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cavation Survey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4초

가시설 안정성 검토에 관한 인천국제공항 시공 사례 연구 (Case Study for the Stability of Temporary Shoring Facilities at Inchon International Airport)

  • 최인걸;조현모;류승철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7-104
    • /
    • 1999
  • This case study has been prepared to provide the practical data about construction of temporary shoring facilities (i.e. braced sheet pile excavation) and to utilize the case study information effectively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future facilities. This case study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1) installing measurement devices to monitor the deformation of the sheet pile walls and the subsoil in the vicinity after establishing the criteria for the sheet pile deflection; 2) monitoring the actual movement of the temporary facility after setting up the survey control standard (due to the movement of the temporary facility) : 3) inspecting the suitability of the temporary facility construction: and 4) analyzing and studying the result of the tension test after installing ground anchors.

  • PDF

울산단층계 북부 천북면 일대의 트렌치 조사와 단층변위 (Trench Survey and Fault Displacement at Cheonbuk-myon Area along the Northern Part of Ulsan Fault System)

  • 경재복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199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Spring 1998
    • /
    • pp.235-240
    • /
    • 1998
  • Quaternary fault movement of the Ulsan fault system was interpreted by aenal photograph, field survey and trench excavation. The geomorphological evidences associated with active fault are clearly shown at Cheonbuk-myeon area, northern part of Ulsan fault system. In the trench wall one reverse fault(N 50$^{\circ}$E, 70$^{\circ}$E) is identified between basement rock (Miocene mudstone) and gravel deposits Another thrust fault (NS) extends up to the red and light brown soil layers. Middle terrace surface shows cumulative vertical displacements of about 3 to 7 m. The horizontai displacement of the red soil by faulting event is about 1.8 to 2.4m. The age of the fault activity is younger than that of the soil layer, which is roughly estimated to be late Quaternary (about 100Ka)

  • PDF

Electrical resistivity tomography survey for prediction of anomaly in mechanized tunneling

  • Lee, Kang-Hyun;Park, Jin-Ho;Park, Jeongjun;Lee, In-Mo;Lee, Seok-Wo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9권1호
    • /
    • pp.93-104
    • /
    • 2019
  • Anomalies and/or fractured grounds not detected by the surface geophysical and geological survey performed during design stage may cause significant problems during tunnel excavation. Many studies on prediction methods of the ground condition ahead of the tunnel face have been conducted and applied in tunneling construction sites, such as tunnel seismic profiling and probe drilling. However, most such applications have focused on the drill and blast tunneling method.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mechanized tunneling because of the limitation in the available space to perform prediction tests.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ground condition ahead of the tunnel face in TBM tunneling by using an electrical resistivity tomography survey. It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lectrode array and performed an investigation on in-situ tunnel boring machine TBM construction site environments. Numerical simulations for each electrode array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proper electrode array to predict anomalies ahead of the tunnel fa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dified dipole-dipole array is, compared to other arrays, the best for predicting the location and condition of an anomaly. As the borehole becomes longer, the measured data increase accordingly. Therefore, longer boreholes allow a more accurate prediction of the location and status of anomalies and complex grounds.

수치해석기법을 이용한 개착식 지반굴착공사의 영향인자 분석 (Analysis on Impact Factors of Open-cut Type Excavation Work using Numerical Analysis Method)

  • 성주현;김용수;신병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43-53
    • /
    • 2013
  • 우리나라 지반공학 기술의 발달로 지반굴착 공사가 대규모로 수행되고 있으나, 지반굴착시 공사현장 또는 인접구조물에 직,간접적인 피해를 유발하는 사고는 여전히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특히 주거시설이나 상업시설이 밀집해 있는 도심지의 지하터널, 도시철도 역사, 대규모 상업시설, 초고층 빌딩의 기초 공사 등으로 인한 지반굴착관련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경제적인 손실 뿐 아니라 인명피해가 발생하여 사회적인 비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빈번히 발생하는 개착식 흙막이 굴착관련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 발생한 개착식 흙막이 굴착공사로 인한 다수의 사고 및 인접시설물에 영향을 끼친 사례를 수집, 분석을 수행하여 사고발생 원인에 대하여 고찰하고, 수치해석기법을 사용하여 국내 대표적인 지반조건(내륙, 해안특성) 및 공사공법에 따른 굴착시 영향 분석을 수행하였다. 25건의 사고사례를 분석한 결과, 주요 영향요인으로 지반조사의 부실, 가시설 구조체의 불안정 및 지하수의 처리 미흡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 외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굴착현장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의 대표적인 지반조건 및 시공경향을 고려한 22개의 case에 대한 수치해석결과는 일반적인 내륙지역에서는 차수공법에 비해 배수공법에서 침하가 크게 발생하고, 연약지반 및 암반의 불연속면이 발달한 지역에서는 earth anchor 공법 적용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며, 압밀이 진행 중인 점토지반에서는 과잉간극수압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착식 굴착공사시 지하수위 저하로 인한 지반상태 탐사 및 해석기법 연구 (Numerical Analysis and Exploring of Ground Condition during Groundwater Drawdown Environment in Open-cut Type Excavation)

