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cretion ratio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41초

Measurement of urinary protein in children

  • Myung Hyun Cho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6권2호
    • /
    • pp.69-73
    • /
    • 2022
  • Proteinuria is an early hallmark of kidney disease and a major risk factor for systemic cardiovascular diseases. There are several methods to measure proteinuria, such as the urine dipstick test, 24-hour urinary protein excretion method, and spot urine for the protein-to-creatinine ratio. The urine dipstick test is simple but inaccurate. The 24-hour urinary protein excretion method is the gold standard; however, it is cumbersome, especially in children. Spot urine for the protein-to-creatinine ratio is simple and accurate, but has limitations. Specific urinary protein such as albumin can be measured instead of the total protein content. Tests should be avoided in situations that cause transient proteinuria or false-positive results. It should be performed correctly, and its limitations should be recognized and interpreted accurately.

일부 농촌지역 주민의 요중 전해질 측정을 통한 식염 섭취량 추정과 고혈압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f Electrolyte Excretion and Salt Intake in a Rural Community)

  • 문정주;함선희;최경애;육미이;채영희;김기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4권1호
    • /
    • pp.8-15
    • /
    • 1991
  • 전라북도 완주군의 북부 5개면 지역에서 Na, K의 요중 배설의 양상을 파악하고 일일 식염 섭취량을 추정하며 Na, K 배설과 혈압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1987년 1월부터 3월에 걸쳐 40개 마을을 순회하며 30세 이상의 성인에 대한 건강검진을 실시하고 537명으로 부터 12시간 야간뇨를 수집하였다. creatinine의 체중당 일일 배설량이, 일정한 연령층에서는 비교적 일정하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수집된 시료를 선발하였다. 이 검사값이 피검자가 속한 연령층의 신뢰범위에 포함되는 소변만을 정확한 12시간 야간뇨로 인정하였는데 537명 중 345명의 소변이 이에 해당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2시간 동안 소변으로 배설된 전해질의 양은 Na의 경우 고혈압군에서는 179.5 mEq, 정상혈압군에서는 203.8 mEq였고 전체의 평균값은 193.5 mEq였다. Na 배설에 있어서는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12시간 동안 배설된 K의 양에서는 고혈압군이 정상혈압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고 (고혈압군이 17.5 mEq, 정상혈압군 23.1 mEq, p<0.01) 전해질 간의 비율에서도 K/creatinine에서 고혈압군이 정상혈압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고혈압군 0.040, 정상혈압군 0.050, p<0.05). 2. Na의 일일 배설량은 386.9 mEq였으며 이를 NaCl의 양으로 환산한 값은 22.4 g이었다. 1일간 섭취된 Na의 90%만이 소변으로 배설된다고 가정할 때 NaCl의 1일 섭취량은 평균 24.9 g으로 추정되었다. 추정된 1일 NaCl 섭취량에서 고혈압군과 정상혈압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23.2g vs 26.3g) 고혈압군의 평균 식염 섭취량이 정상혈압군의 평균값보다 다소 적은 결과를 얻었다. 3. 전체 조사 대상자 중 수축기 혈압이 120 mmHg 이상인 집단에 한하여 혈압이 높아질수록 K 배설량이 감소하는 부분적 역(逆)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고 Na/K 비(比)는 대상자 전체에서 혈압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p<0.05).

  • PDF

가토의 요산배설에 관한 실험적연구 (Experimental Studies on the Excretion of Uric acid in Rabbit)

