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OH extract

검색결과 695건 처리시간 0.029초

지리산 자생식물 5종의 성분 분석 및 DPPH, ABTS 활성 실험을 통한 화장품 원료개발-II (Analysis of Ingredients Using 5 Species of Native Plants from Mt. Jiri. for the Development of Cosmetic Raw Materials, DPPH and ABTS Activity-II)

  • 정연옥;박노복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5권4호
    • /
    • pp.24-38
    • /
    • 2024
  •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5종(참나물, 꿩의비름, 함박꽃나무, 산오이풀, 배초향)의 식물을 선정하여 5월부터 9월까지 자생지에서 꽃이 활짝 개화한 상태에서 채집하였다. 채집한 식물은 전초는 추출하여 17종의 폴리페놀 성분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꽃, 잎, 줄기, 뿌리를 분리하여 각 부위의 추출물로 DPPH, ABTS,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에 관한 실험을 진행하였던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리산에 자생하는 5종의 식물에 함유된 폴리페놀 성분은 총 13가지였으며 그중 가장 많은 검출된 물질의 총 함량은 산오이풀로 126.2ppm이었으며 주 물질은 ellagic acid(=ELA) 122.4ppm이었다. 2.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살펴본 결과 산오이풀의 꽃, 줄기, 뿌리에서 가장 좋았으며 다른 식물에서는 꽃 추출물에서 좋은 소거활성도를 나타냈다. 3. ABTS radical 소거활성도가 가장 높은 것은 산오이풀 꽃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13.5㎍/㎖에서였고, 뿌리 16.8㎍/㎖, 잎 22.6㎍/㎖ 순이었다. 그 외 다른 식물에서는 그렇게 큰 ABTS radical 소거활성능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전체적으로 꽃 추출물이 다른 부위인 잎과 뿌리 추출물보다 좋았다. 4.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가장 많은 것은 함박꽃나무는 잎에서는 161.4mg GAE/g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함박꽃나무의 뿌리와 배초향 뿌리에서 가장 많은 130.0mg GAE/g이었다. 또한 가장 낮은 것은 산오이풀로 나타났다. 5.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배초향의 뿌리로 186.2mg CAE/g, 꽃에서 166.9mg CAE/g, 잎에서 가장 낮은 116.1mg CAE/g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나타나듯 산오이풀은 항산화 효능도 우수하며 폴리페놀 성분의 함량도 많아 앞으로 화장품 산업에 충분히 이용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길경(桔梗)발효 추출물의 알레르기성 소양행동 억제효과연구 (Anti-pruritic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Platycodon grandiflorum and its fermented production in Scratching Behavior Mouse Models)

  • 하미애;김진우;이신우;전현식;조영손;신용욱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65-173
    • /
    • 2014
  • Objectives : Platycodon Root is frequently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o treat inflammatory diseases of the thro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effect of the EtOH extract of fermented Platycodon grandiflorum on the ameliorative effects on the Antipruritic Effect of atopic dermatitis mouse model induced by compound 48/80 and ovalbumin (OVA)-induced allergic responses in mice. Methods :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anti allergic effe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PR) and its fermented production (FPR) in several mouse model. We measured acute ear edema in a mouse model caused by TPA and consecutively histological change of Ear tissue was observed by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ing. and also Scratching behaviors by compound 48/80 was investigated. The levels of allergic mediators such as immunoglobulin (Ig) E, and anti-oxidant markers such as SOD and MDA in the sera of OVA induced allergic mice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ults : FPR inhibited compoud 48/80-induced scratching behavior in mice, as well as acetic acid-induced writhing in mice. The anti-scratching behavioral effect of FPR was more potent than PR. FPR extrac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erum levels of IgE and MDA compared with those of OVA control group.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ti allergic effe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is enhanced by fermentation with Saccharomyces cerevisae and FPR may be useful for protection from the itching reactions, which are IgE-mediated representative skin allergic diseases.

금앵자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3T3-L1 지방세포의 분화억제 효과와 그 메커니즘 규명 (Inhibitory Effects and Molecular Mechanism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Rosae laevigata Fructus Ethanol Extracs)

  • 정현영;정인교;남소연;윤희정;김병우;권현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9-97
    • /
    • 2016
  • 비만은 체내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일어나는 현상으로, 당뇨, 고혈압, 심혈관 질환 및 암과 같은 질병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RLE에 의해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 시, 세포 내 축적되는 Triglyceride 저해 및 발현되는 전사인자들의 발현양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RLE는 Oil Red O 염색에서 세포 내 triglyceride의 축적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C/EBP) ${\alpha}$, ${\beta}$와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PPAR{\gamma}$)과 같은 지방세포 분화 관련 전사인자들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RLE는 clonal expansion 단계의 지방세포를 G1기에서 세포 주기를 정지시켜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RLE 처리에 의해 p21의 증가, Cyclin E, Cdk2, Phospho-Rb의 발현 저해 등 G1 arrest 관련 단백질의 발현 변화가 유도되었다. 따라서, RLE는 분화 관련 전사인자들의 발현을 조절하고 지방세포 분화 초기에 G1기의 세포 주기 정지를 억제함으로써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한다고 사료된다.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에 따른 참나무 겨우살이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Properties of Oak Mistletoe (Loranthus yadoriki) Extracts by Microwave Extraction Condition)

