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glenoids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산 담수조 Trachelomonas속 (Euglenophyceae)의 분류와 조류상 (Taxonomic and Floristic Accounts of the Genus Trachelomonas Ehrenberg 1833 (Euglenophyceae) from Korea)

  • 김준태;;부성민
    • 생태와환경
    • /
    • 제33권2호통권90호
    • /
    • pp.80-108
    • /
    • 2000
  • 본 연구는 한국 담수산 Trachelomonas 속을 대상으로 분류학적 이해에 입각한 종속지를 마련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재료는 1994년 5월부터 1997년 6월 까지 한국 전역의 58 담수계에서 총231회 채집되었다. 총 47 분류군의 분류학적 기재, 그림 및 사진을 제시하였다. 이 중 19 분류군이 한국산 Trachelomonas 종속지에 미기록으로 보고되었고, T. curta var. reticulata, T. koreana, T. planctonica var. papillosa, T. spina는 신종 또는 신 변종으로 기재한다. 따라서 한국산 Trachelomonas 종속지는 기 보고된 23분류군과 더불어 총 70 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Trachelomonas 종들은 방죽이나 자연늪 등과 같이 유기물질과 영양염류가 풍부한 오래된 정체수역에서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T. bacillifera, T. hispida, T. volvocina는 춘계와 하계에 자연늪이나 양어장에서 대발생하는 경항을 보였다.

  • PDF

고리해역 표영환경내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Pelagic Environment of Kori, Korea)

  • 여환구;허성회
    • 환경생물
    • /
    • 제17권1호
    • /
    • pp.71-77
    • /
    • 1999
  • 고리원전 주변 해역에서 1995년 1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총 13회의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식물플랑크톤은 총 162개 분류군(미동정종 포함)이 출현하였으며 그중 규조류가 총 120종이 출현하여 가장 많은 종수를 보였고 규질편모류 3종, 와편모조류 34종, 유글레나조류 2종, 녹조류 1종, 기타편모류 2종 등이 출현하였다. 규조류 종인 Skeletonema costatum은 연중 우점종으로 기록되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월 평균값 변화는 최저 94 cells/ml(8월)에서 최고 1059 ce11s/m1(7월)에 이르며 2월과 7월에 현존량의 peak가 나타났다. 고리원전 주변해역에서는 온배수에 의한 영향이 계절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겨울과 가을철에 한하여 1∼3 km의 수역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증가가 일어 날 수 있음을 나타내었고 여름철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온배수의 영향이 상당히 부정적임을 나타내었다.

  • PDF

아산호의 생태학적 연구 2.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 (Ecological Studies on the Asan Reservoir. 2.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 김영길;신윤근
    • 생태와환경
    • /
    • 제35권3호통권99호
    • /
    • pp.187-197
    • /
    • 2002
  • 아산호에서 1997년 3월부터 1997년 11월까지 6회에 걸쳐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9개 정점에서 관찰된 식물플랑크톤 분류군은 총 204종군으로, 각 분류군별 출현비는 녹조류 51%, 규조류 29%, cyanobacteria 12%, 와편모조류가 2%, 유글레나류 4%, 기타 편모조류가 2% 이었다.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741ce11s/m떼서 613,066ce11s/ml의 범위로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현존량은 7월에 가장 높았고 9월, 6월, 3월, 11월, 5월 순으로 나타났다. 계절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녹조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며, 녹조원인생물은 Micractium pusillum, Stephandiscus hantzschii, Dictyospharium pulchellum, cryptomonad (> 20 ${\mu}$, Microcystis aeruginosa, Oscillatoria tenuis, Oscillatoria sp., Aphanocapsa sp. Euglena sp., Volvox aureus 이었다. 여름철에 cyanobacteria에 의한 녹조현상이 현저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종다양성은 0.13${\sim}$의 범위로 시${\cdot}$공간적으로 차이가 매우 컸다. 집괴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아산호 하류수역과 상류수역 투 개의 수역으로 구분이 되었다.

