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commia ulmoides leave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7초

Phenolic Compounds of the Leaves of Eucommia ulmoides

  • Han, Suk-Young;Park, Jong-Cheol;Park, Hee-Juhn;Lee, Ji-Hyon;Choi, Jae-Su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114-117
    • /
    • 1991
  • From the leaves of Eucommia ulmoides, quercetin, astragalin, isoquercitrin, quercetin 3-O-$\beta$-D-sambubioside and chlorogenic acid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by spectral data.

  • PDF

Inhibitory Effects of Total Extract and Flavonols from Hardy Rubber Tree (Eucommia ulmoides Oliver) Leaves on the Glycation of Hemoglobin

  • Kim, Hye-Young;Kim, Kyong;Lee, Myung-Ki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4호
    • /
    • pp.603-605
    • /
    • 2006
  • Our previous study demonstrated that aqueous ethanolic extract of hardy rubber tree (HRT; Eucommia ulmoides Oliver) leaves potently inhibited glycation, and that two known flavonols and one new flavonol were the active compounds in protein glycation in vitro using the model system of bovine serum albumin and fruct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HRT extract and its flavonols against the glycation of hemoglobin (Hb) in primary cultured rat erythrocytes. The extract at $40-400\;{\mu}g/mL$ and the flavonols at $0.2-20\;{\mu}g/mL$ significantly inhibited Hb glyc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y were more effective than aminoguanidine, a well-known inhibitor of glycation. Three flavonols seemed to be responsible for th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 furthermore, the extract of HRT leaves showed advantages over single isolated flavonols in the inhibition of Hb glycation.

두충(Eucommia ulmoides O.)잎으로부터 Grb2-Shc 결합저해 활성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Grb2-Shc Interaction Inhibitory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Eucommia ulmoides O.)

  • 한재택;안은미;방면호;남지연;권병목;백남인
    • 생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02-206
    • /
    • 1999
  • The MeOH extracts obtained from the leaves of Eucommia ulmoides were solvent-fractionated with EtOAc, n-BuOH, and $H_20$, successively. From the EtOAc extract showing Grab2-Shc inhibitory activity, a flavonol and a lignan compounds were isolated through repeated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ies. By interpretation of several spectral data and adaptation of acetylation method,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compounds were determined as 5,7,3',4'-tetrahydroxy-flavonol (quercetin), and 4,4',8',9-tetrahydroxy-3,3'-dimethoxy-7,9'-cyclolignan {(-)-olivil)}, respectively. The compounds exhibited $IC_{50}$ values in Grb2-Shc inhibitory activity to be 93 and $210\;{\mu}mole/l$, respectively.

  • PDF

볏짚을 두충잎으로 대체급여 시 거세한우의 생산성, 도체특성 및 육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Eucommia ulmoides Leaves Substituted for Rice Straw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 Tissues of Hanwoo Steers)

  • 김재황;김영민;이문도;신재형;고영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963-974
    • /
    • 2005
  • 본 시험은 두충 급여가 거세한우의 성장, 도체특성, 육질특성 및 육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기초사료로 배합사료와 볏짚을 급여하였으며, 건조 두충 잎을 건물기준으로 조사료의 3, 5 및 10%를 대체․급여하였다. 시험사료의 사료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평균체중 321±13kg의 거세한우 72두(4개구$\time$6 두$\time$3 반복)를 공시하여 약 15개월간 실시하였다. 일당 증체량은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0.81-0.86kg으로 유의차는 없었다. 사료요구율도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10.05-10.59로서 개선효과는 없었다. 분변내 NH3 가스 발생량은 두충 잎의 급여비율이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즉 40℃에서 12시간 발효시에는 대조구와 3% 구는 각각 30.6ppm과 29.8ppm이었으나 5% 구와 10% 구는 각각 20.3ppm과 21.6ppm으로 낮았다(p<0.05). 등지방 두께는 대조구는 15.0mm였으며 5-10% 급여시 10.2-10.5mm로 얇은 경향이었다(p<0.05). 육량 A 등급 출현율은 3% 급여시 약 20%가 증가하였으며, 육질 1+와 1 등급 출현율은 두충 잎을 5-10% 급여시 약 10-15%가 증가하였다. 등심의 육색에 대한 CIE L*, a* 및 b* 값은 각 시험구간 차이는 없었으며, 우둔의 CIE L*, a* 및 b* 값에서도 각 시험구간에 차이는 없었다. 지방산 함량에 있어서 등심과 우둔에서 공히 C18:1은 두충 잎을 5-10% 급여구에서 증가하였다(p<0.05). 등심의 cholesterol 함량은 10% 급여한 구가 53.3mg /100g으로 대조구와 3% 구 및 5% 구의 55.7-57.0mg/100g으로 비해 낮았다(p<0.05). 하리의 발생비율은 대조구가 약 20.3%였으며 두충 잎을 5-10% 대체 급여할 경우에는 10.4-12.5%로 크게 감소되었다(p<0.05). 호흡기 발병비율은 두충 잎을 대체함으로 개선되는 경향이지만 유의차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두충 잎에는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는 생리활성 물질이 상당량 함유된 기능성 사료로의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두충 잎을 음건하여 반추동물에 급여할 경우 육질 개선 및 하리 발생비율이 감소되기 때문에 고급육 생산에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두충 잎을 거세한우에 급여할 경우 조사료의 5-10%를 대체하는 것이 가장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두충잎의 첨가가 육계의 성장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v Supplementation of Eucommia ulmoides Oliver Leaves on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Broiler Chicks)

