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xternal Dose

검색결과 469건 처리시간 0.021초

Dose evaluation of workers according to operating time and outflow rate in a spent resin treatment facility

  • Byun, Jaehoon;Choi, Woo Nyun;Kim, Hee Reyou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3권11호
    • /
    • pp.3824-3836
    • /
    • 2021
  • Workers' safety from radiological exposure in a 1 ton/day capacity spent resin treatment facility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times and outflow rate due to process related leakages. The conservative annual dose based on the operating times of the workers exceeded the dose limit by at least 7.38E+01 mSv for close work. The realistic dose range was derived as 1.62E+01 mSv-6.60E+01 mSv. The conservative and realistic annual doses for remote workers were 1.33E+01 mSv and 3.00E+00 mSv respectively, which were less than the dose limit. The MWR was identified as the major contributor to worker exposure within the 1 h period required for removal of radioactive materials. The dose considering both internal and external exposures without APF was derived to be 1.92E+01 mSv for conservative evaluation and 4.00E+00 mSv for realistic evaluation. Furthermore, the dose with APF was derived as 7.27E-01 mSv for conservative evaluation and 1.51E-01 mSv for realistic evaluation. Considering the APF for leakage from all parts, the dose range was derived as 1.25E+00 mSv-2.03E+00 mSv for conservative evaluation and 2.61E-01 mSv-4.23E-01 mSv for realistic evaluation. Hence, it was confirmed that radiological safety was secured in the event of a leakage accident.

위장관 종양의 고선량율 강내 방사선치료 (Intraluminal High-Dose-Rate Brachytherapy for the Tumors of Gastrointestinal Tract)

  • 최병옥;최일봉;정수미;김인아;최명규;장석균;신경섭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243-252
    • /
    • 1995
  • 목적 : 위장관종양에 대한 고선량율 강내 방사선치료의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가톨릭의대 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는 1991년 2월부터 1993년 7월까지 18명의 수술을 할 수 없는 중증의 위장관종양 환자들(식도암-8, 직장암-10)을 대상으로 Iridium-192을 사용하여 원격조정 고선량율 강내 방사선치료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연령 분포는 47-87세로, 평균 71세였다. 모든 환자들은 이전에 수술적 조작을 받은적이 없었고, 외부 방사선치료 이후 2주 이내에 고선량율 강내 방사선치료를 하였으며, 고선량율 강내 방사선치료의 일일 조사량은 3-5 Gy (3-4회/1주), 총 조사량은 12-20 Gy로 평균 17 Gy였다. 외부방사선 총 조사량은 41.4-59.4 Gy로 평균 49.0 Gy였다. 추적기간은 3개월에서 31개월이었고, 중앙추적기간은 19개월이었다. 결과 : 식도암에서 완전관해와 부분관해는 각각 %로 같은 결과를 보였으며, 중앙 생존기간과 2년 생존율은 10개월과 13%였다 직장암 10명 중 60%의 환자에서 부분반응을 보였으며, 완전반응은 없었지만, 모든 환자에서 현저한 증상개선을 보였다. 저자는 고선량율 강내 방사선 일일 조사량 및 총 조사량, 외부방사선 조사량이 국소반응율과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조사하였다. 이 중, 고선량율 강내 방사선 일일 조사량 및 총 조사량이 직장암의 국소반응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p<0.05). 식도암에서는 고선량율 강내 방사선 총 조사량이 국소반응율과 생존율에 각각 영향을 미쳤으나, 이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외부방사선 조사량은 모든 환자에게서 국소반응율과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환자들에게서 치료 후 현저한 증상개선을 보였으며, 합병증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발생하였는데, 대개의 경우 그 증상이 미비하였고, 수일 이내에 회복되었다. 결론 : 이 논문에서는 상대적으로 짧은 추적기간과 적은 수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으나, 고선량율 강내 방사선치료 조작은 위장관 종양의 치료에서 외부 방사선치료의 추가적 요법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경구흡수율을 반영한 농약의 AOEL 설정 및 농작업자 위해성 평가 (Application of Oral Absorption in Establishment of AOEL for Pesticides and Occupational Risk Assessment for farm worker)

