수술은 약의 모양과 정단모양, 약의 털, 수술대의 팽창정도, 수술대의 표피형태 등에 따라 구분되며, 암술은 주두의 모양, 자방의 선모유무, 심피자루의 길이 등에 따라 구분되었다. 열매는 수과의 형태를 가지며, 수과의 모양, 수과의 능선 또는 날개의 유무, 과병의 길이 등에 따라 구분되었다. 조사된 형질 중 절을 구별하는 데는 수술대의 확장정도, 약의 모양, 수과의 날개와 능선, 수과의 팽창 정도 등이 식별형질이 사용되었으며 종 동정을 하기 위한 유용한 형질은 뿌리, 잎의 모양, 수술과 암술의 모양, 수과의 부리 및 과병의 길이, 수과와 잎의 털 등으로 나타났다.

재생 폴리에틸렌/폐타이어 분말 복합체의 기계적 특성 및 유변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Recycled Polyethylene Composites with Ground Waste Tire Powder)

  • 계형산;신경철;방대석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1권2호
    • /
    • pp.97-107
    • /
    • 2006
  • 폐타이어와 폐수지 처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재생 폴리에틸렌 수지와 신재HDPE를 폐타이어 분말(GWTP)과 치합형 동방향 회전 이축 압출기(Fuly Intermeshing Co-rotating 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각 조성별로 용융 훈련하여 재생 PE/폐타이어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스틱 수지 (재생 PE, HDPE)와 폐타이어 분말의 혼합비를 $0\sim50$wt.%로 하였으며, ASTM에 의거하여 인장강도, 파단신율, 충격강도 등의 물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폐타이어 분말 함량이 증가할수록 인장강도가 감소하고 파단신율이 증가하였다. 한편 충격강도는 폐타이어 분말 함량이 30 wt.%일 때 최대이고, 함량이 증가할수록 충격 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형태학적 고찰에서는 폐타이어 분말의 함량의 증가함에 따라 파단면이 거칠어지는 형상을 관찰하였다. 모세관점도계(Capillary Rheometer)를 이용하여 재생 PE/폐타이어 분말 복합체의 전단속도의 변화에 따른 용융전단점도의 변화와 연화점 (Ts) 등의 유변학적 성질을 분석한 결과, 폐타이어 분말 함량 증가에 따라 외부 응력에 대한 흐름 저항성을 증가시켜 용융점도가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측정된 전단율에서 전단 점도는 Power-law 거동을 보였다.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um) 성충 부속지의 외부 미세구조 관찰 (Ultrastructure of Appendages of the Greenhouse Whitefly, Trialeurodes vaporarium,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서미자;김기덕;김남성;박수진;채순용;윤영남
    • 농업과학연구
    • /
    • 제26권2호
    • /
    • pp.13-18
    • /
    • 1999
  • 온실가루이의 외부형태적 특징을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통해 관찰하였다. 우선 이들은 포탄모양의 알을 산란하는데 짧은 갈고리모양의 구조에 의해 잎 뒷면에 붙어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촉각의 길이는 0.3mm로 전체가 6마디로 구성되어 있고, 첫마디는 굵고 짧으며 둘째 마디부터 가늘고 긴 채찍모양을 하고 있다. 끝마디인 6번째 마디의 끝에는 길이가 $10{\mu}m$정도의 가늘고 비교적 긴 감각기를 가지고 있어 기주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식물체의 표면을 탐지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바로 밑부분에는 길이가 $7-8{\mu}m$정도의 비교적 굵은 감각기 2개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감각기는 반대편에는 존재하고 있지 않은 비대칭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또한 두 개의 모양이 서로 상이함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의 기능은 주로 기주식물을 탐색하거나 후각기능의 화학적 감각기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섭식생동이 이루어지는 온실가루이 구기는 전형적인 piercing-sucking type으로, 구침이 길게 잘 발달되어 있다. 구기의 끝부분은 10여개의 미세감각기가 분포하고 있어 식물체 표면을 탐색하고 맛을 보는 미각기능을 하고 있으리라 추측할 수 있다. 구침은 종종 구기에서 분리되기도 하지만, 구침을 잡아주는 지지대가 기부쪽에 자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침은 두 개의 반원형이 붙어 있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다른 흡즙형 구침과는 달리 톱날모양의 구조를 볼 수 없었다. 한편 온실가루이의 다리 끝에 붙어 있는 발톱은 식물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로 보이는 두 개의 갈고리 형태의 발톱과 그 사이에 중앙지지대 형태의 구조인 paranychium을 포함하여 3갈래의 구조를 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