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aluation of School Library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3초

학교도서관 평가지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of School Libraries in Korea)

  • 김성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5-26
    • /
    • 2011
  • 이 연구는 전국 학교도서관을 동시평가하기 위한 객관적이며 정량적인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평가지표와 관련된 국내외의 7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일반성을 갖춘 평가지표를 추출하고, 추출된 평가지표를 계량화 가능성, 객관성, 자료확보 용이성에 따라 타당성을 검증하여 평가지표 초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 적용한 학교도서관 평가지표에 대한 타당성을 조사하여 타당성이 부족한 평가기준과 척도를 수정 보완하고, 신규지표에 대한 평가기준을 개발하였다. 평가배점은 평가지표에 대한 사서교사와 전문가의 중요도 조사,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평가지표의 배점체계에 대한 분석, 전문가의 집중검토 과정을 거쳐 설정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경영일반, 장서, 시설 설비, 인적자원, 이용, 교육의 6개 영역과 30개 지표로 구성된 학교도서관 평가지표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학교도서관 평가의 방향성 탐구 (Exploring the Direction of School Library Assessment)

  • 이지연;이연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227-26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평가 실태를 분석하여 학교도서관 평가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으려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교육부, 교육청 및 문화체육관광부를 중심으로 수행되는 학교도서관 관련 조사, 컨설팅 및 평가를 메타평가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각 기관의 평가 중복, 국가의 학교도서관 발전계획의 반영 미비, 공모형 평가로 인한 참여율 저조, 교육 평가지표 미비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의 개선방안은 법률에 평가 주체의 역할 명시, 국가의 도서관 발전계획의 반영, 기관 간 평가 네트워크 구축, 사례 공유 시스템 운영, 교육청의 조사 및 컨설팅과 전국 도서관 운영 평가의 연계 방안 마련을 제안하였다.

미국의 사서교사 전문성 평가기준과 도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Standards and Tools of the Performance of School Librarians in the United States)

  • 김성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03-121
    • /
    • 2013
  • 이 연구는 미국의 사서교사 전문성과 관련된 기본 배경을 이해하고, 현재 미국에서 활용되고 있는 국가 수준과 주정부 수준의 사서교사 평가기준과 도구 그리고 자기평가 도구를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설정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국은 국가 수준의 학교도서관 기준에 맞추어 사서교사 양성, 자격기준, 평가기준의 일관성 있는 전문성 계발 구조를 갖추었으며, 국가 수준의 사서교사 전문성 기준은 미국 전문교사자격 기준위원회의 자격기준과 미국학교도서관협회에서 발표한 "평생교육을 위한 학습" 기준의 사서교사 평가도구가 대표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미국의 여러 주정부에서는 국가 수준의 학교도서관 기준을 바탕으로 주정부의 실정에 맞는 사서교사 평가기준과 도구를 개발하여 실제 평가에 활용하고 있다. 더불어 미국학교도서관협회는 2012년에 사서교사의 자기평가 도구인 "사서교사 평가의 21세기 접근법"을 발표하여, 사서교사가 국가수준의 기준에서 제시한 전문성에 도달할 수 있는 실천적 방향을 안내하고 있다.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을 위한 평가 지표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Evaluation Indicators for School Library Opening to Local Community)

  • 이병기;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15-13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단위 학교에서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에 필요한 기본 여건을 자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평가 지표를 제공하는 것이다.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은 학습공동체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운영 전략이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의 운영 자원과 지원 체제는 지역사회 개방을 위한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지역사회 개방 경험을 가진 사서교사들은 주요 운영 자원 중에서 사서교사 배치를 가장 중요한 성공 요인으로 지적하였다. 그리고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건비 확보, 지역주민의 접근성을 보장할 수 있는 시설과 자료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 가운데서 지역사회에 제공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독서 프로그램인 것으로 나타났다.