  • 유아선;홍순성;이제봉;이승돈;임양빈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42-349
    • /
    • 2014
  • 미국, EU, 한국의 농작업자위해성평가를 위한 AOEL 설정, 국가별 경구흡수율 적용, 노출량 산출방법을 조사하였다. 농약성분 141종에 대한 경구흡수율을 조사하였으며 경구흡수율을 적용한 농작업자노출허용량(AOEL)과 국내 설정 AOEL을 이용하여 농작업자위해성평가를 실시하였다. 미국과 EU에서는 external dose를 internal dose로 변환하기 위하여 경구흡수율 또는 피부흡수율을 적용하였으나 한국에서는 AOEL 설정 시 경구흡수율을 적용하지 않은 external dose를 사용하였다. 141종의 농약성분 중 50종이 경구흡수율 80% 미만이었으며 경구흡수율을 적용하는 경우 약 36%의 농약성분이 이전 AOEL보다 낮아질 것으로 사료되었다. 50종의 농약성분 중 한국에 등록된 농약 28품목에 대해 EU AOEL을 이용하여 농작업자위해성평가를 실시한 결과, chlorothalonil WG 등 12품목이 독성노출비가 1 이하로 계산되어 위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0종 중 한국 AOEL이 설정되어 있으며 한국에 등록된 농약 24품목에 대해 한국 AOEL을 이용하여 농작업자위해성평가를 실시한 결과, chlorothalonil WG 등 6품목은 독성노출비가 1 이하로 위해성이 높게 나타났다. 한국 AOEL이 없는 4품목에 대해 EU AOEL을 경구흡수율 100%로 환산한 수치를 이용하여 위해성평가를 실시한 결과, daminozide WP 등 4품목 모두 독성노출비 1 초과로 위해성이 낮게 나타났다. 경구흡수율 적용 및 미적용 EU AOEL과 한국 AOEL을 사용한 농작업자위해성평가를 비교한 결과 oxadiagyl SC 등 6품목을 제외한 22품목에서 동일한 위해성평가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농작업자 위해성 평가를 실시할 때 경구흡수율을 적용한 AOEL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경구흡수율을 적용한 AOEL 설정 및 이용한 농작업자위해성평가를 수행하였을 때 보다 실제에 가까운 평가방법으로 판단되므로 등록농약의 평가에 적용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핵의학 종사자에서 손 부위의 외부 피폭선량 연구 (Study of External Radiation Expose Dose on Hands of Nuclear Medicine Workers)

  • 박준철;표성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5권2호
    • /
    • pp.141-149
    • /
    • 2012
  • 최근 최첨단 핵의학 영상기술의 발달로 임상적 이용이 증가되어 방사선 선원을 취급하는 핵의학과 작업종사자의 몸통 부위와 손 부위에 노출되는 외부 피폭선량을 평가하고 검사 빈도가 높은 전신 뼈검사(Whole body Bone Scan)와 양전자 단층촬영(PET/CT)시 방사선 선원($^{99m}Tc$-HDP, $^{18}F$-FDG)의 취급 및 검사에 따른 손 부위 피폭선량을 측정하고자 한다. 방사선 선원 취급 시 방호구 착용 및 손 부위를 측정 할 수 있는 선량계 보유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4개의 의료기관에 설문 하였다. 방사선 선원을 직접 분주하고 주사하는 숙련된 작업종사자의 가슴과 약지손가락에 열형광 선량계을 착용하여 누적된 외부 방사선 선량을 측정하고 손 부위의 외부 방사선량 측정을 위해 구간별 일일 방사선 선원으로부터 노출되는 선량과 시간을 포켓도시메터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 하였다. 인천광역시 4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손 부위의 방사선 피폭선량 측정기를 구비한 의료기관은 1곳을 제외한 3곳은 구비하지 않았고 차폐기구 사용은 방사선 선원으로부터 몸통을 보호하기 위해 차폐기구를 사용한 곳이 대부분 이었고, 일부 의료기관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곳도 있었다. 방사선 선원을 직접 분배하고 투여하는 핵의학과 작업종사자의 손 부위 외부피폭 선량은 몸통부위보다 약 2배 이상 많은 선량을 받았고, 검사 빈도가 높은 전신 뼈 검사와 양전자 단층촬영 시 각 구간별 외부피폭 선량을 보면 방사성의약품 합성 및 분배용기 장착, 분배, 투여, 이동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또한 방사선 선원 투여시 방호구 착용 전/후 손 부위의 피폭선량을 측정한 결과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 작업종사자의 유효선량에는 못 미치지만 비 작업종사자보다 비교적 높은 선량을 받고 있어 방사선 선원을 근거리에서 노출되는 작업종사자는 안전관리 규정을 준수하고 손 부위 선량계(Ring TLD)를 착용하여 방사선 선원으로부터 피폭 저감을 위한 활동을 하여야 한다.

