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rya japonica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7초

금정산(金井山) 일대(-帶)의 삼림식생분석(森林植生分析) (The Analysis of Forest Vegetation in Mt. Kumjeong)

  • 윤충원;배관호;홍성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3권
    • /
    • pp.31-44
    • /
    • 1995
  • 난대림과 온대남부림의 경계를 구분할 수 있는 식생단위를 찾아내기 위하여 난대림과 온대남부림의 경계지역에 속한다고 추정되는 금정산(북위 $35^{\circ}$03' ~$35^{\circ}$17', 동경 $129^{\circ}$01'~$129^{\circ}$05')의 현존삼림식생을 중심으로 ZM 방식으로 식생분류를 하였고, 아울러 군락의 안정성을 구명하였던 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1. 금정산 일대의 상림식생은 10개군락, 9개군, 2개소군으로 분류되었다. I. 개서어나무군락(群落)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I-A. 노각나무군(群) (Stewartia koreana group) I-B. 쥐똥나무군(群) (Ligstrum obtusifolium group) I-C. 초피나무군(群) (Carex humilis group) II. 굴참나무군락(群落)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III. 졸참나무군락(群落) (Quercus serrata community) III-A. 거북꼬리군(群) (Boehmeria tricuspis group) III-B. 전형군(典型群)(Typical group) IV. 등나무군락(群落) (Wisteria floribunda community) V. 신갈나무군락(群落) (Quercus mongolica community) V-A. 조릿대群(Sasa borealis group) V-B. 그늘사초군(群) (Carex lanceolata group) V-B-1. 족도리소군(小群) (Asarum sieboldii subgroup) V-B-2. 해변싸리소군(小群) (Lespedeza ${\times}$ maritima subgroup) VI. 소나무군락(群落) (Pinus densiflora community) VI-A. 사스레피나무군(群) (Eurya japonica group) VI-B. 전형군 (Typical group) VII. 떡갈나무군락(群落) (Quercus dentata communty) VIII. 소사나무군락(群落) (Carpinus coreana community) IX. 해송군락(群落) (Pinus thunbergii communily) X. 상수리나무군락(群落)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2. 16개 식생단위중 소나무군락의 사스레피나무군 (Eurya japonica group)이 난대림과 온대남부림을 경계하는 지표식생군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3. 노각나무군은 치묘와 치수가 나타나지 않는 점으로 미루어 상충임관아래에서는 천연갱신이 어려운 종으로 사료되었다. 4. 분류된 식생단위와 해발과의 관계에서 개서어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등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사스레피나무군 해송군락은 주로 해발 500m이하에서,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전형군 떡갈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은 주로 해발 500m 이상에 분포하고 있었다. 5. 식생단위와 지형과의 관계에서는 개서어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등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사스레피나무군은 사면중부이하에서,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전형군 떡갈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해송군락, 상수리나무군락은 사면중부이상에 분포하고 있었다.

  • PDF

완도(莞島) 백운봉(白雲峰) 상록활엽수림(常綠闊葉樹林)의 산림군락구조(山林群落構造) 연구(硏究) (Structure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Community at Baegunbong Area in Wando)