  • 홍윤표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7-76
    • /
    • 1971
  • The excretion of uric acid in man has been of great interest because of its importance as an end product in purine metabolism as well as of its role in causing gout.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modes of renal handling of urate among various species of animals. Uric acid actively secreted by the renal tubules of most vertebrate including amphibians, reptiles, and birds. On the other hand, in most mammals net tubular reabsorption of urate appears to be occurred with some exception, such, as Dalmatian dog. In the rabbits, however, the mechanism of renal excretion of uric acid has long been a subject of controversial results. Within a given group it was possible to find individuals with either net secretion or net reabsorption of urate depend o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Excretion of urate can be depressed or enhanced by a variety of drugs belonging mainly to the aromatic acid group. Diodrast, probenecid, cinchophen and salicylates have been reported as uricosuric agents, on the other hand, lactate, benzoate, pyrazinoic acid, acetazolamide and chlorothiazide are known to be contraindicated to use for the patient with gout since these agents depress the excretion of uric acid from the kidney. However, complex and sometimes the paradoxical effects on the urate excretion by those above mentioned drugs are not uncommon. The experiments were design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s of renal handling of urate as well as the effects of variety of drugs on the tubular transport of uric acid in the rabbits. Male or female white rabbits, from 1.5 to 2.5 kg in weight, were used. The experimental methods used in these studies were clearance, stop-flow, and retrograde injection techniques. The effects of saline, salicylate, chlorothiazide and probenecid were investigated in each experimental conditions. Results of the experimen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rabbits, the rate of urate clearance was always lower than the rate of inulin clearance. The filtration fraction of the urate was one third on an average,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approximately two thirds of filtered urate was reabsorbed. 2. In the kidneys of rabbits, the urate clearanc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by administration of chlorothiazide and decreased by probenecid. The administration of salicylate had no effect on the rate of urate clearance. The filtration fraction of urate was increased by chlorothiazide and decreased by probenecid. 3. In the stop-flow studies, the U/P ratio of urate was higher than the U/P ratio of inulin in the proximal region, indicating the secretion of uric acid in the proximal tubules. The proximal peak was increased by chlorothiazide and inhibited by probenecid.4. In the retrograde injection studies, the reabsorption of urate in the proximal region was observed, and these reabsorptive transport of urate was depressed by either probenecid or by chlorothiazide. 5. No distal tubular activity was observed under any of these experimental conditions concerning urate transport.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show that probenecid inhibits both secretory and reabsorptive transport of uric acid in the kidney of the rabbits. The enhancement of secretory transport of urate by chlorothiazide in the clearance study was due to the secondary action of chlorothiazide which inhibits the reabsorptive transport of urate in the proximal tubules. It is evident that the urate transport in the kidneys of rabbits is bidirectional nondiffusive flux both secretory and reabsorptive directions in the proximal tubules.

  • PDF

EFFECTS OF DIETARY FULL-FAT SOYBEAN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AND FEED UTILIZATION AND PHOSPHORUS EXCRETION OF CARP (Cyprinus carpio)

  • Kim, J.D.;Kim, K.S.;Song, J.S.;Woo, Y.B.;Jeong, K.S.;Won, T.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8권6호
    • /
    • pp.587-594
    • /
    • 1995
  • In order to estimate the nutritive value of roasted full-fat soybean (FFS) in carp diet, growth performance and excretion of protein and phosphorus were examined using carps having mean body weight of 111 g. Growth trial was conducted for 4 weeks using the fishes fed 5 diets (Control, $F_{24}S_{13}$, $F_{16}S_{27}$, $F_8S_{40}$ and $F_0S_{56}$) containing 32%, 24%, 16%, 8% and 0% of fish meal (F) and 0%, 13%, 27%, 40% and 56% of full-fat soybean, respectively. A total of 800 fishes were allotted randomly by groups of 40 to 5 treatments with 4 replicates per treatment. Fishes were fed to station eight times daily. Feeding trial was conducted for 4 weeks. As dietary FFS increased from 0% to 56%, weight gain of fish decreased from 91 g to 39 g and feed conversion ratio increased from 1.06 to 1.95. Protein efficiency ratio (PER) was highest (2.35) in control group which had the highest protein intake, while PER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decrease in protein intake as dietary FFS level increased. Although dietary protein and energy levels were maintained constant, protein excretion per kg weight gain varied from 273 g to 579 g for the groups control and $F_0S_{56}$, respectively. However, the value for control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those for the groups $F_{24}S_{13}$ and $F_{16}S_{27}$. On the other hand, the highest protein retention efficiency was found in group fed the diet $F_{24}S_{13}$. Fish fed the diet $F_8S_{40}$ excreted the lowest phosphorus (P) based on kg weight gain showing the highest P retention efficiency of 62%. P excretion per kg feed intake was in the range of 5 g to 10 g for the groups $F_8S_{40}$ and $F_{24}S_{13}$, respectively. The present results indicated that as dietary FFS level increased, growth performance and feed utilization decreased while excretion of protein and phosphorus increased.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more than 25% substitution by FFS for fish meal could exert negative effects on growth and feed utilization of carp.

