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Volume 24 Issue 1 Serial No. 33
- /
- Pages.8-15
- /
- 1991
- /
- 1975-8375(pISSN)
- /
- 2233-4521(eISSN)
A Study of Electrolyte Excretion and Salt Intake in a Rural Community
일부 농촌지역 주민의 요중 전해질 측정을 통한 식염 섭취량 추정과 고혈압과의 관계 연구
- Moon, Joung-Joo (Community Health Department,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 Ham, Sun-Hee (Community Health Department,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 Choi, Kyoung-Ae (Community Health Department,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 Yook, Mi-Ee (Community Health Department,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 Chai, Young-Hee (Community Health Department,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 Kim, Ki-Soon (Community Health Department,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문정주 (예수병원 지역사회 보건과) ;
- 함선희 (예수병원 지역사회 보건과) ;
- 최경애 (예수병원 지역사회 보건과) ;
- 육미이 (예수병원 지역사회 보건과) ;
- 채영희 (예수병원 지역사회 보건과) ;
- 김기순 (예수병원 지역사회 보건과)
- Published : 1991.03.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the urinary excretion of electrolytes (Na, K)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lood pressure, and to estimate the amount of daily salt intake in a rural community. From January to March in 1987, a mobile screeing team visited 40 villages, and carried out health screening of 537 adult volunteers whose age were over 30 years and collected 12-hours overnight urine. To determine the completeness of collection, the urinary creatinine was measured. If the creatinine excretion was beyond the range given to the age group, the sample was excluded from the analysis as an incomplete collection : 345 samples were remained for analysis.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mean excretion amounts of urinary electrolytes for 12 hours were Na 193.5 mEq, K 20.8 mEq, creatinine 1.0 g. The mean ratio of electrolytes were Na/K 9.84, Na/creatinine 0.44, K/creatinine 0.046. 2. Both the mean excretion amount of K and the mean ratio of K/creatinine were less in hypertensives than in normotensives. K excretion also showed a tendency towards a decrease in inverse proportion to systolic blood pressure when it exceeded 120 mmH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ypertensives and normotensives in Na excretion. The sodium to potassium ratio increased in poportion to systolic blood pressure. 3. The mean daily salt excretion amount was 22.4 g. Assuming that 90% of the intake was excreted, the estimated amount of daily salt intake was 24.9 g.
전라북도 완주군의 북부 5개면 지역에서 Na, K의 요중 배설의 양상을 파악하고 일일 식염 섭취량을 추정하며 Na, K 배설과 혈압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1987년 1월부터 3월에 걸쳐 40개 마을을 순회하며 30세 이상의 성인에 대한 건강검진을 실시하고 537명으로 부터 12시간 야간뇨를 수집하였다. creatinine의 체중당 일일 배설량이, 일정한 연령층에서는 비교적 일정하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수집된 시료를 선발하였다. 이 검사값이 피검자가 속한 연령층의 신뢰범위에 포함되는 소변만을 정확한 12시간 야간뇨로 인정하였는데 537명 중 345명의 소변이 이에 해당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2시간 동안 소변으로 배설된 전해질의 양은 Na의 경우 고혈압군에서는 179.5 mEq, 정상혈압군에서는 203.8 mEq였고 전체의 평균값은 193.5 mEq였다. Na 배설에 있어서는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12시간 동안 배설된 K의 양에서는 고혈압군이 정상혈압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고 (고혈압군이 17.5 mEq, 정상혈압군 23.1 mEq, p<0.01) 전해질 간의 비율에서도 K/creatinine에서 고혈압군이 정상혈압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고혈압군 0.040, 정상혈압군 0.050, p<0.05). 2. Na의 일일 배설량은 386.9 mEq였으며 이를 NaCl의 양으로 환산한 값은 22.4 g이었다. 1일간 섭취된 Na의 90%만이 소변으로 배설된다고 가정할 때 NaCl의 1일 섭취량은 평균 24.9 g으로 추정되었다. 추정된 1일 NaCl 섭취량에서 고혈압군과 정상혈압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23.2g vs 26.3g) 고혈압군의 평균 식염 섭취량이 정상혈압군의 평균값보다 다소 적은 결과를 얻었다. 3. 전체 조사 대상자 중 수축기 혈압이 120 mmHg 이상인 집단에 한하여 혈압이 높아질수록 K 배설량이 감소하는 부분적 역(逆)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고 Na/K 비(比)는 대상자 전체에서 혈압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