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cess Molar Volume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초

1,2-dichloropropane(l) - 2-methoxyethanoI(2)계의 과잉 몰 부피 및 과잉 몰 엔탈피의 측정 (Excess Molar Volumes and Enthalpies for 1,2-dichloropropane + 2-methoxyethanol at the Temperature 298.15K.)

  • 김문갑;이영세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93-198
    • /
    • 2001
  • 2성분계 혼합물(1,2-dichloropropane + 2-methoxyethanol)에 대해 과잉몰 부피(excess molar volumes) $V^E$ 및 과잉 몰엔탈피(excess molar enthalpies) $H^E$를 298.15K에서 측정하였다. 혼합물의 밀도측정은 digital vibrating tube densimeter를 이용하였고, 과잉 몰엔탈피는 isothermal flow microcalorimeter를 이용하였다. 측정한 과잉 몰부피는 전 조성 영역에서 양의 편차를 나타내었으며, 과잉 몰엔탈피는 S 자형용 보였다. 또한 얻어진 data는 Nelder- Mead의 simplex method를 이용하여 Redlich-Kister 다항식에 접합 (fitting)하였다.

  • PDF

Purple Membrane과 Red Membrane에서 마취제에 의한 분광학적 측정 (Measurement of Photospetroscpopies by Anesthetics in Purple Membrane and Red Membrane)

  • 김기준;정형학;김주한;송희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472-477
    • /
    • 2018
  • 전신마취제의 잉여 몰부피는 Halobacteriun Halobium에서 추출분리된 Purple membrane과 Red membrane에서 vesicle의 현탁액에서 $25^{\circ}C$ 잉여부피 dilatometer로 측정되었다. 우리의 연구에 의해 전신마취제인 Propofol은 잉여몰부피와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혔다. Halobacteriun Halobium에서 비중 차이에 의해 추출 분리된 Purple membrane과 Red membrane의 잉여몰 부피는 vesicle의 아미노산과 지질의 영향이다. 이들은 잉여 몰부피 dilatometer로 잉여 몰 부피를 측정되었으며, 흡광세기는 280 nm 330 nm 에서 연구되었다. Purple membrane과 Red membrane이 Propofol에 의한 입자크기 분석, 상대적 혼탁도가 기계적 특성을 위해 연구되었다. 확산 교환에 의한 점성 중합체 용액의 입자 크기 분석은 측정에 의한 중요한 단계이다. Propofol이 vesicle에서 재구성된 시료들 중에서, 특히 PM+RM+Propofol의 잉여 몰 부피가 PM, RM의 잉여 몰 부피보다 가장 크게 측정되었다.

2성분계 {1,2-dichloropropane+2-(2-methoxyethoxy)ethanol 및 + 2-(2-ethoxyethoxy)ethanol}에 대한 298.15 K에서의 과잉몰엔탈피 및 과잉몰부피 (Excess Molar Enthalpies and Excess Molar Volumes for the Binary Mixtures {1,2-dichloropropane+2-(2-methoxyethoxy)ethanol, and +2-(2-ethoxyethoxy)ethanol} at 298.15 K)

  • 김재원;김문갑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5호
    • /
    • pp.444-452
    • /
    • 2006
  • 298.15 K 및 1 atm에서 2성분계 {1,2-dichloropropane+2-(2-methoxyethoxy)ethanol} 및 {1,2-dichloropropane+2-(2-ethoxyethoxy)ethanol}에 대한 과잉몰부피와 과잉몰엔탈피를 측정하였다. 과잉몰부피를 측정하기 위한 밀도는 vibrating glass-tube 방식의 densimeter를 이용하였고, 과잉몰엔탈피는 flow mixing 형의 isothermal microcalorimeter를 이용하였다. 측정한 과잉몰부피 및 과잉몰엔탈피는 조성과 상관지어 모두 S자형을 나타내었다. 초기 2-(2-alkoxyethoxy)ethanol 의 강한 자체 회합현상으로 음의 편차를 나타내며, 할로겐화탄화수소 분자의 증가에 따라 2-(2-alkoxyethoxy)ethanol 분자간의 수소결합을 끊기 위한 에너지가 상대적 더 많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V^E_m$$H^E_m$ data는 Nelder-Mead의 simplex pattern search method를 이용하여 Redlich-Kister 다항식에 접합(fitting)하였고, Wilson, NRTL 및 UNIQUAC model을 이용하여 $V^E_m$ data와 조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298.15~318.15 K 에서 2-브로모프로판-메탄올 이성분 혼합물의 밀도, 점성도, 여분 성질 (Densities, Viscosities and Excess Properties of 2-Bromopropane - Methanol Binary Mixtures at Temperature from (298.15 to 318.15) K)