법학전문도서관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Law School Libraries)

  • 김원만;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65-183
    • /
    • 2010
  • 본 연구는 법학전문도서관이 제 역할과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평가 내용을 다루어 법학전문도서관의 역할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법학전문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평가항목을 도출하였고, 법학전문도서관의 주 이용계층인 법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독립적이고, 전문적으로 법학전문도서관을 위한 평가를 지향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법학전문도서관의 건물과 시설 그리고 소장자료의 양과 함께 소장자료의 질, 법학도서관 사서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이용자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며, 외적인 면과 함께 법학전문도서관의 내실을 갖추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학교도서관의 현황분석을 통한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중학교 도서관의 규모와 배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ement through the Present State of Analysis of the School Library School Library - Focused on the Area and Layout of the Middle School in Daegu -)

  • 임혜원;서희숙;이상홍
    • 교육시설
    • /
    • 제13권2호
    • /
    • pp.15-24
    • /
    • 2006
  • The 7th National Curriculum requires the part of a school library for supporting porformance evaluation, optional activ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school library which is very important part of school education needs support of necessary resources and adequate facilities for performing its function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his reserch is based on the school library for present education to need. And, the objective of this reserch is to grasp the present condition of school library and to show improvement device for planning efficiently the time when school library is designed in future.

′학교도서관′ 학교의 중심으로 육성 (Rebuilding the School Library as Center in the School)

  • 홍강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12
    • /
    • 2003
  •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창의적$\cdot$자율적 인재양성을 위해 학생들의 책 읽기 습관 함양과 탐구 중심의 수업방법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제7차 교육과정의 시행에 따라 수행평가, 재량활동$\cdot$특별활동 등을 지원하기 위한 기본시설로서 학교도서관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에 따라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방안'을 수립하게 되었는데 그 주요내용은 열악한 학교도서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시설, 장서, 재정, 인력운영 계획과 함께 학교도서관이 교수-학습활동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도서관 활용 수업 방안까지 포괄됨으로써 학교도서관이 명실상부하게 학교의 중심부로 자리잡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 PDF

인터넷 기반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IBSLIS)의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Internet-based School Library Information System)

  • 이병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1-51
    • /
    • 2003
  •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학교간의 자원공유와 상호대차 기반 조성, 단위 학교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효율성 도모, 단위 학교 목록 데이터 입력 및 시스템 관리 부담 경감 등을 목적으로 인터넷기반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IBSLIS)을 구축 운영 중에 있다. IBSLIS 정보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 운영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기능과 운영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개선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1년도에 시범적으로 설치한 부산시교육청의 IBSLIS 정보시스템을 평가함으로써 향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사서교사 평가지표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acher Librarians' Evaluation Indicators in Korea)

  • 김정현;이병기;서경은;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33-154
    • /
    • 2010
  • 교육과학기술부는 교원능력개발평가를 도입하면서 사서교사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표와 문항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에 제시된 사서교사의 평가지표와 문항의 타당성을 분석하고, 분석과정에서 제안된 문제점을 종합하여 새로운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현 평가지표는 사서교사의 교육활동과 서비스 대신에 시설과 장서의 관리에 중점을 두고 사서교사를 평가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제시된 지표의 대표성과 체계성에 있어서도 많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 연구에서는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타당하게 평가하기 위해 문헌연구, 전문가 검토, 실증연구의 과정을 거쳐서 12개 지표로 구성된 새로운 사서교사 평가지표와 새 지표에 적합한 동료교원, 학생, 학부모의 평가문항을 개발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 열람실의 실내환경 쾌적성 평가 (Indoor Environment Comfort Evaluation of Public Library Evaluation)

  • 이지훈;서민석;윤준희;차정훈;김수민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17-322
    • /
    • 2011
  • Recently, our society is becoming increasingly enthusiastic to acquire knowledge and quality education. Thus, private houses, schools, public libraries and even subways are becoming places to acquire knowledge. Out of all these places, the library, where people visit most frequently to study, has to be quiet, effective and pleasant in order to provide the most efficient place for maximizing learning performance. Many people use public libraries and the age group of people who visit public libraries are very diverse, which makes it particularly necessary to provide the conditions mentioned abo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easu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rmal comfort and soundscape of library N, which is located in the quiet woods, and library G, which is located in the city center.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results will be used to evaluate which library has a more pleasant environ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