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hibitions

검색결과 439건 처리시간 0.02초

컴퓨터 특기적성교육 운영 실태 및 분석 - 충남 천안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Operation Status and Analysis of Computer Education for Special Skill Aptitude -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s in Chungnam Cheonan area -)

  • 왕정아;김의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847-850
    • /
    • 2006
  • 학생의 특기와 적성을 살리는 특기적성 교육은 사교육비 절감을 위해 정부가 제시한 학교 방과후 활동의 일환으로 초등학교에서 광범위하게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실태조사와 분석을 통해 그에 대한 개선점을 찾고자 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담당교사의 특기적성 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초등학교 학생의 참여도를 조사하였으며, 특기적성 강사의 의견을 모아 컴퓨터 교육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시급한 문제가 무엇인지를 조사하였다.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이 체계적으로 실시되고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교육부의 충분한 지원과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또한 타 학교와의 연계 및 전시회와 같은 행사를 통한 학교측의 관심이 있을 때 학생들의 컴퓨터 특기 적성 교육의 효과가 더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자명종의 보존과 분석 (Conservation and Analysis of the Bracket Clock in the Collection of the Korean Christian Museum at Soongsil University)

  • 박학수;권미혜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8권
    • /
    • pp.51-64
    • /
    • 2017
  •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이 소장한 자명종을 특별전 전시를 위해 보존처리 하였다. 보존처리를 위해 성분 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 본체는 황동에 아말감도금법으로 금을 도금하였고, 문자판은 순구리에 법랑을 씌운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시계 바늘의 재질은 철이었다. 이물질 제거를 통해 문자판의 테이프 자국 등을 없앴으며, 안정화를 위해 보호 코팅을 하였다. 원래의 형상에 가깝게 복원하기 위해 황동으로 부품을 제작하여 시계 바늘과 문자판을 연결하고, 아크릴 지지대를 만들어 문자판을 본체에 접합하였다. 재질 분석과 보존처리를 통하여 안정한 상태로 전시와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A Study of Paper Couture Based on Paper Modeling Techniques

  • Hong, Sungsun
    • 패션비즈니스
    • /
    • 제18권3호
    • /
    • pp.73-90
    • /
    • 2014
  • Paper, once known and used only as a medium for printing or handicrafts, is now being used in new fields including artistic clothing, and an environment-friendly material for fashion, while the functionality of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esthetics have been newly highlighted. On this basis, this study performed a content analysis of paper couture and categorization of types of paper modeling techniques based on 904 paper couture submitted to paper fashion shows, exhibitions and contest exhibits from 2001 to 2013.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paper textile types were most common at 86.64%, while techniques using laminating, bonding, overlapping or paper as-is represented 62.17%. Expressive techniques in which paper was cut or torn and attached to paper clothing was 11.62%, paper folding was 5.75%, drawing and coloring 4.65%, and finally, paper cutting was 2.65%. Meanwhile, among paper modeling techniques using paper yarn textiles, a paper weaving technique was 6.75%. Moreover, other techniques in which paper modeling techniques or subsidiary clothing was blended were 3.65%, and Dak peeling textiles were 1.33%. Paper paste moulding textiles types represented 1.44%, above all papier $m{\hat{a}}ch{\acute{e}}$ techniques of 0.55% and creasing and holding techniques were 0.88%. Paper is sufficient to express the artists' creativity as well as having qualities as an artistic medium, such as variability through combined use with other materials, variation in form, suitability for reuse of waste paper,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Also, various paper modeling techniques can be blended with textiles for a generalized technology that overcomes the limits of paper and textiles.

1990년대 이후 한국 기업미술관의 현황 및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rrent State and Typology of Korea Company Gallery since 1990)

  • 김혁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203-3212
    • /
    • 2014
  • 기업의 문화 예술 지원은 메세나 운동으로부터 시작되었고 이후에는 소비자의 문화욕구를 만족시키고 기업의 이미지를 향상시키며 시대의 요구와 변화로서 기업의 활동을 증가시키는 문화마케팅으로 변화되었다. 그러므로 많은 기업들은 다양한 영역에서 문화마케팅 활동을 발전시키고 있다. 특히 아트마케팅은 예술 활동에 대한 관심과 기대치를 올리고 생산품에 대한 비판적인 관점과 삶의 기준을 높이는 역할로 인해 중요한 업무가 되었다. 그러므로 기업은 전략적 차원과 공공복지에 기여하는 차원에 따르는 이미지 마케팅 활동으로서 자사건물이나 별도의 공간에 전시공간을 제공해 예술과 관련된 다양한 전시, 스폰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문화마케팅의 개념, 기업의 문화 예술 지원현황 및 아트 마케팅의 개념과 유형을 분류한다. 동시에 문화마케팅 수단으로서 기업 미술관의 전시공간의 유형을 분류하고 프로그램의 분석을 통해 기업 미술관의 특성 및 유형을 파악한다.

