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ent Measure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24초

시각적 특징을 기반한 샷 클러스터링을 통한 비디오 씬 탐지 기법 (Video Scene Detection using Shot Clustering based on Visual Features)

  • 신동욱;김태환;최중민
    • 지능정보연구
    • /
    • 제18권2호
    • /
    • pp.47-60
    • /
    • 2012
  • 비디오 데이터는 구조화되지 않은 복합 데이터의 형태를 지닌다. 이러한 비디오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 및 검색을 위한 비디오 데이터 구조화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콘텐츠 내 시각적 특징을 기반으로 비디오 씬(scene)을 탐지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색상 정보만을 이용하여 샷(shot) 간의 유사도 평가를 기반한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통해 비디오 씬을 탐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비디오 데이터의 색상 정보는 노이즈(noise)를 포함하고, 특정 사물의 개입 등으로 인해 급격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색상만을 특징으로 고려할 경우, 비디오 샷 혹은 씬에 대한 올바른 식별과 디졸브(dissolve), 페이드(fade), 와이프(wipe)와 같은 화면의 점진적인 전환(gradual transitions) 탐지는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프레임(frame)의 컬러 히스토그램과 코너 에지, 그리고 객체 컬러 히스토그램에 해당하는 시각적 특징을 기반으로 동일한 이벤트를 구성하는 의미적으로 유사한 샷의 클러스터링을 통해 비디오 씬을 탐지하는 방법(Scene Detector by using Color histogram, corner Edge and Object color histogram, SDCEO)을 제안한다. SDCEO는 샷 바운더리 식별을 위해 컬러 히스토그램 분석 단계에서 각 프레임의 컬러 히스토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연관성 있는 연속된 프레임을 샷 바운더리로 병합한 후, 코너 에지 분석 단계에서 병합된 샷 내 처음과 마지막 프레임의 코너 에지 특징 비교를 통하여 샷 바운더리를 정제하여 최종 샷을 식별한다. 키프레임 추출 단계에서는 샷 내 프레임간 유사도 비교를 통해 모든 프레임과 가장 유사한 프레임을 각 샷을 대표하는 키프레임으로 추출한다. 그 후, 비디오 씬 탐지를 위해, 컬러 히스토그램과 객체 컬러 히스토 그램에 해당하는 프레임의 시각적 특징을 기반으로 상향식 계층 클러스터링 방법을 이용하여 의미적인 연관성을 지니는 샷의 군집화를 통해 비디오 씬을 탐지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SDCEO의 프로토 타입을 구축하고 3개의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SDCEO의 효율성을 평가하였고 샷 바운더리 식별의 성능의 정확도는 평균 93.3%, 비디오 씬 탐지 성능의 정확도는 평균 83.3%로 만족할만한 성능을 보였다.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화재 피난 모바일 앱(App) 컬러연구 (Psychological Stability Color for The Fire Escape Mobile App)

  • 이상기;박해림
    • 서비스연구
    • /
    • 제12권2호
    • /
    • pp.106-116
    • /
    • 2022
  • 본 연구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화재 피난 서비스 시나리오의 일부로써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에 사용될 적절한 색상을 찾는 것이 최종 목적이며, 화재 발생 시 재실자들의 피난 과정에서 인간의 불안정한 심리에 긍정적이고 안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컬러를 정의하고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것이 목표이다. 화재의 상황에서 재실자의 심리를 고려한 색채의 피난유도 인터페이스의 적절한 디자인과 배치는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피난유도에 활용되던 색채는 관습적으로 사용되던 부분이 많아 화재 발생 시, 효율적인 피난에 부적절하다는 것을 문헌과 기존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재실자의 심리적 사항을 고려하여 화재 피난 시 심리적으로 안정을 주는 색채를 제시하여 재난 발생 시 효율적인 피난유도를 돕는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이미지 평가 법을 활용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빈도 분석을 통해 이미지가 가진 형태와 색상이 사람들에게 어떤 감정을 주는지 도출한 뒤, 한국표준색채분석(KSCA)을 통해 이미지의 주요 색상과 보조 색상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미지 평가 분석 결과와 한국표준색채분석(KSCA) 분석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색상들과 선행연구를 비교 분석하여 결과 간의 상호 검증을 통해 최종 어플리케이션 컬러를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선행연구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초록색 계열이 인간의 심리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화재 피난 시에 침착하고 차분한 어플리케이션의 안내를 위한 메인 컬러를 녹색 계열로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화재 발생 시 재실자들의 피난 과정에서 심리적 안정적인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컬러에 대해 정의하였다. 화재 피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UX/UI 구성 시 재실자들의 침착하고 차분한 안내 유도를 위해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Container 성질과 중력을 고려한 공간과 객체의 통합적 공간관계 표현 모델 (A Comprehensive Representation Model for Spatial Relations among Regions and Physical Objects considering Property of Container and Gravity)