PET-CT 검사에서 방사선 종사자 피폭선량 저감에 대한 방안 연구 (A Study of Decrease Exposure Dose for the Radiotechnologist in PET/CT)

  • 김빛나;조석원;이주영;유광열;박훈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1호
    • /
    • pp.23-30
    • /
    • 2015
  • 양전자 방출핵종은 511 keV의 감마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기존 140 keV의 99mTc에 비해 종사자의 방사선 피폭의 증가로 피폭선량 저감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환자에게로부터 일정거리에 따른 선량률 변화를 확인하고 차폐를 이용하여 외부선량률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환자 주변의 외부선량 분포에 대한 영 향을 분석하여 방사선 종사자의 피폭 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10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47.7{\pm}6.6$ 세였다. 환자의 키는 평균 $165.5{\pm}3.8cm$, 몸 무게 평균은 $65.9{\pm}1.4kg$으로 비슷한 몸무게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머리, 가슴, 복부, 무릎, 발끝 쪽의 위치에서 10 cm, 50 cm, 100 cm, 150 cm, 200 cm 위치에서 측정하였고 측정 후에 즉시 이동형 방사선 차폐체을 설치한 후 머리와 가슴, 복부 부분에서 100 cm, 150 cm, 200 cm 거리에서 선량률을 측정하였다. 거리에 따른 선량률 변화와 차폐 전, 후의 투과율을 구하였다. 평균 10 cm 거리에서는 머리 부분이 $105.40{\mu}Sv/h$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 부분에서 $15.85{\mu}Sv/h$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00 cm 거리에서는 머리, 가슴, 복부 부분에서 비슷한 선량률이 나타났다. 머리 부분에 서 차폐 전 100 cm에서 $9.56{\mu}Sv/h$, 150 cm에서 $5.23{\mu}Sv/h$, 200 cm에서 $3.40{\mu}Sv/h$로 나타났으며 차폐 후에는 100 cm, 150 cm, 200 cm 에서 각각 $2.24{\mu}Sv/h$, $1.67{\mu}Sv/h$, $1.27{\mu}Sv/h$로 측정되었다. 가슴 부분에 서 차폐 전 100 cm에서 $8.54{\mu}Sv/h$, 150 cm에서 $4.90{\mu}Sv/h$, 200 cm에서 $3.44{\mu}Sv/h$로 나타났으며 차폐 후에는 100 cm, 150 cm, 200 cm 에서 각각 $2.27{\mu}Sv/h$, $1.34{\mu}Sv/h$, $1.13{\mu}Sv/h$로 측정되었다. 복부 부분에 서 차폐 전 100 cm에서 $9.83{\mu}Sv/h$, 150 cm에서 $5.15{\mu}Sv/h$, 200 cm에서 $3.18{\mu}Sv/h$로 나타났으며 차폐 후에는 100 cm, 150 cm, 200 cm 에서 각각 $2.60{\mu}Sv/h$, $1.75{\mu}Sv/h$, $1.23{\mu}Sv/h$로 측정되었다. 투과율은 거리에 따라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거리가 멀어질수록 선량율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차폐를 하였을 경우 차폐를 하지 않았을 때보다 1 / 4 정도 더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사를 진행하는 근무자는 환자와의 거리를 멀리 할 수 없기 때문에 방사선 피폭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적절한 차폐를 한다면 방사선 종사자의 방사선 피폭을 줄 일 수 있을 것이다.

