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commia ulmoides OLIVER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6초

두충 추출물의 잇몸상피세포 염증에 대한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Eucommia Ulmoides Oliver Bark Extract on P.gingivalis LPS-induced YD-38 Cells)

  • 김예진;허웅;최한석;강기성;황귀서;백지윤;구본암;김현영
    • 생약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85-190
    • /
    • 2019
  • Periodontitis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and gums pull away from the teeth and form spaces. The main goal of treatment is to control the infection and anti-inflammation. Eucommia ulmoides Oliv. Bark (EU) is a traditional Korean herbal used for the treatment of arthritis and hypertension.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EU in Porphyromonas gingivalis-LPS (LPS-PG) induced YD-38 epithelial cells. We observed significant inhibition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the expression of interleukin-8 (IL-8), interleukin-6 (IL-6),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 cyclooxygenase-2 (COX-2) in LPS-PG-induced YD-38 cells. These results support that EU has an anti-inflammatory effects for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미세먼지(PM2.5)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두충(Eucommia ulmoides Oliver) 잎의 in vitro 뇌 신경세포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Eucommia ulmoides oliver leaves against PM2.5-induced oxidative stress in neuronal cells in vitro)

  • 김민지;강진용;박선경;김종민;문종현;김길한;이효림;정혜린;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23-43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두충 잎의 분획물을 이용하여 미세먼지(PM2.5)로 유도한 in vitro 뇌 신경세포 독성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세포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EFEL은 우수한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지질과산화물 억제활성에서 양성대조군인 catechin과 동일한 농도에서 유사한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EFEL은 미세먼지로 유도된 해마세포(HT22), 뇌신경세포(MC-IXC) 및 미세아교세포(BV-2) 내의 ROS 수준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주었으며, 세포 생존능을 증가시킴으로써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냈다. 미세먼지로 활성화된 BV-2에서 EFEL은 세포 활성화와 관련된 세포막 수용체인 TLR4와 p-JNK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세포 사멸에 관여하는 caspase-3 활성화 전 단계인 procaspase-3와 세포 생존 경로에 관여하는 p-Akt 발현의 증가된 수준을 나타냈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써 증가된 TNF-α의 수준을 감소시켰다. EFEL의 생리활성 물질을 HPLC로 분석한 결과, rutin과 chlorogenic acid가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두충 잎의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은 우수한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냄으로써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으며, 미세먼지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서 사멸 및 염증반응을 조절하여 뇌 신경세포를 보호하였다. 이를 고려할 때, EFEL은 미세먼지로 유도된 염증성 뇌신경세포 관련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Eucommiae Cortex on Osteoblast-like Cell Proliferation and Osteoclast Inhibition

  • Ha, Hyek-Yung;Ho, Jinn-Yung;Shin, Sun-Mi;Kim, Hye-Jin;Koo, Sung-Ja;Kim, In-Ho;Kim, Chung-Soo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11호
    • /
    • pp.929-936
    • /
    • 2003
  • Methanol extract (MeOH), n-hexane (Hx), chloroform ($CHCl_3$), ethyl acetate (EA), butanol (BuOH) and aqueous ($H_2O$) fractions of Eucommiae Cortex including geniposidic acid (GA), geniposide (GP) and aucubin (AU) were tested for their therapeutic efficacy on osteoporosis. The contents of GA, GP and AU in the cortex and leaf of Eucommia ulmoides Oliver were quantified by HPLC. The effect of Eucommiae Cortex on the induction of growth hormone (GH) release was studied by using rat pituitary cells. The proliferation of osteoblast-like cells increased by herbal extracts was assayed using a tetrazolium (MTT),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and [$^3H$]-proline incorporation assays. The inhibition of osteoclast was studied by using the coculture of mouse bone marrow cells and ST-2 cells. As a result, the GA, GP and AU were present in the cortex more than in the leaf of E. ulmoides Oliver. The MeOH (1mg/mL), Hx, $CHCl_3$ and EA fractions (each 20 $\mu$ g/mL) had potent induction of GH release. The $CHCl_3$ exhibited the potent proliferation of osteoblasts. The AU, GP and GA were increased proliferation of osteoblasts. In addition, GA ($IC_{50}: 4.43{\times}10^{-7}$M), AU and GP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proliferation of osteoclast. In summary, it is thought that the components in a part of the fractions of Eucommiae Cortex participate in each step of mechanism for activating osteoblast to facilitate osteogenesis, and suppress osteoclast activity to inhibit osteolysis.