  • Li, Hua;Zhang, Zhen;Zhao, Lei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71-76
    • /
    • 2010
  • 298.15~318.15 K 온도에서 디지탈 진동 U-tube densimeter 와 Ubbelohde 모세관 점성계을 사용하여 2-브로모프로판/메탄올 이성분 혼합물의 밀도와 점성도를 측정하였다. 온도와 농도에 대한 밀도와 점성도 상호 의존 관계를 조사하였다. 이성분 혼합물의 여분 몰부피와 여분 점성도를 실험으로 얻어진 밀도와 점성돌로부터 계산하여 구하였다. 모델이 실험치와 잘부합됨을 발견하였다.

Volumetric Behaviour of Binary Liquid Mixtures at a Temperature of 303.15 K

  • Wahab, Mohammad A.;Ali, M. Azhar;Mottaleb, Mohammad A.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3권7호
    • /
    • pp.953-956
    • /
    • 2002
  • Excess molar volumes (Vm E ) of binary liquid mixtures: xC6H5CH3 + (1-x1)CH3CN or + (1-x1)C6H5NO2, or + (1-x1)C2H5NO2 have been determined as a function of mole fraction of C6H5CH3 (x) at a temperature of 303.15 K over a entire range of composition. The densities of the binary liquid mixtures were determined by pycnometrically. The VmE values of the mixtures have been found to be negative over the whole composition in order of C6H5CH3 + C6H5NO2, < C6H5CH3 + CH3CN, and < C6H5CH3 + C2H5NO2. The negative magnitude of VmE suggests the presence of intermolecular interaction in the three binary liquid mixtures.

Application of Flory-Treszczanowicz-Benson model and Prigogine-Flory-Patterson theory to Excess Molar Volumes of Isomers of Propanol with Cyclohexane or n-Hexane

  • Gahlyan, Suman;Verma, Sweety;Rani, Manju;Maken, Sanjeev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4호
    • /
    • pp.536-541
    • /
    • 2018
  • Excess molar volumes ($V_m^E$) of binary mixtures of 1-propanol or 2-propanol (1) + cyclohexane or n-hexane (2) were measured with V-shaped dilatometer at 303.15 K. The $V_m^E$ data for these mixtures varied as: 2-propanol > 1-propanol and were higher for cyclohexane than n-hexane for both propanol systems. The experimental data were correlated with Redlich-Kister polynomial. The $V_m^E$ data were interpreted qualitatively as well as quantitatively in terms of Flory-Treszczanowicz-Benson model and Prigogine-Flory-Patterson theory. Both models correctly described the sign and shape of $V_m^E$ vs $x_1$ curves. The values calculated by both the models agree well with the experimental data.

비이온 양친매성 분자 2-(2-Hexyloxyethoxy)ethanol 수용액의 과잉 부피 (Excess Volumes of Aqueous Solutions of Nonionic Amphiphile 2-(2-Hexyloxyethoxy)ethanol)

  • 이정노;황윤미;강민희;임경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516-525
    • /
    • 2020
  • 폴리옥시에틸렌(POE) 계열에서 두 번째로 작은 화합물인 양친매 분자 2-(2-hexyloxyethoxy) ethanol (C6E2) 수용액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밀도 측정은 진통 튜브 밀도계를 이용하여 279.15 K와 282.15 K에서 이루어졌다. 측정된 밀도로부터 2성분 계 C6E2 (1)/H2O (2)의 과잉 부피와 부분 몰 부피를 결정하였다. 과잉 부피는 음의 편차를 나타내었으며, C6E2의 몰 분율 x ≃ 0.45에서 최소 값을 나타내었다. C6E2와 물 분자 사이에 끌어당기는 작용이 상대적으로 우월하지만, x ≃ 0.45에서 이 작용이 가장 크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2성분 계 C6E2 (1)/H2O (2)에서 부분 몰 부피 ${\bar{V}}_1$는 몰 분율 x에 따라서 단조 증가하였으며, ${\bar{V}}_2$는 감소하였다. ${\bar{V}}_1$${\bar{V}}_2$에서 C6E2 분자들의 회합을 암시하는 특이점은 관찰되지 않았다.