  • 배행근;박문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6호
    • /
    • pp.756-766
    • /
    • 2001
  • 자연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백운봉지역 상록활엽수림의 산림군락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총 31개의 조사구($300m^2$)를 설치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구내에서 출현된 54개의 수종에 대한 평균중요치를 변수로 Cluster 분석한 결과 붉가시나무군락(Quercus acuta community), 붉가시나무-동백나무군락(Quercus acuta-Camellia japonica community), 붉가시나무-낙엽활엽수군락(Quercus acuta-Deciduous broad-leaved tree species community), 붉가시나무-상록 낙엽활엽수군락(Quercus acuta-Evergreen Deciduous broad-leaved tree species community), 붉가시나무-개서어나무군락(Quercus acuta-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등 5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교목상층과 교목하층의 식피율은 각각 평균 88%, 53%였고, 출현빈도가 높은 식물은 붉가시나무, 동백나무, 때죽나무, 사스레피나무, 광나무, 생달나무, 사람주나무, 당단풍 순이었다. 조사지 내 주요 우점 수종은 붉가시나무 외에 때죽나무, 산벚나무, 서어나무, 졸참나무, 개서어나무가 우점하였으며, 교목하층은 붉가시나무,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광나무, 생달나무, 사람주나무 순으로 우점하였다. 산정 주변지역을 제외하고는 교목상층 및 교목하층에서 우세한 붉가시나무림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각 군락에 대한 종다양도는 붉가시나무군락이 0.687, 붉가시나무-동백나무군락이 0.866, 붉가시나무-낙엽활엽수군락이 0.933, 붉가시나무-상록 낙엽활엽수군락이 0.966, 붉가시나무-개서어나무군락이 1.018로 나타났다. 각 군락에 대한 우점도는 0.206~0.416으로 나타났다.

  • PDF

편백인공림(人工林)의 식생구조(植生構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tructure of Vegetation in Chamaecyparis obtusa Plantations)

  • 구관효;이강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393-407
    • /
    • 1991
  • 우리나라 남부지역(南部地域)에서 조림(造林)되고 있는 편백에 대(對)한 효과적(效率的)인 조림(造林), 무육(撫育) 및 갱신방법(更新方法)을 적용(適用)하기위한 기초적(基礎的)인 자료(資料)를 얻고자 상층(上層)편백과 중(中), 하층(下層)편백의 밀도(密度), 출현종조성(出現種組成), 그리고 식생구조(植生構造)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을 용약(要杓)하면 다음과 같다. 1. 편백임내(林內)에서 중요도비율(重要度比率)이 높은 수종(樹種)은 사스레피나무, 개옻나무, 편백, 비목, 서어나무, 때죽나무, 가막살나무, 초피나무, 청미레덩굴 등(等)이었으며, 편백치수(稚樹)의 중요도비율(重要度比率)은 하층(下層)에서는 높은 값을 나타내었지만 중층(中層)에서는 그 값이 점차 감소(減少)하였다. 2. 상층(上層)편백의 기저면적(基底面積)과 중(中), 하층(下層)의 편백천연치수(天然雉樹)의 밀도간(密度間)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어 상층(上層)편백의 피도(被度)가 하층(下層) 편백의 밀도(密度)에 유의적(有意的)인 영향(影響)을 주었다. 3. Raunkiaer의 빈도분포(頻度分布)는 하층(下層)보다 중층식생(中層植生)에서 A급(級)과 B급(級)의 비율(比率)이 높았다. 4. Morisita 지수(指數)에 의(依)하면 편백, 개옻나무, 비목, 청미레덩굴, 작살나무, 생강나무는 하층(下層)에서 임의분포(任意分布) 하지만 중층(中層)에서는 집중분포(集中分布)하였으며, 사스레피나무, 가막살나무는 중(中), 하층(下層) 모두에서 임의분포(任意分布)하고 있었고 서어나무, 초피나무, 소태나무는 집중분포(集中分布)하고 있었다. 5. 출현종수(出現種數)와 종다양도지수(種多樣度指數)는 동부지역(東部地域) 조사구(調査區)보다 서부지역(西部地域) 조사구(調査區)에서 증가(增加)되였다. 6. 종다양도(種多樣度) 지수(指數)는 중층(中層)보다 하층(下層)이 높은 값을 나타내어 하층(下層)이 중층식생(中層植生)보다 출현종간(出現種間) 개체수(個體數)가 균일(均一)하게 구성(構成)되어 있었다. 7. 유사도(類似度) 지수(指數)를 사용(使用)한 cluster 분석(分析)에서 내륙지역(內陸地域) 조사구(調査區)와 해안지역(海岸地域) 조사구(調査區)로 구분(區分)되었다. 8. 상이도(相異度) 지수(指數)를 이용(利用)한 ordination 분석(分析)에서 중층(中層)과 하층식생(下層植生)으로 분리(分離)되었고, 중층(中層)보다는 하층식생(下層植生)이 더 진행(進行)된 천이상태(遷移狀態)를 보였다. 9. 편백임분내(林分內)에서 사스레피나무는 쇠물푸레나무, 졸참나무, 노각나무, 팥배나무, 대패집나무, 천선과나무, 마삭줄 등(等)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고, 초피나무, 서어나무, 담쟁이덩굴과는 부(負)의 상관(相關) 보였다. 10. 편백림(林)의 생산성추정(生産性推定)에서 SC와 VP값은 상층(上層)편백이 94.51%, 99.63% 이었으며, 중층식생(中層植生)은 5.49%, 0.37%를 나타내었는데 그 중(中)에서 사스레피나무, 비목, 개옻나무, 서어나무, 때죽나무 순(順)으로 물질생산성(物質生産性)이 높게 나타났다.