'Outspoken' Oral Hygienists Promote Oral Health Care Awareness at Public Events for (Pregnant) Women and Young Mothers

  • Buunk-Werkhoven, Yvonne A.B.;Gortzak, Jolanda J.C.;Sjoerts, Judith J.E.;Frederiks, Annemarie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40-149
    • /
    • 2021
  • Background: The aim of these two (pre COVID-19 pandemic) public health studies in Amsterdam were to promote the profession of the oral hygienist and to increase oral health care awareness among (pregnant) women and young mothers, who were visitors of public consumer's exhibitions. Methods: Two cross-sectional studies were carried out. In 2018, during the first study, 1,765 visitors of the Household Fair completed a questionnaire. In 2020, during Study 2, 304 visitors of the Nine-Month Fair completed a semi-structured online questionnaire. At both fairs a team of 'outspoken' oral hygienists, i.e., members of the Foundation 'Goed Gebekt', provided the visitors with tailored advices about general health related to adults, mothers', and their children' oral health, using natural routine interviewing, that was based on their own professional daily practical experience. Results: In Study 1, just over half (53.5%) of a total of 1,742 visitors, (85.7% female) was younger than 45 years old. In Study 2, 210 visitors with a mean age of 30.7 years were included. Most women reported their self-perceived oral health as 'good' (mean=8.0, standard deviation=1.3; range 3~10). Qualified (self) employed oral hygienists seem to be known among the visitors, but still only visited upon referral of the dentists. Up to the age of 18 reimbursements by the basic insurance is still unknown to the public. Conclusion: The Foundation 'Goed Gebekt' encourages other oral hygienists to make their own initiatives and experiences public and to share it. Public awareness is needed for oral health promotion and the development of optimally targeted interventions among (pregnant) women and young mothers by oral hygienists.

<수궁가> 공연을 활용한 공연예술박물관 어린이 체험전시 사례 분석 (Analyzes the case of Performing Arts Museum of the children's experience exhibition in relation to the performance)

  • 하을란
    • 공연문화연구
    • /
    • 제36호
    • /
    • pp.473-504
    • /
    • 2018
  • 이 글은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에서 <수궁가> 공연을 활용하여 어린이를 대상으로 기획한 체험전시 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전시나 교육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부분은 어린이가 프로그램의 진행 '대상'이 아닌 '주체'로서 그 내용 안에서 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소통 가능한 방식의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이 글은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수궁가> 공연을 전시에 연계하여 공연무대를 만드는 요소 중에서 '분장'이라는 부분을 체험으로 풀어냈던 전시사례를 분석한 것으로 그 사례를 소개하고 공유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이 전시의 주제가 됐던 <수궁가> 공연이 어떻게 전시로 활용되어 어떤 체험내용으로 구성되었는지 그 사례를 살펴보고, 공연과 연계한 어린이 체험 전시의 더 나은 방향에 대해 고민해보는 계기를 마련해보고자 하였다.

미국대통령기록관의 역기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merican Presidential Libraries focusing on dysfunctions)

  • 조민지
    • 기록학연구
    • /
    • 제20호
    • /
    • pp.213-256
    • /
    • 2009
  • 복합민족국가 미국의 신속한 국가정체성 확립을 위한 주요 시발점이 되었던 대통령기록관은 미국이라는 한 자본주의 국가가 자신의 대통령을 기념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분명 미국이기에 가능했고, 또한 미국이기에 이해되는 것들이기도 했다. 미국이 대통령기록관시스템을 통해 그 어떤 행정기록보다 풍부한 자원을 확보하고 이용 가능하게 한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그러나 기록보다는 박물 전시에 치중하며, 이를 통해 국가적 애국심을 고착시키며 야기 시켰던 역기능들은 여전히 간과할 수 없는 요소들로 자리하고 있다. 이집트에 고대 파라오를 위한 피라미드가 있다면, 미국에는 전직 대통령을 위한 성전인 대통령기록관이 있다는 역사가들의 비유는 미국 대통령기록관이 자의적 역사해석을 통해서 퇴임 대통령을 긍정적으로 그리기 위해 얼마나 극도로 노력해왔는지를 보여준다. 그 영웅화가 가능하게 된 배경에는 미국식 소유관념과 미국식 낙관주의 문화가 있었음을 배제할 수 없다. 미국대통령기록관이 비록 그들의 방식으로 제도화하고 발전되었지만 거기에는 우리가 기꺼이 배울 점도 있고, 도저히 따라가서는 안 되는 점도 공존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균형 잡힌 시각으로 외국 사례를 수용하고 제대로 직시하는 시야를 갖는 것이다.