  • 박성진;김만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1-76
    • /
    • 1996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Eucommia ulmoides Oliver leaves(EUOL)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s. The dietary treatments consisted of the control diet(corn-soybean meal basal), and EUOL 2, 4, and 6% diets. The latter three diets were prepared by adding 2, 4, and 6% EUOL to the control diet. Ninety-six Arbor Acre male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llotted to 16 pens; four pens per treatment and 6 birds per pen. The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weight of broiler chicks fed EUOL die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O.05) from the control birds. Also, the muscle color degrees(L*a*b *)in brolier chicks were similar to each other. The blood concentrations of protein, sugar and glutamic-pyruvic transarninase(GPT) were not different(P>O.05)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The blood total cholestrol content was significantly(P<0.05)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EUOL. However, the addition of EUOL did not change the muscle components significantly. The bone hardness of broiler chicks fed EUOL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that of control chicks.

  • PDF

두충(Eucommia ulmoides Oliv.)잎으로부터 Monoamine Oxidase B 억제활성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Monoamine Oxidase B Inhibitory Compound from the Leaves of Eucommia ulmoides Oliv.)

  • 안은미;한재택;이동욱;손형옥;권병목;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166-169
    • /
    • 1999
  • 두충잎으로부터 얻은 MeOH 추출물의 n-BuOH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monoamine oxidase B (MAO-B) 억제 활성을 갖는 flavonoid 배당체를 분리하였다. 화합물의 화학구조를 스펙트럼 데이터의 해석과 산가수분해반응을 이용하여 $3-O-[{\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2)\;{\beta}-D-xylopyranosyl]\;quercetin$으로 결정하였다. 이 화합물의 MAO-B 억제활성에 있어서의 $IC_{50}$ 값은 $8.05\;{\mu}mol/l$로 측정되었다.

  • PDF

두충잎의 항암성분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cancer Compounds from Eucommia ulmoides Leaves)

  • 김종배;박정륭;전정례;차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32-738
    • /
    • 2001
  • 두충잎에서 인간대장암에세포 HCT-116에 세포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LC로 분리하고 HPLC로 정제한 다음 UV-visual spectro-photometer에 의한 흡수 spectra 특성 HPLC에 의한 retention time과 분리패턴 및 FAB/MS로 분자량을 잠정적으로 동정한 결과 TLC 상에서 분리된 Rf 0.19 band 의 화합물은 chlorophyll a에서 $Mg^{2+}$이 제거된 pheophytin a로 Rf 0.25 band의 화합물은 pyropheophytin a로 확인되었다. 동정된 화합물들의 암세포 억제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두충잎의 petroleum ether extract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한 분획물 및 TLC에서 분리된 각 band들의 cytotoxic activity을 in vitro에서 HCT-116 cancer cell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암세포 증식억제 현상을 보였으며 특히 Rf 0.19와 Rf 0.25 band에서 분리된 화합물들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볼 때 두충잎에서 분리한 클로로필 유도체는 인간대장암세포인 HCT-116 cell에 대해 강한 항암작용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두충잎의 급여가 면양의 영양소 이용율과 반추위내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Eucommia ulmoides Leaves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Sheep)

  • 김재황;고영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955-962
    • /
    • 2005
  • 본 시험은 두충 잎을 저질 조사료인 볏짚의 일부로 대체․이용할 목적으로 평균체중 50.2 $\pm$1.6kg의 건강한 숫 면양(Corriedale$\time$Polwarth) 4두로 4$\time$4 라틴 방각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이때 농후사료 : 조사료의 비율은 3:7이었다. 시험구는 두충을 대체하지 않은 대조구와 조사료인 볏짚의 건물을 기준으로 음건 두충 잎을 3, 5 및 10% 대체한 4개 처리구를 공시하였으며, 영양소 이용율, 기호성, 반추위 내 발효 특성 및 미생물체단백질 합성량을 조사․분석하였다. 조지방 소화율은 3% 구와 5% 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약 12.5-17.5%로 증가하였다(p<0.05). 조섬유 소화율은 두충잎을 대체한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약 10.6-13.7%로 개선되었다(p<0.05). 건물 섭취량은 10% 구가 844g으로 가장 많았으며 5% 구는 그 다음으로 많이 섭취하였으며, 대조구와 3% 구는 가장 낮았다(p<0.05). 질소 축적량은 3% 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약 97%가 개선되었으며, 5% 구와 10% 구가 약 173-192%가 개선되었다(p<0.05). 유기물 이용율은 3% 구와 5% 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p<0.05). PD(purine derivatives) 배설량은 5% 구가 2.90mmol/d로 대조구와 3% 구에 비하여 높았다(p<0.05). 미생물체단백질 합성량은 5% 구가 2.51gN/d로 대조구와 3% 구에 비하여 높았다(p<0.05). 반추위내 total VFA 함량은 두충 잎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RAN 함량은 두충 잎 급여 후 1-4시간에 15-19mg/100ml로 높게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두충 잎을 음건하여 반추동물에게 5-10%를 대체하여 급여할 경우 영양소 소화율, 기호성 및 반추위 내 발효조건 개선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산 두중차(杜仲茶)의 품질(品質)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of 'Doojoong' Tea)

  • 김영배;강명희;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0-73
    • /
    • 1976
  • 한국 고유차류(固有茶類)의 개발을 목적으로 두중(杜仲)나무(Eucommia ulmoides)잎의 화학성분, 침출(浸出)조건 및 가공(加工)방법을 실험한 결과 두중차(杜仲茶)는 차류(茶類)로서의 기호적(嗜好的) 특성을 충분히 구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