Influence of Level of Feed Intake on Concentration of Purine Derivatives in Urinary Spot Samples and Microbial Nitrogen Supply in Crossbred Bulls

  • George, S.K.;Dipu, M.T.;Mehra, U.R.;Verma, A.K.;Singh, 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9호
    • /
    • pp.1291-1297
    • /
    • 2006
  • The potential of the spot urine sampling technique as an alternative to performing a total urine collection to predict the microbial nitrogen supply was evaluated in crossbred bull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20 growing crossbred bulls were assigned four levels of feed intake (120, 100, 80 and 60% of voluntary dry matter intake) on diets comprised of wheat straw and concentrate mixture (50:50). After three months of experimental feeding, a metabolism trial was conducted for ten days, during which spot urine collections were performed every 6 h post feeding on days 9 and 10. The daily urinary excretion of allantoin (A) and purine derivatives (PD) decreased with the reduction in feed intake while creatinine (C) excretion remained similar in animals fed at different levels. The microbial nitrogen (MN) supply calculated from the PD excreted in total urine (35.08 to 72.08 g/d) was higher at increased levels of feed intake. PD concentration in spot urine samples had poor correlation with feed intake except at 12 h post feeding. A/C ratio and PD/C ratio in spot urine samples remained similar irrespective of sampling time and significantly (p<0.01) correlated with daily urinary PD excretion, digestible organic matter intake and dry matter (DM) intak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evident in these ratios among animals fed at levels 120, 100 and 80% of voluntary dry matter intake (VDMI) at different times post feeding. These results suggests that the spot urine sampling technique to predict the microbial protein supply is not suitable for detecting small differences in MN supply and hence, estimation of PD excreted in total urine (mmol/d) is necessary to assess precisely the MN supply in crossbred bulls.

감귤박, 다시마, 손바닥 선이장 분말을 함유한 식이의 급여가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체내 지질수준과 장내 콜레스테롤 흡수, 혈소판 응집성 및 간 조직에 미치는 영향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Tangerine Pulp, Sea Tangle or Prickly Pear Cactus on Lipid Level, Intestinal Cholesterol Absorption, Platelet Aggregation and Liver Tissue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 강민숙;강정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2호
    • /
    • pp.141-149
    • /
    • 2001
  • This study done to investigate the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ow dietary fiber in a high cholesterol diet in aspect of cholesterol absorption and excretion using Sprague Dawley rats. After feeding diets containing 0.5% cholesterol and 5% tangerine pulp, sea tangle or prickly pear cactus for four weeks, we measured the levels of plasma and liver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fecal neutral sterols and fecal radioactivity after ingestion 14(sup)C-cholesterol. We also examined platelet aggregation and histological change in liver tissues in association of hypercholesterolemia. The liver to body weight ratio was significantly(p<0.01) lower in rats fed prickly pear cactus than in other groups. The levels of plasma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decreased significantly(p<0.01) in the prickly pear cactus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iver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among groups. Fecal corprostanol and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p<0.01) higher groups of control and prickly pear cactus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Radioisotope excretion after ingestion of 14(sup)C-cholesterol was higher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tangerine pulp group or sea tangle group, with the highest in prickly pear group. Radioisotope excretion was the highest during the 2nd and 3rd days in all groups. Hematocrit and platelet aggregation were decreased in all fiber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but not statistically different. Microscopic examination showed that cholesterol diet cause a fat accumulation in the liver and prickly pear cactus decreased the fat accumulation. Result indicates that prickly pear cactus has hypocholesterolemic effect by decreasing absorption and increasing excretion of cholesterol, thereby protective effect on fatty liver. Control group fed diet containing high cholesterol and low fiber seems to have a self control system in cholesterol absorption and excretion preventing hypercholesterolemia. (Korean J Nutrition 34(2) : 141-149, 2001)

  • PDF

환경친화적인 사료의 급여가 육성돈의 성장 능력, 영양소 소화율, 분 배설량, 분뇨내 질소배설량 및 악취 가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vironment-Friendly Diets on the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Fecal Excretion, Nitrogen Excretion and Emission Gases in Manure for Growing Pigs)