국가기록 전시의 의미화에 대한 이용자 수용과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 Acceptance and Change upon Exhibitions of National Archives)

  • 조민지
    • 기록학연구
    • /
    • 제57호
    • /
    • pp.5-33
    • /
    • 2018
  • 기록은 그 속성이 주는 견고하고 사실적인 능력으로 인해 시각적 이미지를 통한 전시 프로그램에 주요 동원 매체가 되었다. 시각적으로 재현된 이미지는 그 메시지를 소비하는 집단이 개별적으로 수용하여 의미적 이미지로 발화된다. 본 연구는 기록이 사회적 생명력을 갖고 기록의 전시를 통해 돌아오는 것이며 이미지와의 작용을 통해 과거를, 기억을 '재매개'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기록의 활용 중 전시를 이용자 분석의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전시가 기록을 선별, 배치하는 과정 속에서 그 기관의 정체성을 가장 분명하게 드러내 보일 수 있는 도구이자 매개체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국가기록 중 특히 기억 갈등의 중심에 있는 "대통령" 기록 전시를 기억의 문화적 실천 관점에서 분석한 후 이용자들의 실제 전시 관람과 설문을 통해 어떻게 전시 의미를 수용하고 저항하는가에 대한 실증적 연구와 결과를 밝혔다.

하이브리드 웹 콘텐츠 관리 시스템 구현 (Hybrid Web Content Management System Implementation)

  • 박선경;문형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15-2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현장 체험학습, 전시, 행사, 문화에 대한 다양한 콘텐츠 정보를 수요자가 손쉽게 검색하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맞춤형 체험학습 서비스 플랫폼을 통하여 지역내 수 많은 문화콘텐츠의 가치를 발굴하고 DB 구축하여 수요자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맞춤형 체험학습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안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Beacon 기술은 Google이 개발한 Eddystone 포맷으로 URL을 브로드캐스팅 하는 BLE 기술로서 이는 사용자가 별도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단말기에 설치된 Chrome 브라우저를 통해 웹에서 구현된 플랫폼을 사용자들이 보다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역문화 콘텐츠의 데이터베이스화가 완성되면 전국으로 확대시켜 콘텐츠의 다양화와 시장 확대로 수요자에게 더욱더 다양하고 양질의 자기 주도적 문화콘텐츠 체험학습 활동 교육 프로그램들이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마을기록물의 수집과 활용 (Collecting and using maul records)

  • 김덕묵
    • 기록학연구
    • /
    • 제49호
    • /
    • pp.299-325
    • /
    • 2016
  • 이 글에서는 마을기록물의 중요성과 유형 및 소장처, 수집과 보존, 활용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마을기록물은 주민의 일상 활동을 실증하며 마을의 역사와 문화를 규명하는 데 기여하며 구술의 불완전성을 보완하는 마을문화의 자원이다. 마을기록물을 수집하기 위해서는 그것의 유형과 소장처, 존재방식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마을기록물은 자치조직의 활동에서 생산된 기록물, 주민의 개인기록물, 마을 안팎에 존재하며 마을사를 증거해 줄 수 있는 기록물을 전체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마을기록물의 수집방법은 정기적 수집과 비정기적 수집 그리고 일반적 수집과 적극적 수집으로 분류할 수 있다. 마을기록물은 마을기록관에 보존하는 것을 지향해야 한다. 마을기록물은 주민의 삶의 질과 정서함양에 도움을 주며 책 자, 포스터, 달력, 홍보물, 상징물, 학술 및 교육, 전시, 디지털콘텐츠, 마을사의 사료 및 히스토리마케팅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