두충껍질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Du-Chung barks)

  • 장희진;나도영;김옥찬;박준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2호
    • /
    • pp.116-119
    • /
    • 1990
  • 두충껍질의 휘발성 성분을 SDE장치로 추출한 후 GC 및 GC-MS에 의해서 비교분석하였다. 확인된 성분은 49개 성분이며, acid류 4종, alcohol류 11종, aldehyde류 9종, ester류 4종, ketone류 3종, hydrocarbon류 16종, lactone 1종이 확인되었다. 이중에서 가장 많이 함유된 성분은 caproic acid이며, 전체 휘발성 성분의 18.1%를 차지하였다.

  • PDF

두충잎 추출물 처리농도가 콩나물의 생장 및 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ucommia ulmoides Oliver Leaf Extract Concentration on Growth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s)

  • 강진호;박철종;윤수영;전승호;김희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7-20
    • /
    • 2005
  • 생장조절제가 아닌 천연물을 이용한 콩나물의 세근형성과 생장을 조절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세근의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두충잎 추출물의 처리농도(0, 5, 10%)가 콩나물 (풍산나물콩, 소원콩, 준저리)의 세근형성, 생장 및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처리농도를 5%에서 10%로 증가할 경우 하배축 길이가 7 cm 이상의 비율은 감소하는 반면, 하배축 길이가 4 cm 이하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하배축 길이가 7 cm이상의 비율은 풍산나물콩과 소원콩에 비하여 준저리에서 가장 낮았던 반면, 하배축 길이가 4 cm 이하의 비율은 7 cm이상의 비율과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2. 세근형성 비율은 풍산나물콩과 소원콩에서 처리효과가 미미한 반면, 준저리에서는 10%의 두충잎 추출물 처리에서 아주 낮았다. 한편 개체당 세근수는 공시품종 모두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소원콩, 풍산나물콩, 준저리 순으로 적어졌다. 3. 콩나물의 전체 길이는 차이가 없었던 풍산나물콩과 소원콩보다는 준저리에서 짧았으며, 공시품종 모두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하배축 직경은 품종간 반응에서 이와 유사하였으나,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굵어지는 경향이었다. 4. 개체당 전체생체중은 주로 하배축 생체중의 증가로 소원콩에서 가장 많았으며, 풍산나물콩, 준저리 순으로 적어졌다. 전체생체중은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하배축 생체중의 감소로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녹차와 두충 잎 추출물 처리에 따른 콩나물의 생장 및 형태적 특징 (Growth and Morphological Charactersistics of Soybean Sprouts Treated with Leaf Extracts of Thea sinensis L. and Eucommia ulmoides Oliver)

  • 강진호;박철종;윤수영;전승호;허창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16
    • /
    • 2005
  •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식물잎 추출물과 같은 천연물질을 처리한 콩나물이 시판되고 있다. 녹차잎 추출물을 처리한 콩나물과 상대적으로 세근형성을 더욱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두충잎 추출물의 처리호과를 비교하고자 녹차잎과 두충잎 추출물에 침종하여 재배한 콩나물의 재배일수에 따른 세근형성, 생장 및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두충잎과 녹차잎 추출물 처리 모두 풍산나물콩과 소원콩 보다는 준저리에서 하배축 길이가 7cm 이상의 비율이 현저히 낮은 반면, 발아는 되었으나 4cm 이하의 비율을 현저히 증가 시켰다. 이들 추출물 처리에 대한 하배축, 뿌리 및 전체길이, 하배축 중간과 hook부분 직경, 각부위 및 전체 생체중에 대한 품종별 반응도 하배축 구성 비율과 유사하였다. 2. 두충잎과 녹차잎 추출물 처리 모두 재배일수가 길어질수록 하배축 길이가 4~7cm, 4cm 이하 및 미발아개체의 비율 감소로 7cm 이상의 비율이 증가되었다. 하배축, 뿌리 및 전체길이, 하배축 중간과 hook부분 직경, 하배축과 뿌리 무게의 증가로 전체 생체중은 재배일수가 길어질수록 증가되었다. 3.녹차잎 추출물 처리에 비하여 두충잎 추출물 처리에서 세근형성이 지연되고 개체당 형성된 세근수도 적고 재배일수가 길어질수록 증가정도가 적었다. 하배축과 뿌리 길이, 하배축 굵기, 개체당 전체생체중에서도 녹차잎 추출물보다는 두충잎 추출물 처리에서 작고 적어 콩나물 생장에 대한 억제효과는 두충잎 추출물 처리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혈압 환자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한방 다류 개발 (Development of Functional Tea Products for Hypertension Patients with the Mixed Medicinal Herbal Extracts)