  • 한유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11호
    • /
    • pp.93-105
    • /
    • 2018
  • 지반 굴착에 따른 주변 지반의 침하 문제를 예측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지반침하 위험인자의 정확한 조사와 해석이 필요하다. 지반침하 위험인자를 조사하기 위한 비파괴조사방법에는 여러 가지 물리탐사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물리탐사 방법에는 지하매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있으며, 실제 지반의 토질은 물리탐사에 영향을 주는 복잡한 요소들이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흙의 공학적 성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물리탐사 방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실제 복합지반에서 다양하고 복잡한 요소들을 고려할 수 있도록 Test Bed를 구축하고, 수치해석을 통해 지반거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통해 지반침하 위험인자 조사를 위한 한계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착식 굴착공사에 있어서 지반침하는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발생 할 수 있으며, 특히 연약지반 조건일 경우에는 지하수위 흐름 변화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PR의 중심주파수 250MHz인 경우, 전기전도도가 높은 점토 지반에서는 전자기파의 감쇠가 심하게 일어나서 땅속 깊은 곳(지표아래 4m)까지의 투과를 어렵게 만들며, 지하수위 아래에서는 지하수면을 전자기파가 통과함에 따라, 전자기파의 감쇠가 심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터널 굴착에 따른 전기비저항 모니터링 기술 적용 (Application of resistivity monitoring with tunnel excavation area)

  • 안희윤;정재형;조인기;김정호;배규진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405-420
    • /
    • 2008
  • 전기비저항 탐사법은 터널 주변 지반 혹은 암반의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리탐사법 중의 하나이다. 다양한 물리탐사법 중에서도 전기비저항 탐사법은 터널설계 단계에서 미리 소사가 수행되어 시공비용을 절감하고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현재 전기비저항 탐사 자료의 해석은 주로 1회의 단일 측정 자료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터널 굴착이나 기 굴착된 터널의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터널 주변의 시간에 따른 지하수의 분포상황 변화 등이 관측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모니터링 기법이 도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터널 굴착에 따른 전기비저항 변화 파악을 위하여 격자형 측선을 설치하여 총 6회의 전기비저항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또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단층대에 상세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안전시공에 예측 시스템으로 가능유무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PDF

Borehole radar survey to explore limestone cavities for the construction of a highway bridge

  • Kim Jung-Ho;Cho Seong-Jun;Yi Myeong-Jong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7권1호
    • /
    • pp.80-87
    • /
    • 2004
  • During excavation work for the construction of a highway bridge in a limestone area in Korea, several cavities were found, and construction work was stopped temporarily. Cavities under the bridge piers might seriously threaten the safety of the planned bridge, because they could lead to excessive subsidence and differential settlement of the pier foundations. In order to establish a method for reinforcement of the pier foundations, borehole radar reflection and tomography surveys were carried out, to locate cavities under the planned pier locations and to determine their sizes where they exist. Since travel time data from the crosshole radar survey showed anisotropy, we applied an anisotropic tomography inversion algorithm assuming heterogeneous elliptic anisotropy, in order to reconstruct three kinds of tomograms: tomograms of maximum and minimum velocities, and of the direction of the symmetry axis. The distribution of maximum velocity matched core logging results better than that of the minimum velocity. The degree of anisotropy, defined by the normalized difference between maximum and minimum velocities, was helpful in deciding whether an anomalous zone in a tomogram was a cavity or not. By careful examination of borehole radar reflection and tomography images,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cavities were delineated, and most of them were interpreted as being filled with clay and/or water. All the interpretation results implied that two faults imaged clearly by a DC resistivity survey were among the most important factors controlling the groundwater movement in the survey area, and therefore were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avities. The method of reinforcement of the pier foundations wa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results, and the results were confirmed when construction work was resumed.