Carboxylic acid 이성분계의 고-액 상평형과 과잉물성, 굴절률 및 점도 편차 (Solid-Liquid Equilibria and Excess Molar Volumes, Refractive Indices and Deviation in Viscosity for Binary Systems of C3-C6 Carboxylic Acids)

  • 구지은;오하영;박소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1호
    • /
    • pp.78-84
    • /
    • 2019
  • 최근 지속 가능형 에너지로 바이오 부탄올(bio-butanol)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이의 상업화에는 저렴한 바이오메스 개발 및 경제적 분리 방법 등 선결해야 할 문제들이 있다. 전통적인 ABE 바이오부탄올 발효공정은 아세톤, 부탄올, 에탄올과 함께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부산물을 생성한다. 따라서 이들의 상호분리를 위해 아세톤, 부탄올, 에탄올 및 아세틱 산에 대한 상평형 데이터 등은 많이 발표되었으나, 탄소수가 큰 유기산에 대한 상평형 및 혼합물성 데이터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C_3-C_6$ 유기산 조합의 이성분계 혼합물에 대한 고-액 상평형과 혼합물성으로 과잉부피($V^E$), 굴절율 편차(${\Delta}R$) 그리고 점도 편차(${\Delta}v$)를 298.15 K에서 실험적으로 측정하였다. 측정된 고-액 상평형 데이터는 NRTL, UNIQUAC식을 이용하여 상관시켰으며 RMSD, 0.5 K이하로 잘 상관되었다. 또한 동일 이성분계 혼합물에 대한 $V^E$, ${\Delta}R$${\Delta}v$의 혼합물성 데이터는 Redlich-Kister 다항식을 이용해 매개변수를 상관하였으며 약 0.004 이하의 표준편차로 잘 상관됨을 확인하였다.

Propyl vinyl ether+Ethanol+Benzene 혼합계의 333.15 K에서의 등온 기액평형과 303.15 K에서의 과잉물성 및 굴절율편차 (Isothermal Vapor-Liquid Equilibria at 333.15 K and Excess Molar Volumes and Refractive Indices at 303.15 K for the Mixtures of Propyl vinyl ether + Ethanol + Benzene)

  • 황인찬;박소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1호
    • /
    • pp.56-61
    • /
    • 2011
  • Methyl vinyl ether, propyl vinyl ether, isopropyl vinyl ether, butyl vinyl ether 그리고 isobutyl vinyl ether 등의 alkyl vinyl ether는 화학 및 의약산업에서 용매와 합성중간체로 널리 사용된다. 최근 들어 alkyl vinyl ether는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에 대한 원료와 셀룰로오스의 염색가공에 선호되나, 공정 및 운전변수의 최적화를 위한 alkyl vinyl ether계의 혼합물성은 극히 일부가 보고되고 있고, propyl vinyl ether(PVE)에 대한 상평형과 물성 데이터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PVE + ethanol + benzene} 삼성분계 333.15 K에서 기액평형을 headspace gas chromatography (HSGC)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Wilson, NRTL 및 UNIQUAC 식에 상관시켰다. 또한 삼성분계를 구성하는 혼합물성으로써 {PVE + ethanol}, {ethanol + benzene} 그리고 {PVE + benzene}계에 대한 과잉부피($V^E$) 및 굴절율 편차(${\Delta}R$)를 303.15 K에서 측정하였다. 측정된 이성분계 혼합물성은 Redlich-Kister 다항식을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상관시켰으며, 이를 이용하여 Radojkovi 식으로 삼성분계 혼합물성을 예측하였다.

Halobacterium Halobium의 Membrane에서 Fluoxetine의 Partial Molar Volume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rtial Molar Volume of Fluoxetine in Membrane of Holobacterium Holobium)

  • 김기준;정형학;김주한;송희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7-162
    • /
    • 2018
  • Halobacterium Halobium에서 항우울제의 부분 몰 부피와 몇 가지 지질의 부유물은 과량의 부피 팽창 계를 사용하여 $25^{\circ}C$에서 측정되었다. 일반적인 항우울제 인 Fluoxetine의 효능은 오랫동안 지질 용해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Halobacterium Halobium의 보라색 막에서 유일한 막 단백질 인 소포의 변성은 280nm에서 흡수 변화에 의해 연구되었고 과도한 부피 팽창 계로 330nm에서 형광 변화를 보였다. 확산 교환에 의한 점성 중합체 용액의 1H NMR 분석은 측정을 위한 중요한 단계로, Halobacteriun Halobium에서 Fluoxetine의 부분 몰 부피와 입자 크기는 양성으로 측정되었다. 항우울제는 낮은 사기와 우울증에 근거하여 다양한 인지 및 정신 증상을 유발하는 질병을 예방하여 일일 수행 능력을 저하시키는 걸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