  • PDF

평일도 식물상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 of Pyeong-il Island)

  • Lee, Ho Joon;Kyu Ha Park
    • 환경위생공학
    • /
    • 제5권1호
    • /
    • pp.14-27
    • /
    • 1990
  • 본 연구는 1979년 6월부터 1981년 5월까지 4회(10일)에 걸쳐 평일도의 식생을 생태학적으로 조사한 것으로 본도의 식물은 총 80과 172속 173종 21변종 4품종, 199종이었으며 상록활엽수는 사스레피나무, 마삭줄을 비롯하여 총 11종으로 섬 전체의 상록활엽수의 분포상태는 특히 빈약하였다. 또한 본도는 동백나무(흉고 직경 30~35cm), 든나무, 사스레피나무, 마삭줄과 같은 상록활엽수가 우점종이었던 것이 대표적인 갑섭(신탄용, 건책용, 방목, 농지리용)에 의해 현재와 같은 10~20년생 곰솔림을 우점종으로 하는 대위적인 천이가 일어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높은 인구밀도와 취농율, 경작면적의 증가로 인하여 식물이 심하게 파괴된 것으로 생각되며 한편 월송리의 곰솔림은 보호해야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해안가 식물은 5종(순비기, 해당화, 햇보리사초, 갯맷꽃, 갯방풍)으로 월송리, 동백리, 사동리에 이르는 백사장 부근에 분포되고 있었다.

  • PDF

장산봉(부산)의 식물상 (The Flora of Jangsanbong)

  • 이정훈;문성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8호
    • /
    • pp.881-889
    • /
    • 2007
  •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Jangsanbong located at Busan Metropolitan City was investigated from April 2003 to April 2004. Vascular plants in the surveyed area were 254 taxa that belonged to 78 families, 175 genera, 218 species, 34 varieties, and 2 forma. Among them, 20 taxa of evergreen broad trees, 31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nd especially Rubus trifidus was first recorded in Busan. In the upper part of a circular road dominant species was Pinus thunbergii. In the lower part of a circular road and the coastal area, dominant species were Platycarya strobilacea, Clerodendron trichotomum, Euscaphis japonica, Quercus aliena, Quercus dentata, Mallotus japonicus, which distribute mainly in the subtropical and temperate zone. In the surveyed area, the canopy consistsed of tall trees, Pinus thunbergii, and the understratum were trees such as Eurya japonica, Ficus erecta, Ligustrum japonicum, Prunus sargentii, and Celtis sinensis var. japonica.