  • 안병용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049-1053
    • /
    • 2009
  • 본 연구는 두충을 주 원료로 고안된 한방 혼합 다류가 고혈압 질환자의 혈압, 혈청지질 및 혈액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한방 혼합 다류를 시험 4주간 복용한 그룹과 시험 전 그룹을 비교한 결과, 수축기 혈압은 167.14 mmHg에서 134.86 mmHg로, 이완기 혈압은 100.00 mmHg에서 87.10 mmHg로 뚜렷하게 저하되었다. 혈청지질 중 총콜레스테롤(TC), 고밀도-콜레스테롤(HDL-C), 저밀도-콜레스테롤(LDL-C)의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AI)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반면, 한방 혼합 다류를 복용 시 중성지방(TG) 농도가 237.10 mg/dL에서 145.00 mg/dL로 강하게 감소되었다. 시험 4주 후와 시험개시 전의 혈액학적 지표(적혈구, 백혈구, 헤마토크리트, 헤모글로빈, 혈소판 및 호모시스테인)를 비교한 경우, 유의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는 반면 평균 적혈구 혈색소 농도(MCHC)는 유의적으로 2.70%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두충을 주 원료로 고안된 한방 혼합 다류는 중성지방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혈압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추정하며, 평균 적혈 수혈 색소 농도를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 PDF

Tu-Chung Leaf Meal Supplementation Reduced an Increase in Lipid Accumulation of Chickens Stimulated by Dietary Cholesterol

  • Santoso, U.;Ohtani, S.;Tanaka,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2호
    • /
    • pp.1758-1763
    • /
    • 2000
  • The effect of tu-chung (Eucommia ulmoides, Oliver) leaf meal on reducing lipid accumulation in chickens fed 1% cholesterol containing diet was studied. Forty male White Leghorn chickens aged 56 days were weighed and divided into four groups of ten chickens, and fed diets with or without 1% dietary cholesterol which were supplemented with 0 and 5% tu-chung. Tu-chung supplementation to the diet without cholesterol increased acetyl-CoA carboxylase (p<0.01) but decreased 3-hydroxy-3-methylglutaryl-CoA reductase activities (p<0.01) with no effect on fatty acid synthetase activities. However, its supplementation to the diet with cholesterol had no effect on these three enzyme activities as compared with the cholesterol containing diet without tu-chung. Tu-chung supplementation to the diet without cholesterol increased hepatic triglyceride (p<0.01), whereas its supplementation to the diet with cholesterol decreased it (p<0.01). Tu-chung supplementation to the diet with cholesterol decreased plasma cholesterol ester, free cholesterol, phospholipids (p<0.05) and triglyceride (p<0.01) as compared with the cholesterol containing diet without tu-chung. Supplementation of tu-chung to the diet without cholesterol decreased plasma free cholesterol (p<0.05). It is concluded that tu-chung leaf meal reduced an increase in lipid accumulation in chickens stimulated by 1% cholesterol feeding.

전탕용수의 미네랄 함량이 두충의 유효성분 추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Influences of mineral contents in decoction water on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bioactive compounds from Eucommiae Cortex)

  • 박정근;김태진;김경태;이은실;김동희;황귀서;강종성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7-185
    • /
    • 2013
  • Objective : Eucommiae Cortex is bark of Eucommia ulmoides Oliver, a deciduous tree native to China. Today, teas or herbal drugs made from E. ulmoides leaves are widely consumed as a healthy food especially in Eastern Asia including Japan, China and Korea. This study was aimed to verify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bioactive compounds from Eucommiae Cortex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decoction water. Method : Six types of decoction water with various origin were prepared and the contents of minerals in water were analyzed by ICP-AES and ICP-MS. The contents of extracted bioactive compounds were analyzed by HPLC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ineral contents and extracted bioactive compounds in the decoction water were analysed by multiple factor analysis. The decoction waters could be classified in three groups by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Result : Extracted amounts of compounds in Eucommiae Cortex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Na, Si, K concentration in decoction water, whil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a, Mg concentration. Conclusion : The study proved that the minerals in water influenced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bioactive compounds from Eucommiae Cort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