  • 유종상;조진호;진영걸;김해진;왕기;현영;고태구;박찬수;김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491-500
    • /
    • 2007
  • 세계적으로 축산 폐수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는 매우 심각하게 거론되어져 왔으며 특히 네덜란드, 덴마크, 영국 등과 같은 축산 선진 국가에서의 연구는 매우 심도 있게 이루어져 왔다. 우리 나라의 경우도 최근 들어 축산업이 대규모 전업화 혹은 기업화 되면서 가축이 배설하는 분뇨가 심각한 수질 및 토양 오염원이 됨에 따라, 정부는 이들 축산 폐수를 억제하기 위한 일환으로 환경 시행법을 법률화하고 있다. 또한 농림수산부는 시설 개선과 축산 폐수의 처리를 위한 시설 지원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환경청이나 환경 관련 단체의 활동이 강화되면서 일반 국민의 수질오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부응하는 축산인들의 자체 노력이 가세하여 축산 폐기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질오염에 대한 경각심은 초미의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동물의 품종의 개량과 함께 생산성을 저해하는 각종 질병의 예방, 치료 약제, 성장 촉진 및 사료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물질이 사료첨가제로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동물의 성장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료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물질로서는 항생제(Thrasher, 1968), 효소제(권 등, 2003), 호르몬제(Chung, 1990)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축산악취저감 및 사료 효율개선 등을 위한 생균제에 관한 연구(박 등, 2001; 길 등, 2004)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양돈 산업에 있어 생산성 향상뿐만 아니라 환경 친화적인 축산을 위하여 양돈을 하면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장 시급한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질소의 배설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저단백질 사료를 급여하거나 단백질 소화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소화효소제나 미생물제제, 효모제, 생균제 등을 이용하여 배설량 및 질소의 배출량을 감소시킨다는 연구들이 있었으며(민 등, 1992; Park 등, 1994), Sutton 등(1999)과 Shriver 등(2003)은 사료내 단백질 수준을 낮추고, 합성아미노산을 급여함으로써 질소 배설량을 감소시켰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친환경적인 사료 개발은 사료 효율 및 영양소 소화율의 개선, 분뇨내 질소 배출량 및 악취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저공해 사료 개발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저공해 사료 개발에 대한 시험에서는 육성돈의 사료에서 대사에너지 함량을 낮추고, α-1, 6-galactosidase와 β-1,4-mannanase를 포함한 복합 효소제를 첨가하여 성장 능력 및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사료내 낮은 CP의 함량과 복합 생균제를 첨가 급여 성장능력, 질소배설량 및 악취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닭에 있어서 사료섭취의 자유 및 제한급여시킬 때의 사료섭취량, 음수량 및 수분 배설량에 미치는 맹장결찰 및 인공항문 수술의 효과 (Effects of Cecal Ligation and Colostomy on Food and Water Intake and loafer Excretion in Chickens Fed Restrictedly and Freely)

  • Son, J.H.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59-263
    • /
    • 2002
  • 본 연구는 닭에 있어서 맹장을 포함한 하부소화관으로 요(尿)의 역류가 음수량 및 수분 배설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를 또한 사료의 섭취량이 요 (尿)의 역류량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시험하였다. 급여사료를 제한 및 무제한 급여의 양조건에서 사육된 대조구 닭과 맹장이 결찰된 닭에 인공항문 수술을 실시하면 음수량, 총 수분배설량 및 음수량/사료섭취 량이 유의하게 증가(P<0.05)하였으며 이 증가량은 사료섭취 량을 무제한 급여하였을 때가 제한 급여하였을 때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사료의 섭취량을 무제한으로 하였을 때에 대조구 닭과 인공항문이 장착된 닭에 맹장결찰 수술을 실시하면 음수량, 총 수분 배설량 및 음수량/사료섭취량이 유의하게 증가(P<0.05)하였지만, 제한급여 조건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제한 급여 및 무제한 급여의 양 조건에서 수분균형은 인공항문 수술 및 맹장결찰 수술에 따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조구 닭과 맹장이 결찰된 닭에서의 인공항문 수술은 사료섭취 량을 증가(P<0.05)시켰지만. 대조구 닭과 인공항문이 장착된 닭에서의 맹장결찰 수술은 사료섭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닭에 있어서 맹장을 포함한 하부소화관은 수분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요(尿)로부터 수분을 재 흡수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결론을 내린다.