  • 박종희;임영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3호
    • /
    • pp.194-204
    • /
    • 2010
  • 실세계의 공간이나 이에 대응되는 가상세계의 공간은 공간의 일부인 지역(region)들과 그것들을 차지하고 있는 물리적 객체(physical object)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 구성요소들간의 공간관계의 표현의 실제와의 부합성과 다양성은 이러한 공간에서 활동하는 에이전트의 공간관계 추론이나 이벤트(event)의 전개의 사설성과 정교함의 바탕이 된다. GIS나 AI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 기존의 공간관계 모델들은 객체의 규모에 따라 이원화된 영역에 적절한 모델들이거나 제한된 위상관계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지역과 객체를 가진 일반적 공간의 통합적 표현에는 부적합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될 공간표현 모델은, 첫째 대규모 공간과 소규모 공간 관계에 통합적으로 적용가능한 계층구조를 바탕으로 구성한다. 둘째, 소규모 객체들간에도 disjoint나 touch와 같이 제한된 위상 공간관계(topological relations)만이 아닌 접촉관계와 구성요소객체들의 조합을 바탕으로 하여 충분히 다양한 공간관계를 표현할 수 있도록 세분화한다. 셋째, solid object에 대비되는 container성질을 추가하고 중력 방향을 고려하여 공간관계를 추가로 다양화한다. 본 연구의 결과인 중력의 영향을 고려한 통합적 공간관계 모델은 컴퓨터상에서 실세계와 유사한 복잡한 가상공간을 공간적 사건들과 연관지어 정밀하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게 하고 가상공간에서 에이전트들이 행동을 할 때 공간적 측면의 상황판단을 할 수 있도록 가상공간에 대한 에이전트들의 공간적 지식을 표현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입원환자가 경험한 입원스트레스 순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nk of Stressful Event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 이소우;하양숙;박은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29
    • /
    • 1985
  • This study was to explore on the rank of stressful event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180 hospitalized patients on surgical and medical wards were asked to rate 49 stress-producing events associated with the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Two university hospitals was used as the setting for this study. Because the nature of the events in the stress scale pertain mainly to general short term hospitalizations, patients in the rehabilitation and psychiatric units of the hospital were not included. Prior to the beginning of the study, three times meeting were held with 12 head nurses and 3 investigators for discussing with the ethics subject related to the study. The pretest was done to determine whether items to use were pertinent or no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pretest, Volicer's Hospital Stress Rating Scale was selected as a study tool for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used an interview and a card-sorting method. The interviewing was done by two authors and three graduate nursing students. A total 125 completed the card-sorting procedure. The stressful items were ordered from most to least stressful within the categories.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age, sex, marital status, and diagnosis was obtained from the kardex file. The ordered list of items, with mean values, as scored by the total of 125 respondents was significantly accepted at 1% level by Friedman test. (X²=1448.339) The event,“knowing you have a serious illness.”was rated highest stressful and (M=41.54) “Being awakened in the night by the nurse”least stressful. (M=14.73) Highly rated items were orderly “Thinking you might have cancer”“Thinking you might lose a kidney or some other organ”“Not being told what your diagnosis is. “Not knowing for sure what illness you have,”five lowerly rated items were orderly “Having to eat at different times than you usually do”“net being able to call family or friends on the phone”“Not having friends visit you,”“Having strangers sleep in the same room with you.”Futher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to ascertain tao degree of similarity of judgment between different groups in the sample as to how events should be rated. The sample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degree of seriousness of illness. The rank order correlation was calculated for the two sets of ranks as a measure of consensus between the two groups. The correlations ranged from .85∼.99 all indicating a high degree of consensus.