지하투과레이다 기법을 이용한 부안 수성당 지역의 지하 유적 탐사 (Detection of Subsurface Ancient Remains in Sooseong Dang Area, Buan Using Ground Penetration Radar Technique)

  • 이현재;전항탁;윤설민;함세영
    • 지질공학
    • /
    • 제29권4호
    • /
    • pp.553-563
    • /
    • 2019
  • 고고학적 유적지 탐사의 최종 단계에서는 시굴과 발굴조사를 실시하지만, 초기 단계에는 비파괴방법인 지구물리탐사를 이용하여 지하의 유적지를 평가한다. 그 중에서도 GPR 탐사는 천부 지하에 대한 해상도가 높아 유적지 조사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부안지역의 수성당 부근 지하에 매장되어 있는 유물을 찾기 위해서 지하투과레이다(Ground Penetration Radar, GPR) 탐사를 실시하였다. 1차 GPR 탐사는 세 개 지역(Site-1, 2, 3)에서 수행하였고, 1차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2차 세부 GPR탐사는 Site-3에서 수행하였다. 탐사 결과, 지표로부터 표토층, 풍화대, 기반암이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뚜렷한 이상대는 심도 약 100 cm 내외에서 장축 방향의 측선과 평행한 동서에 가까운 방향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GPR 이상대의 불규칙한 형태적 특징과 강신호의 단속적 분포 양상은 수성당에서 발견된 제사도구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GPR 탐사는 지하 천부에 매장되어 있는 고고학적 유적이나 유물을 탐지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분 탐사를 통해 본 한·일 물리탐사의 성과와 과제 (Achievements and Tasks of Korea-Japan Geophysical Exploration through Burial mounds Exploration)

  • 신종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4호
    • /
    • pp.74-93
    • /
    • 2015
  • 한국의 고고학적 물리탐사는 1995년 일본 나라문화재연구소에서 활용 중인 물리탐사를 참고로 국내에 도입되었다. 도입 당시 한국에서는 건축, 토목분야에서 물리탐사가 활성화되어 있었지만 고고학에 접목시켜 탐사를 하는 전문가는 없었다. 이에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고고 물리탐사를 도입하기 시작하여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고, 그간 한국과 일본은 탐사 전문가 교류를 통해 공동 탐사 등을 진행하고 탐사방법의 개선과 탐사 결과의 신뢰성을 높여 왔다. 고고학적 물리탐사 방법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방법은 GPR 탐사법이다. 이는 투과 깊이는 낮지만 해상도가 뛰어나 발굴 착수 전에 활용성이 좋다. 하지만 GPR 탐사의 레이더 투과 깊이가 얕아 대형 고분 등에서 한계성이 있다. 한국과 일본의 물리탐사 전문가 교류 등을 통해 보다 깊은 곳까지 지하구조를 연구할 수 있도록 전기비저항 분석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고분탐사에 적용할 수 있었다. 이에 나주 복암리 고분을 비롯한 다수의 고분에서 GPR 탐사의 한계를 극복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특히, 탐사 결과와 발굴조사 결과를 비교하여 고분 내의 매장 주체부 등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향후 한국과 일본은 다양한 공동연구 등을 통하여 탐사와 고고학과의 융복합 연구를 수행하고 고고 과학 분야의 새로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울산단층북부 갈곡리 치실 지점의 마지막 단층 운동시기 결정 (Determination of the latest fault movement by trench survey at Galgok-Chisil site in the northern Ulsan fault system)

  • 최원학;장천중;정상대영;전중죽연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17
    • /
    • 2005
  • Along the Ulsan Fault System, many Quaternary faults have been reported and investigated with outcrop observation and trench excavation to clarify the neotectonic movements and fault parameters such as length, displacement, slip rate and recurrence interval. In the northern part of the Ulsan fault system, we have interpreted small scale(1:10,000) aerial photographs and extracted lineaments by geomophological features to select trench site. After precise field survey and tracing for lineaments, two trench sites at Galgokri, Gyeongju were selected on the lineament to elucidate the fault movement history. One is successful in finding faults but the other is not. In the Galgok-Chisil trench(3m(w) x 1.5m(d) x 10m(l)), very closed two Quaternary faults cut the alluvial deposits of which age shows about 10-3ka. More than three times of fault movements can be inferred by geologic structures and C-14 dating. Repeatedly fault movements had been occurred before 10 ka, between 10ka-4.9 ka, between 4.9-1.4 ka at Galgok-Chisil trench se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