Envelope development and variation in Trachelomonas hispida (Euglenophyta)

  • Poniewozik, Malgorzata;Zieba, Emil;Sajnaga, Ewa
    • ALGAE
    • /
    • 제33권4호
    • /
    • pp.305-318
    • /
    • 2018
  • In Trachelomonas hispida, the adult envelope that surrounds the monad is oval in shape and covered with spines. Development of the lorica is an interesting, but poorly known phenomenon. We observed in detail the formation of spineless envelopes of T. hispida using light mic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results showed that young cells formed delicate and net-like envelopes. The structure changed with age, and mature specimens had solid, thick loricae with small pores. As the loricae aged, they changed their shape, and rope-like fibres from the external layer started to unwind, progressing from the apical pore, exposing the underlying net-like structure. X-ray spectrometry showed that Fe was the major mineral component in young and mature loricae, whereas old loricae did not contain Fe salts, although they did contain a high number of Mn compounds. We also noticed a different pattern of mineralization process in the envelopes. Apart from the even distribution of mineral deposition over the entire lorica, we observed that it started from the apical pore and ended at the posterior end. There was considerable morphological variation in envelope shape and ornamentation, which had collars and folds around the apical pore and process at the posterior end. This suggested that many varieties of T. hispida should be taxonomically reappraised. We also discuss a hypothetical role for the spines on lorica surfaces in aquatic ecosystems.

논발생(發生) 담수조류(淡水藻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I. 지대별(地帶別) 발생분포(發生分布) (Fresh-water Algae Occurred in Paddy Rice Fields I. Regional Distribution)

  • 이한규;박재읍;류갑희;이정운;박영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8-165
    • /
    • 1992
  • 벼 재배환경(栽培環境)에 따라 남부(南部) 평야지(平野地), 중북부(中北部) 평야지(平野地), 중부(中部) 산간지(山間地), 동부(東部) 고랭지(高冷地), 서해안(西海岸) 간척지(干拓地) 등(等) 전국(全國)을 5개(個) 지대(地帶)로 구분(區分)한 후(後), 각(各) 지대(地帶)에서 2개(個) 지역(地域)을 선정(選定)하여 총(總) 10개(個) 지역(地域), 100개(個) 지점(地點)의 논에 발생(發生)한 한류(漢類)의 분포조사(分布調査)를 1991년(年)에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채집(採集)된 논조류(藻類)는 남조류(藍藻類) 14속(屬), 녹조류(綠藻類) 29속(屬), 윤조류(輪藻類) 1, 유그레나류(類) 3속(屬), 규조류(硅藻類) 7속(屬) 등(等) 총(總) 54속(屬)이었다. 2. 녹조류(綠藻類)는 평야지(平野地)에서 23 속(屬), 산간(山間) 고랭지(高冷地)에서 15속(屬), 간척지(干拓地)에서 15 속(屬)이 채집(採集)됨으로써 평야지(平野地)에 발생(發生)하는 녹조류(綠藻類)가 다양(多樣)한 편이었다. 3. 규조류(硅藻類)는 평야지(平野地)에서 9속(屬), 산간(山間) 고랭지(高冷地)에서 7속(屬), 간척지(干拓地)에서 4 속(屬)이 채집(採集)됨으로써 간척지(干拓地)에 발생(發生)하는 규조류(硅藻類)는 다양(多樣)하지 않았다. 4. 각(各) 지대(地帶)에서 채집(採集)된 남조류(藍藻類)와 유그레나류(類)의 다양성(多樣性)은 지대(地帶)간에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5. 평야지(平野地)에는 Chlamydomonas, Pandornia, Gonium, 등(等) 부유성(浮遊性) 단세포(單細胞) 녹조류(綠藻類)가 넓게 분포(分布)되어 있었고, 산간(山間) 고랭지(高冷地)에는 해캄(Spirogyra), 붓뚜껑말(Oedogonium), 주름말(Ulothrix), 그물말(Hydrodictyon) 등(等) 저서성(底棲性) 다세포(多細胞) 녹조류(綠藻類)가 많이 발생(發生)하였다. 간척지(干拓地)에는 Cladophora, Rhizoclonium 등(等) 부유성(浮遊性) 다세포(多細胞) 녹조류(綠藻類)가 많이 발생(發生)하였다. 6. 남색(藍色)을 띈 괴불에는 흔들말(Oscillatoria)이 주종(主種)을 이루고 있었고 갈색(褐色)을 띈 괴불에는 깃돌말(Navicula)이 우점(優占)하고 있었다.