PET/CT 검사에서 방사선 종사자 피폭선량 저감에 대한 방안 연구 (A Study to Decrease Exposure Dose for the Radiotechnologist in PET/CT)

  • 조석원;박훈희;김정열;반영각;임한상;오기백;김재삼;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4권2호
    • /
    • pp.159-165
    • /
    • 2010
  • 방사선 분야는 건강검진의 증가와 방사선 장치의 발달로 진단에서 치료까지 그 업무의 범위가 확대 및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방사선 종사자의 방사선 피폭 관리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PET 검사에 이용되는 양전자 방출핵종은 511 keV의 감마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종사자의 방사선 피폭의 증가로 피폭선량 저감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환자에게로부터 일정거리 외부선량률을 측정하고 거리에 따른 선량률 변화를 확인하고 차폐를 이용하여 외부선량률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2009년 12월부터 2010년 1월까지 PET/CT 검사를 위해 내원한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Digital surveymeter를 이용하여 선량률을 측정하였다. 산란선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이동식 방사선 차폐체를 설치하고 왼쪽, 중앙, 오른쪽 부분의 100 cm, 150 cm, 200 cm에서 총 12회 선량률을 측정하였다. 환자 선량률 측정은 $^{18}F$-FDG 5.18 MBq/kg을 주사하고 1시간이 지난 후에 선량이 안정되었을 때 즉시 1회를 측정하였다. 이동식 방사선 차폐체를 설치하기 전에 머리, 가슴, 복부, 무릎, 발끝 쪽의 위치에서 10 cm, 50 cm, 100 cm, 150 cm, 200 cm 위치로 총 80포인트에서 측정하였고 이동형 방사선 차폐체를 설치한 후 머리와 가슴, 복부 부분에서 100 cm, 150 cm, 200 cm 거리의 선량률을 측정하여 외부선량률을 확인하였다. 산란선 측정에 대해서는 위치별로 거리에 따라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납 차폐를 하지 않았을 때와 차폐를 했을 때의 등선량곡선을 그렸으며 100 cm, 150 cm, 200 cm에 대하여 두 집단간에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SPSS ver. 12). 점 선원을 이용한 산란선 측정에서 100 cm, 150 cm, 200 cm에서는 p>0.05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거리가 멀어질수록 선량률이 낮아졌으며 머리 부분이 가장 높은 선량률이 나타났고 발 부분으로 갈수록 선량률이 떨어졌다. 또한 차폐를 하였을 경우 차폐를 하지 않았을 때보다 선량률이 낮아졌으며 100 cm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150 cm, 200 cm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피폭을 줄이기 위해서는 방사선원에서 거리를 멀리하거나 적당한 차폐체를 이용하는 것이 피폭저감에 도움을 준다. 근무자의 동선을 파악하여 적당한 차폐체를 이용한다면 방사선 종사자의 방사선 피폭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몬테 카를로 전산모사를 통한 EPID의 외부적 선량 재구성과 내부 선량 계측과의 비교 및 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External Dose Reconstruction in EPID and Internal Dose Measurement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 정주영;윤도군;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4권4호
    • /
    • pp.253-25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 (EPID)를 통하여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로부터 투과해 나오는 선량으로 외부적인 선량 재구성과 몬테카를로 전산모사로부터 도출되는 내부 선량 계측과의 관계를 도출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전산모사 연구로써 두 가지의 경우를 비교 분석하고 이와 비슷한 연구에 대한 기본적인 지표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실험에 관한 기하학적 정보와 방사선 소스에 대한 정보를 몬테카를로 전산모사 툴인 Monte Carlo n-particle (MCNPX)에 입력하였고 EPID 이미지 도출을 위하여 MCNPX 내에 tally카드를 이용하여 선량정보를 도출하고 이를 영상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내부적인 계측을 위하여 물 팬텀을 소스와 표면의 거리(source to surface distance, SSD)가 100 cm이 되도록 설정하였으며, 그보다 10 cm 아래에 EPID를 위치시켰다. 내부 계측은 물팬텀 자체에서 흡수되는 흡수 선량을 mesh tally로 수집하였고, 4문 조사를 통하여 중첩된 선량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그와 동시에 EPID에서 물을 투과해 나오는 선량을 획득 한 뒤 역 투사 방법을 사용하여 선량 재구성을 하였다. 이둘의 경우를 비교하기 위해 자체적인 교정(calibration)을 통하여 투과해 나온 선량과 흡수된 선량과의 관계를 비교하고 4문 조사를 통하여 물 팬텀 내의 특정 부분에 대한 중첩된 선량 데이터와 EPID를 통해 재구성한 선량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물 팬텀과 EPID에서 획득한 누적 선량의 합은 각각 평균 3.4580 MeV/g과 3.4354 MeV/g이었다. 이는 앞서 계측된 물 팬텀 내부의 누적 선량과 0.6536% 선량 오차를 보였다.

