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4초

중등물리교사임용시험의 광학 문항 분석 (Analysis of Optics Problems in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Physics Teachers)

  • 이봉우;손정우
    • 한국광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87-193
    • /
    • 2017
  • 본 연구는 중등물리교사임용시험의 광학 문항 분석을 통해 광학 교육에의 시사점을 탐색하고 중등물리교사임용시험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2학년도부터 2017학년도까지 16년간 실시된 중등물리교사임용시험에 출제된 38개의 광학문항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학 문항은 물리내용학 영역 중에서는 약 10.8% 비율로 출제되어 가장 출제빈도가 낮은 영역이었다. 둘째, 스넬의 법칙, 렌즈의 상, 간섭 등 특정 영역에 대해서 많은 문제가 출제되었으며, 광학기기 및 수차 등에서는 거의 출제되지 않았다. 셋째, 다른 영역에 비해 광학 내용 문항들은 비교적 쉬운 문항들로 출제되었으며, 일상생활 상황보다 실험실 상황의 문제가 더 많이 출제되었다. 추가로 평가 내용 요소별 문항 분석을 통해 물리교사임용시험과 중등물리예비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Pre-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 the Track and Field Practical Skill Test of Examination System for Appointing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 Yu, Young-Seo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127-135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체육교원 임용고사 육상실기평가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인간 내면의 감정, 의견, 인식 등을 탐색할 수 있는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3가지 유형이 탐색되었고, 각 유형은 전문시설지원요구형과 전문기술지도요구형 그리고 평가방법개선요구형으로 명명되었다. 결론으로, 중등체육교원 임용고사 육상실기평가를 준비하는데 있어 예비체육교사들은 전문시설의 지원과 전문기술을 지도받을 수 있는 기회의 제공 그리고 평가 방법과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사전 안내 등을 희망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문항에 나타난 과학교육학 이론의 분석 (Analyses of Science Education Theories in the Question Items of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 이봉우;심규철;신명경;김종희;최재혁;박은미;윤지현;권용주;김용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94-80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과학교사신규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이하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의 문항들에서 어떤 과학교육학 이론이 제시되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5년간 시행된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의 과학교육학 관련 문항들을 과학과 교육과정, 과학사 및 과학철학, 과학 탐구, 과학 교수학습이론, 과학 교수학습모형, 과학 평가 등의 6가지 영역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학 교수학습이론이 다른 영역에 비해 가장 많이 출제되었고, 각 영역 내에서는 '차시별 교육과정의 내용요소', '과학적 방법'과 '현대과학철학', '탐구과정요소', '오수벨의 유의미학습', '로슨의 순환학습'과 '협동학습', '수행평가 준거 개발' 등에서 많은 내용이 출제되었다. 반면에, 과학교육자들 사이에서 '과학사'와 같이 예비 과학교사에게 중요한 주제로 여겨지지만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에서는 출제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영역도 많이 있었다.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이 예비교사들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노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예비교사들이 익혀야 할 과학교육학 이론의 양과 수준에 대해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중등임용시험 '기계·금속' 과목의 출제방안 연구 (Study on the way how to make the recruiting Examination of 'Machinery·Metal' Subject in Technical High School.)

  • 최준섭;이승원;김종찬;정봉균;박상진;권차미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1-127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공업계고등학교에서 기계 금속 과목을 담당할 교사 선발을 위한 교원임용시험의 기본 자료를 얻기 위하여, 교사 교육기관의 기계 및 금속의 교육과정과 공업 고등학교의 기계 금속과의 교육과정을 분석 하였다.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우수 교사 선발을 위한 현 중등 기계 금속 교원 임용시험의 범위와 내용 수준 등을 포함한 출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중등 임용시험에 교원양성대학 및 공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임용시험의 타당성을 높여야 한다. 둘째, 기계 금속 임용시험의 기본이수과목의 합리적인 재조정이 요구된다. 셋째, 기계 금속 임용시험 출제 영역 비율에 대한 근거가 마련되어야 하고 이해와 적용, 사고력을 요구하는 문항의 개발로 출제 수준을 개선해야 한다. 넷째, 영역별 전공교수에 따른 출제 경향의 편중을 막기 위하여 더 많은 수의 출제위원의 참여가 요구된다. 다섯째, 지필고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실기능력평가를 추가 하는 임용시험 출제비율(안)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교사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기적인 안목에서 기계 금속에서 기계 및 금속 영역으로, 각각 분리하여 선발해야한다.