  • PDF

2011년 진해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s in Phytoplankton Composition in Jinhae Bay, 2011)

  • 박경우;서영상;임월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20-529
    • /
    • 2012
  • 진해만에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을 정량 분석하여 종조성과 분포를 시 공간적으로 파악하고, 군집의 변화와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진해만 주변해역 15개 정점에서 2011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매월 1회씩 총 12회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총 158종 출현하였으며, 이 중 규조류가 95종, 와편모류가 58종, 유글레나류가 1종, 규질편모류가 4종 출현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는 각 정점에서 $4.0{\times}10^3{\sim}9.0{\times}10^7\;cells{\cdot}L^{-1}$의 범위로 나타났다. Chl.a의 경우 7월 평균 값이 가장 높게(13.19 $mg{\cdot}m^{-3}$)나타났으며, 3월 평균 값이 가장 낮게(3.44 $mg{\cdot}m^{-3}$) 나타나,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정량 분석 결과 우점종의 경우, 봄철 Leptocylindrus danicus, Pseudo-nitzschia spp.이 나타났으며, 여름철 Dactliosolen fragilissimus, Pseudo-nitzschia spp., 가을과 겨울에는 Chaetoceros spp., Skeletonema spp.가 우점하여 계절별 종 특이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조사 기간 동안의 질소와 인의 총량의 DIN : DIP비는 진해만 서부 해역은 14 : 1의 비율을 보였고, 진해만 동부 해역은 28 : 1의 비율로 보다 높은 질소의 양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총인과 총질소 Chl.a 또한 진해만 서부 해역과 비교하여 진해만 동부 해역이 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Thalassiosira spp.와 Skeletonema spp.에 의해 진해만 동부해역이, Leptocylindrus danicus와 Pseudo-nitzschia spp.에 의해 진해만 서부 해역으로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에 의해서 나뉘어 졌다.

영광 안마군도 주변 해역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동태 (Seasonal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Anma Islands of Yeonggwang(AIY), West Sea, Korea)

  • 주하연;송아영;박지혜;윤양호
    • 환경생물
    • /
    • 제40권1호
    • /
    • pp.70-86
    • /
    • 2022
  • 서해 남부 안마군도 주변 해역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동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2020년 봄부터 2021년 겨울까지 소형 해양조사선 에드오션호를 이용하여 21개 정점의 표층과 저층 해수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하였다. 결과,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종은 52속 87종으로, 규조류가 67.8%, 와편모조류가 26.5%, 규질편모조류가 3.5%, 그리고 은편모조류 및 유글레나조류가 각 1.1%를 차지하였다. 계절별로 출현 종은 봄에 단순하였고, 겨울에 상대적으로 다양하였다. 표층 현존량은 여름 28.8±30.1 cells mL-1로 낮았고, 봄 87.0±65.1 cells mL-1로 높았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연중 규조류가 80% 이상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었고, 우점종은 Skeletonema costatum-ls가 봄과 겨울에 60% 이상 극우점을 보였고, 여름과 가을 각 34.6%와 24.2%로 최우점하였다. 군집구조 특성을 나타내는 다양도 지수는 현존량과 다르게 가을에 2.79±0.45로 높았고, 봄에 1.82±0.18로 낮았다. 그러나 우점도 지수는 봄에 0.86±0.08로 높았고, 가을에 0.44±0.13로 낮았다. 환경인자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 관련 인자를 이용한 주성분 분석 결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통해 본 안마군도 주변 해역의 생물해양학적 환경 특성은 상대적 개방해역 및 조석 혼합 등 해수 혼합에 의한 해저 퇴적층에서 공급되는 영양염 등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