부산광역시 장산의 식물상 (The Flora of Mt. Jang in Busan)

  • 이경림;문성기;이정훈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43-455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Jang located at Haeundae-Gu in Busan. The survey for the flora was carried out from Oct. 2008 to Sep. 2009.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The flora consists of 5 forms, 22 varieties, 238 species, 198 genera, 91 families, 47 orders, 7 classes, and 3 divisions as total 265 taxa. The typical communities were Osmunda japonica com., Stephanandra incisa com., Gleichenia japonica com., Eurya japonica-Pinus thunbergii com., Styrax japonica-Pinus thunbergii com., and Smilax china com. which were distributed along Forest Bathing Area and Yangun Falls, Miscanthus sinensis for. purpurascens com., Carpinus turczaibovii var. coreana com and Pseudosasa japonica were distributed around the top of mountain. According to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 species, the evergreen plants were observed 15 taxa 14 genera 13 families, the naturalized plants 18 taxa 17 genera 10 families, the specific plants categoriz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20 taxa 18 genera 18 families, the endangered plant 1 specie Utricularia yakusimensis, and the cultivated plants were observed 21 taxa 18 genera 14 families.

천관산 지역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Mt. Cheon-gwan)

  • 임동옥;임형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96-308
    • /
    • 2002
  • 천관산 지역에서 채집된 표본을 동정한 결과, 관속식물 전체 종수는 117과 366속 519종 76변종 4품종으로 총 599종류로 나타났다. 본 지역은 봉의꼬리, 족제비고사리, 비자나무, 개비자나무, 참식나무, 붉가시나무, 송악, 팔손이,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차나무, 석창포, 이대 및 조릿대 등의 상록성 수종과 소사나무, 푸조나무, 상산이나 실고사리 등 낙엽성 난대성 식물이 혼재하고 있다. 구실사리, 히어리, 노각나무, 족도리풀, 노랑 제비꽃, 끈끈이주걱 등이 분포하는 것도 특기할 만하다. 환경부에서 지정한 평가단위별 특정식물은 5 등급이 1 분류군, 4등급은 1 분류군, 3 등급은 5 분류군, 2등급이 1 분류군 그리고 1등급이 37분류군으로 총 45 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A New Record of Tamba igniflua (Lepidoptera: Noctuidae) from Korea

  • Choi, Sei-Woong;Lee, Ji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7권1호
    • /
    • pp.85-87
    • /
    • 2011
  • A noctuid species, Tamba igniflua (Wileman and South), wa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One female of T. igniflua was successfully reared with leaves of Eurya japonica from a caterpillar collec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Diagnostic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are provided with a brief description of caterpillar and adult, including genitalic structure.

홍도 상록활엽수림 지역의 식물군집구조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Hongdo, Korea)

  • 오구균;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7-42
    • /
    • 1994
  • 홍도지역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생구조와 천이계열을 분석하기 위하여 49개 조사구에 대한 TWINSPAN과 DCA ordination기법을 적용한 결과 동백나무군집, 후박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후박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동백나무군집, 상록활엽수혼효군집 등 6개 군집유형으로 분리되었다. 식생천이계열은 교목상층군에서는 소나무$\longrightarrow$구실잣밤나무$\longrightarrow$참식나무, 황칠나무, 센달나무, 붉가시나무, 후박나무로, 교목하층 및 관목층군에서는 광나무, 자금우, 사스레피나무. 다정클나무$\longrightarrow$마삭줄, 남오미자, 까마귀쪽나무, 동백나무$\longrightarrow$식나무, 말오줌때, 천선과나무로 추정되었다.

  • PDF

한국 약용식물 추출물의 알도즈 환원 효소 억제 효능 검색(IX) (Screening of Korean Herbal Medicines with Inhibitory Effect on Aldose Reductase (IX))

  • 최소진;김영숙;김주환;김진숙
    • 생약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54-358
    • /
    • 2014
  • Aldose reductase (AR) has been demonstrated to play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diabetic complications such as diabetic retinopathy, diabetic neuropathy and diabetic nephropathy. To discover novel treatments for diabetic complications from natural sources, 69 Korean herbal medicines have been investigated for inhibitory activities on AR. Among them, 7 herbal medicines,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stems), Artemisia japonica (whole plants), Wisteria floribunda (leaves), Eurya japonica (stems, twigs and leaves, leaves), Ampelopsis brevipedunculata (stems) exhibited a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compared with 3,3-tetramethyleneglutaric acid as positive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