  • PDF

초소형 관입시험기를 이용한 지반공동 주변지반의 이완영역탐지를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etection of Loosened Areas in a Ground cavity Using a Micro Penetration Test)

  • 김호연;김영호;박윤석;유승경;한중근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299-30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층 다짐으로 조성된 지반을 모사한 모형실험에서 지반 공동 발생 시 지반의 이완영역 범위를 추정하기 위해 제작된 이완영역탐지기를 통해 이완영역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세립분과 조립질 토사를 조성한 층상구조로 구성된 지반에 대해 콘 직경의 크기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른 적절한 콘을 선정하기 위해 크기효과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적절한 초소형콘을 설정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적용된 LAD를 이용하는 경우 실내모형실험 지반의 다짐정도에 따른 경계면 및 상대밀도 차에 의한 관입저항치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지반의 이완상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지반내 관입저항특성을 통해 공동주변부에서 발생하는 이완영역의 범위를 추정하였으며, 이완영역에서 관입저항력의 감소율을 통해 파괴 발생 영역을 확인하였다.

리튬이온커패시터를 활용한 비상유도등 예비전원장치의 동작 특성 및 점검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Operation Characteristics and Inspection Method of Standby Power Supply such as Emergency Induction Light using Li-ion Capacitor)

  • 정준채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392-401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비상시의 예비전원장치로 사용 가능한 리튬이온커패시터의 동작 특성을 분석하고, 충·방전시의 선형비례특성을 이용하여 전압을 측정하는 것으로도 예비전원장치의 동작 이상 유무를 판단 할 수 있는 실험근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먼저 기존 예비전원장치와 리튬이온커패시터에 대한 동작원리 및 특성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실험에 사용한 유도등의 구성도와 시스템 블록도에 따라 리튬이온커패시터의 전압 측정을 통해 배터리의 보유 전력량을 확인하는 전압대역별 방전전력량 측정 값 테스트와 유도등을 이용한 동작 테스트 실험으로 진행한다. 연구결과: 리튬이온커패시터의 선형비례특성을 이용한 충전전압을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정확하게 유도등 램프의 유효동작 시간을 추론 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결론: 재난 상황 시 리튬이온커패시터를 비상유도등의 예비전원장치로 사용함으로써 비상유도등의 완전 방전을 미연에 방지하고, 예비전원장치의 정상 작동 수행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하며, 간단한 전압측정만으로도 예비전원장치의 이상 유무를 확인 할 수 있게 하여 향후 피난설비 적용에 많은 활용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경용 투수성 블록포장의 열특성 (Thermal Characteristics of Permeable Block Pavements for Landscape Construction)

  • 한승호;류남형;윤용한;김원태;강진형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573-580
    • /
    • 2008
  • This study aims to measure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rmal environment of the various permeable pavement materials such as a break stone pavement (Green block cubic), soil protection pavement (Soil tector), soil cement pavement and ceramic brick pavement under the summer outdoor environment. The therm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measured in the study includes the changes of surface temperature during the day, and long and short wave radiation of each pavement surface. The experimental condition is based on the data on the hottest temperature (August 9, 2006, $37.1^{\circ}C$) of the year. The albedo was the highest on the break stone pavement(0.8) from 12:00 to 14:00. The albedo of the ceramic brick pavement, a soil tector pavement and soil cement pavement were 0.35, 0.29 and 0.27 from 12:00 to 14:00, respectively. The peak surface temperature and long wave radiation was the highest on the soil protection pavements($56.6^{\circ}C$/627 W/$m^2$). The peak surface temperatures and long wave radiation on the ceramic brick pavement, a stone brick pavement and soil cement pavement were $51.7^{\circ}C$/627 W/$m^2$, $48.8^{\circ}C$/607 W/$m^2$ and $45.9^{\circ}C$/582 W/$m^2$, respectively. The heat environment was better on the break stone pavement than on the other pavements. This is mainly due to the high albedo of the break stone pavement(0.8) while the albedo value of a ceramic brick pavement, a soil tactor pavement and soil cement pavement were 0.35. 0.29 and 0.27. Large heat capacity($2,629kJ/m^3{\cdot}K$) of the stone brick pavements also contributes to this difference. The heat environment was better on the soil cement pavement than the soil tector pavement. This is mainly due to the evaporation of the soil cement pavement while the active evaporation of the soil tactor pavement was not continued after two days from the rainfall event. To improve the thermal environments in the urban area, it is recommended to raise the albedo of the pavements by brightening the surface color of the pavement materials. Further studies on the pavement materials and the construction methods which can enhance the continuous evapotranspiration from the pavements surface are needed.