중등교사임용시험 공업계열 교과교육학 문항분석 (An Analysis of Industrial Education Discipline Items in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 고희령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19-23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용시험에서 공업교과교육학 문항의 출제 경향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2학년도부터 2011학년도까지 공업계열(건설, 기계 금속, 전기 전자 통신, 화공 섬유) 임용시험 전공영역평가 중 교과교육학 문항을 대상으로 문항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교과교육학 출제 문항수와 배점 비율을 살펴 본 결과, 2002-2004학년도, 2005-2008학년도, 2009-2011학년도를 분기로 공업교과교육학의 비중이 증가하였으며, 최근 2010학년과 2011학년에는 출제 문항수와 배점이 모든 공업교과에서 통일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02-2011학년도까지 공업교과교육학 하위영역별 문항의 배점 비율을 분기별로 분석한 결과, 분기별로 교과교육학 관련 문항 수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공업교과교육학 하위영역의 문항들이 출제되었고, 최근에는 하위 영역들 중 2개 이상의 영역이 포함된 '복합' 영역 문항의 출제 비율이 높아졌다. 셋째, 교수내용지식의 관점에서 2009-2011학년도까지 과학교과군(공통과학,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의 교과교육학 문항과 공업교과교육학 문항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수내용지식의 반영 비율이 공업교과군의 경우에 해마다 증가하고는 있으나, 과학교과군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과학교사에게 필요한 과학교육학 이론에 대한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의견과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Education Researchers' Views on Science Educational Theories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 이봉우;심규철;신명경;김종희;최재혁;박은미;윤지현;권용주;김용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826-839
    • /
    • 2013
  • 본 연구는 과학 교과교육학 이론이 예비과학교사에게 어느 정도 필요한지에 대한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의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과학교육 전공교수들의 설문을 통해 과학교사의 역량과 소양 측면에서 과학 교과교육학 이론들의 세부 내용들이 어느 정도 중요한지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였다. 또한 중등과학교사신규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중등과학교사 임용시험)에 제시된 과학 교과교육학 이론 관련 문항을 분석하여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의견과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과학교육 전공교수들은 탐구과정, 과학지식 평가, 탐구능력 평가 실험장치 및 도구 사용법, 실험실 안전, 학생의 오개념, 토론, 논술 등에 대해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에, 과학교육 전공교수들은 과학 철학, 과학교육과정의 변천, 외국 교육과정, 브루너의 수업이론, 카플러스 순환학습모형, 발생학습모형, 발견학습모형, 클로퍼 교육목표 분류 등의 내용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문항 분석 결과, 교육과정이나 오수벨 이론 등과 같이 중요도와 관계없이 편중된 영역에서 많은 문항들이 출제된 것으로 나타나 과학교육 연구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론의 중요성과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에서 출제된 문항 분포는 관련이 적었다. 본 연구는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의견과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출제 경향의 차이를 줄이는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2002 및 2003학년도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결과 분석 (Analysis of the Results of 2002 and 2003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 이양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32-54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2002 및 2003학년도 중등과학교사임용 시험에서 지역별 및 전공별 선발 인원과 경쟁률, 그리고 공통과학,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시험의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배점 비율, 문항의 난이도와 변별도, 시험의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경기도가 가장 많은 과학 교사를 선발하며 다음으로 인천, 경남, 경북, 대구에서 많은 교사를 선발하였다. 과목별로는 공통과학 교사를 가장 많이 선발하였으며 다음으로 생물, 화학 교사를 많이 선발하였다. 시험의 평균 경쟁률은 2002학년도에는 5.5 : 1, 2003학년도에는 4.8 : 1이었다. 공통과학 시험은 출신 전공에 따른 편파성을 없애기 위해 교과내용학은 과학 4분야인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영역에 각각 12점씩 동등하게 배점하였고 난이도를 유사하게 조정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2002학년도에서는 지구과학 분야가 정답률 51.7%로 가장 높고 물리 분야가 38.4%로 가장 낮았으며, 2003학년도에는 화학분야가 50.6%로 가장 높고 물리 분야가 34.1%로 가장 낮았다. 한편, 과학 분야 5과목의 시험에서 교과교육학의 배점은 2002학년도 $18{\sim}21$점에서 2003학년도에는 $17{\sim}18$점으로 감소하였으며, 정답률은 2002학년도에는 교과교육학이 평균 51.6%이고 교과내용학이 50.2%로 유사하였으나 2003학년도에는 교과교육학이 70.2%로 교과내용학보다 29.8%나 높았다. 과목별 평균점수는 지구과학만 목표치(100점 만점에 60점)와 유사하였고, 나머지 4과목은 2002학년도에 $45.0{\sim}52.7$점, 2003학년도에 $40.1{\sim}49.6$점이었으며, 정답률 40% 미만의 문항이 2002학년도에 물리와 화학 모두 41.2%나 되었고, 2003학년도에는 물리와 화학 50%, 생물이 45%나 되어 매우 어려웠다는 것을 나타낸다. 문항 변별도는 .30이상인 문항이 약 78%이상으로 대체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험의 신뢰도는 $0.79{\sim}0.88$이었다. 따라서 사범대학에서의 교과교육의 활성화를 유도하고 유능한 교사 선발을 위해 교과교육학 문항의 배점 비율을 30%로 상향시킬 필요가 있으며, 또한 교과내용학 문항을 쉽게 출제하여 전반적으로 시험의 난이도를 하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중등 과학교사 임용시험의 1차 전공영역에 대한 개선 방안 탐색 (Exploring Ways to Improve the First Major Area of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with the Change of Educational Environment)

  • 곽영순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1호
    • /
    • pp.122-132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의 전환 등과 같은 교육환경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과학과 중등교사임용시험에서 평가해야 할 교사역량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현행 중등과학과 교사임용시험의 1차 전공영역 평가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등교사임용시험 출제경험이 있는 과학교육학 교수 18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델파이 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과학과 중등교사임용시험에서 평가해야 할 교사역량으로는 교수활동, 학생이해지도, 인공지능 등과 같은 지능정보활용, 공동체 전문성 등이 제안되었다. 과학과 중등교사임용시험 1차 과학내용학 시험 개선 방안으로는 문항수 증가를 통한 실질적 공정성과 타당도 제고, 중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제고, 10년 정도 주기로 표시과목 업데이트 등이 제안되었다. 중등교사임용시험 1차 과학교육학 시험 개선 방안으로는 과학교육학 문항 유형에 대한 연구·개발, 교과교육학을 논술형으로 출제, 과학 교육학에 대한 표준화된 커리큘럼 개발 등이 제안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양성대학 교육과정 개정의 필요성, 과학과의 경우 사범대학과 자연대학의 커리큘럼 차별화의 필요성, 교육전문대학원 도입과 같은 교사양성체제 개혁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