급격한 염분변화에 따른 황복의 산소소비와 질소배설 (The Optimum Salinity and the Effects of the Rapid Salinity Change on Oxygen Consumption and Nitrogen Excretion in River Puffer, Takifugu obscrus)

  • 이정열;김덕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5-51
    • /
    • 2005
  • 황복 치어를 대상으로 염분과 수온이 변화되었을 때 나타나는 생리적 변화를 대사지표인 산소 소비율과 암모니아 질소 배설률을 측정하여 그 영향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염분 2, 12, 22 및 32 psu에서 2 개월간 순치 사육한 황복(체장 9.5$\pm$0.9 cm, 체중 18.7$\pm$5.4g)의 산소소비율과 암모니아 질소 배설률은 사육염분에 대하여 포물선식으로 나타낼 수 있어서 각각 $Y=-0.0873X^2+0.6384X-0.690$$Y=-2.1667X^2+7.1672X+31.999$로 표시할 수 있었다. 산소소비율과 질소배설률은 사료섭취과 관련하여 일주기성을 나타내어 산소소비는 사료섭취 3시간 후에, 암모니아 질소 배설은 사료섭취 4시간 후에 각각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염분 2, 12, 22 및 32 psu에서 사육하던 황복을 갑자기 염분을 달리하였을 때 산소소비율과 암모니아 질소 배설률은 저염분(2. 12 psu)으로 옮긴 경우가 정상염분(32 psu)으로 옮긴 경우 보다 각 염분별 사육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염분변화에 대한 생리적 보상으로 에너지 소비 경향을 산소소비량 대 암모니아 질소 배설량간의 원자비(O:N비)로 대사 기질을 판단할 때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료효율 및 성장으로 본 황복에 적정 염분은 22 psu로 나타났다.

한국 농촌거주자의 24시간 채집 소변중 나트륨, 칼륨의 배설량과 일중 총 소변 배설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rinary Excretions of Sodium and Potassium and the Volume of 24 Hour Urine in Rural Korean Residents)

  • 선명훈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6권1호
    • /
    • pp.27-32
    • /
    • 1991
  • 한국인은 많은 양의 염류를 섭취하며 저단백식을 주로 한다는 사실이 1960년대로부터 알려져왔다. 일련의 연구로부터, 한국인이 많은 양의 염류를 섭취하는 것은 저단백식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져왔다. 지난 30년간 한국인의 식사중 단백성분은 크게 증가해 왔다. 본 연구는 1990년 현재 한국 농촌지역 거주자의 소변 중에 배설되는 나트륨과 칼륨의 양 및 총 소변 배설량을 측정하여 유의할 만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또, 도시지역 거주자와의 비교를 위해 34명의 농촌지역 거주자와 9명의 도시지역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중 조사대상자를 일상생활을 그대로 영위하도록 하였다. 34시간 동안 배설된 소변을 수집하여 그중의 나트륨, 칼륨, 크레아티닌 농도를 측정하였다. 마지막 뇨 수집 시에는 정맥혈을 채취하여 혈장 중의 나트륨, 칼륨, 총단백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혈장 중의 나트륨, 칼륨, 총단백 농도는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2) 농촌인구에서는 24시간 소변중의 나트륨, 칼륨 배설량은 각각 $255{\pm}95.6$mEq/day, $45{\pm}15.1$mEq 이었으며 24시간동안 수집된 소변의 총량은 $1800{\pm}514.3$ml/day이었다. 이 수치를 1960년의 자료와 비교할 때 수집된 나트륨 배설량은 감소추세를 보였으나 칼륨과 총 소변배설량에 있어서는 별 변화를 발견할 수 없었다. 3) 농촌거주자의 소변중 Na/K 비는 도시거주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도시지역거주자에 있어서 소변중 나트륨 배설량의 감소추세가 더욱 두드러졌다. 4) 이 수치를 서양인의 수치와 비교하면 아직도 한국 농촌지역 거주자의 염분 섭취가 높음을 보이고 있는 반면 칼륨에 있어서는 서양인에 비해 훨씬 낮음을 알 수 있다. 5) 염분과 단백의 섭취 사이에 있을 수 있는 관계를 고찰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