문경 초전도 중력계 설치 및 기초자료 분석 (Installation and Data Analysis of Superconducting Gravimeter in MunGyung, Korea; Preliminary Results)

  • 김태희;;우익;박혁진;김정우
    • 자원환경지질
    • /
    • 제40권4호
    • /
    • pp.445-459
    • /
    • 2007
  • 2005년 3월 경상북도 문경에 설치된 초전도 중력계가 Global Geodynamics Project에 세계 21번째 관측소로 등록되어 현재 정상 운영 중에 있다. 미세한 중력변화를 1mHZ 이하의 저주파 영역에서 $10^{-2}nm/s^2$ 수준의 뛰어난 분해능으로 측정하는 초전도 중력계는 지구 중력의 다양한 주기의 지구중력변화를 감지하고 분석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문경 초전도 중력 자료의 기초 분석을 위하여 2005년 3월 18일 부터 2006년 2월 21일 사이의 자료를 이용하여 일일주기와 반일주기 성분의 잔여중력을 계산하였다. 기계적 잡음을 제거한 후 기압 및 지하수 보정을 실시하였고, Hartmann-Wenzel 모델과 Whar-Dehant 모델을 이용하여 지구 조석을 보정하였으며 SCW80, FES952, FES2002 해양모델을 이용하여 ocean loading의 영향을 보정하였다. 초전도 중력자료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GRACE 인공위성에서 관측된 중력과 비교한 결과, 0.63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2005년 발생한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 지진자료를 광대역 지진계(STS-2)자료와 비교한 바, 지진계에서 관측되는 지진신호 및 여진이 감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난실험을 통한 피난시간 지연요인 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Stagnation Factors Analysis and Improvement Methods through an Evacuation Experiment)

  • 한운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2호
    • /
    • pp.57-66
    • /
    • 2018
  • 초고층건축물에서 재난 및 화재발생 시 가장 절실히 요구되는 것은 재실자가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는 물리적으로 피난 동선이 길어졌고, 동시에 상대적으로 많아진 재실자로 인해 피난자들이 느끼는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시켜 피난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3회에 걸쳐 대규모 인원이 참여한 피난실험을 하였으며, 실험 중 나타난 현상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피난시간에 지연을 초래할 수 있는 요인을 발굴하고 이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발생한 초고층주상복합건축물 화재에서 방재시스템 운영미숙으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사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피난실험을 실시하여 적응력을 확보하였다. 둘째, 피난시뮬레이션 통계와 피난실험에서 수집된 Data 수치를 비교 분석 검증하였다. 셋째, 피난실험 과정에서 실험에 참여가 불가한 다수의 인원들이 있었으며, 이러한 참여 불가사유를 분석하고, 그 내용이 실제 피난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넷째, 피난시간 지연 초래 요인에 대한 최적의 대응 방안을 수립하기 위하여 피난장비를 구입하고, 실험 전후 비교분석을 통하여 피난시간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한 개선점을 도출, 피난자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기준을 구체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결과를 초고층건축물 소방안전관리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여 피난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Lagrangian 전자부자를 이용한 수리모델 검증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hydraulic model using lagrangian GPS floater)

  • 이호수;이정민;한은진;김영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12호
    • /
    • pp.1047-1055
    • /
    • 2019
  • 수질오염사고 발생시에 다양한 수환경 조건에서의 오염물질의 거동 예측을 위해서 여러 가지 유형의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 물의 흐름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수리모델은 가장 기초가 되면서 전체 모의결과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수리모델은 대상하천의 수리특성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며, 이와 같은 모델링 결과의 검증에 있어서 실제 하천에서 직접 실측한 결과를 이용한다. 현재 하천의 유속 측정에 있어 ADCP와 FlowTracker를 많이 운영하는데 ADCP는 수심이 0.6 m 이하인 경우와 수면 부근의 측정불가역의 비율이 40% 이상일 때 정확도가 매우 떨어진다. FlowTracker의 경우 도섭을 이용한 측정방식으로 인해 고수심 및 고유속 조건에서 측정에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방식의 실측값을 통해 검증된 모델은 수심이 낮은 저유량기 모의와 유속이 빠른 고유량기에서의 모의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Eulerian 방식으로 측정되는 기존의 방법과 달리 입자의 움직임에 따라 수체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Lagrangian 방식의 GPS 전자부자를 이용하였다. GPS 전자부자를 이용해 측정한 유속과 수리모델의 모의결과를 비교하여, 모델결과의 검증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GPS 전자부자의 이동거리와 LPT 모델 입자의 이동거리를 비교하였을 때 평균 13.6%의 오차율을 보이며, 구간별 유속 차이에서도 정체구간을 제외하면 평균 3.2%의 오차율을 보였다. 따라서 GPS 전자부자를 이용하여 수리모델의 결과에 대한 보정 및 검증 방안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