임신토끼에 있어서 새로운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YHB6211)의 배.태자 발생독성평가 (Developmental Toxicity Study in the Embryos/Fetuses with a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YHB6211) in Pregnant Rabbits)

  • 황재식;장호송;정은용;이수해;신지순;서동석;신장우;남상윤;김대중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9권4호
    • /
    • pp.311-317
    • /
    • 2001
  • YHB6211, a newly developed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was administered at dose levels of 0, 3, 15, and 75 $\mu$g/kg/day intravenously to the pregnant New Zealand White rabbits (20 rabbits per group) during the organogenetic period, days 6 to 18 of gestation. All dams were subjected to Caesarian section on day 28 of gestation and their fetuses were examined for external, visceral, and skeletal abnormalities. No abnormalities in clinical signs, body weight changes, gross findings, mortality, and external appearance were found in all dams and fetuses exposed to 0, 3, and 15 $\mu$g/kg/day of YHB6211. However, in the group treated with 75 $\mu\textrm{g}$/kg/day of YHB6211, maternal body and uterine weights, fetal body weights and length, and the number of live fetus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further fetal mortality was remarkably increased. It is suggested that YHB6211 may have no side effect up to the dose level of 15 $\mu$g/kg/day, and there would be no teratogenicity for fetuses of rabbits up to 75 $\mu\textrm{g}$/kg/day even if it may have some toxic effects over 75$\mu\textrm{g}$/kg/day for dams and fetuses of rabbits.

  • PDF

동물병원의 방사선발생장치 정도관리에 대한 연구 (Quality Control of Diagnostic X-ray Units for Animal Hospital)

  • 김상우;이지훈;박예슬;임재동;성열훈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1-23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radiation safety supervision in animal clinics using quality assurance (QA) and quality control (QC) of diagnostic X-ray units. The surveys for QA/QC, equipment condition, and safety supervision were carried out in 18 animal clinics randomly. The QA/QC included reproducibility of dose exposure, kVp, mAs, collimator accuracy test, collimator luminance test, X-ray view box luminance test, grounding system equipment test and external leakage current test. As a result, 44.44% of reproducibility of dose exposure was proper, 81. 25% of kVp test was good, and 100% of mAs test was appropriate. Also, 66.66% of collimator accuracy test was proper, 61.11% of collimator luminance test was good, 53.13% of X-ray view box luminance test was suitable. In addition, only 5.55% of grounding system equipment and ground resistance was proper, 63.64% of external leakage current test was appropriate in grounding system equipment test.

  • PDF

Radiation Monitoring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ime Dependencies of Air Dose Rate and 137Cs Inventory

  • Yoshimura, Kazuya;Nakama, Shigeo;Fujiwara, Kenso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7권1호
    • /
    • pp.30-38
    • /
    • 2022
  • Background: Residential areas have some factors on the external exposure of residents, who usually spend a long time in these areas. Although various survey has been carried out by the government or the research institutions after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the mechanism of radiocesium inventory in the terrestrial zone has not been cleared. To better evaluate the radiation environ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mporal changes in air dose rate and 137Cs inventories (Bq/m2) in residential areas and agricultural fields. Materials and Methods: Air dose rate and 137Cs inventories were investigated in residential areas located in an evacuation zone at 5-8 km from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From December 2014 to September 2018, the air dose rate distribution was investigated through a walking survey (backpack survey), which was conducted by operators carrying a γ-ray detector on their backs. Additionally, from December 2014 to January 2021, the 137Cs inventories on paved and permeable grounds were also measured using a portable γ-ray detector. Results and Discussion: In the areas where decontamination was not performed, the air dose rate decreased faster in residential areas than in agricultural fields. Moreover, the 137Cs inventory on paved surfaces decreased with time owing to the horizontal wash-off, while the 137Cs inventory on permeable surfaces decreased dramatically owing to the decontamination activitie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horizontal wash-off of 137Cs on paved surfaces facilitated the air dose rate decrease in residential areas to a greater extent compared with agricultural fields, in which the air dose rate decreased because of the vertical migration of 137Cs. Results of this study can explain the faster environmental restoration in a residential environment reported by previous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