  • 이혜진;도정룡;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2-78
    • /
    • 2011
  • 참나무 겨우살이의 생리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전자공여 작용, SOD 유사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 Tyrosinase 저해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추출용매의 비율에 따라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고, 특히 60% EtOH을 추출용매로 하여 25 mL/g의 비율로 추출한 실험구가 68.88%로 가장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냈다(p<0.05). SOD 유사활성 측정에서는 모든 추출물이 15.24-30.84%로 비교물질인 L-ascorbic acid 보다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p<0.05).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결과 참나무 겨우살이의 페놀 함량이 50.28-109.69 mg%로 나타났다. 추출조건에 따라 25 mL/g>50 mL/g>100 mL/g으로 농도가 높을수록 페놀함량도 유의적으로 높아졌고, 추출용매에 따라 물 추출물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아질산염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pH 1.2와 pH 3.0과 같은 산성조건에서 소거능이 모두 높았고, 추출용매와 상관없이 농도가 높은 추출구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다.

씀바귀 추출물이 LPS투여 흰쥐 및 Raw 264.7세포에서 전염증성 cytokines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xeris dentata extract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the LPS stimulated rat and Raw 264.7 cells)

  • 이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04-612
    • /
    • 2011
  • 씀바귀추출물이 LPS shock 염증반응에서 항염증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생체 및 세포배양실험에서 전염증성 cytokine들의 생성과 혈액 내 생물학적 수치를 조사했다. 그 결과 LPS 염증유도 rat에서 씀바귀 추출물은 혈액 내 전염증성 cytokines 들, 즉 IL-$1{\beta}$, IL-6 및 TNF-${\alpha}$의 생산을 저해하고, 한편으로는 IL-10의 생산을 촉진하였다. 간장 IL-$1{\beta}$ 및 IL-6의 농도는 씀바귀추출물 처리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TNF-${\alpha}$ 및 IL-10의 농도는 모든 처리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Raw 264.7 cell의 세포배양실험에서는 TNF-${\alpha}$의 농도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3개 cytokine 모두가 씀바귀 투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IL-10의 농도는 씀바귀 처리군 들 모두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액 내 total protein 및 albumin의 농도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씀바귀추출물 처리 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씀바귀 추출물에는 항염증반응에 관여하는 기능성물질이 내재하고 있음을 시사해 준다.

NF-${\kappa}B$ 조절(調節)을 통한 충울자(茺蔚子)의 염증억제효과 (Leonuri Fructus Ameliorates Acute Inflammation via the Inhibition of NF-${\kappa}B$-mediated Nitric Oxid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 박성규;제갈경환;정지윤;백영두;변성희;김영우;조일제;박상미;김상찬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8-185
    • /
    • 2014
  • Leonuri Fructus, a semen of Leonuri Herba,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menstrual disorders such as amenorrhea, dysmenorrhea and leukorrhea and for the remedy of hyperemia.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Leonuri Fructus extract (Leonurus japonicus Houtt. EtOH extract; LJE) in vivo and in vitro. In vitro study, the MTT assay for cell viabilit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non-cytotoxic concentration of LJE treatment in media. The levels of NO were measured with Griess reagent. Pro-inflammatory cytokines were detected by ELISA method. The inflammation-related proteins of this study were detected by immunoblot anlaysis. The increases of NO production and iNOS expression were detected in LPS-treated cells compared with control, but LJE attenuated the increases of NO and iNOS by LPS. LJE reduced the production of TNF-${\alpha}$ and IL-$1{\beta}$ induced by LPS stimulation. LJE suppresses the signaling pathways of NF-${\kappa}B$ and MAPKs in LPS-induced macrophage cells. In vivo study, carrageenan-induced hind paw acute edematous inflammation rat model was used for evaluation of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LJE. LJ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increases of hind paw swelling, skin thicknesses an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s, and decreased the numbers of mast cell induced by carrageenan inje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LJE has an anti-inflammatory therapeutic potential, which is mediated through modulating NF-${\kappa}B$ activation and MAPK phosphorylation. Inhibition of the rat paw edema induced by carrageenan is considered as direct evidence that LJE may be a useful source to treat inflammation.

후박나무에서 분리한 Meso-dihydroguaiaretic acid의 tyrosinase 저해활성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Meso-dihydroguaiaretic Acid from Machilus thunbergii)

  • 권현숙;이경동;김수철;조수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1호
    • /
    • pp.1298-1303
    • /
    • 2015
  • 후박나무(녹나무과)는 한국과 일본 등지에 서식하는 상록 교목으로 한국, 중국, 일본에서 부종, 복통, 복부 팽만 등의 질병 치료를 위해 오랫동안 사용되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후박나무 껍질을 메탄올에 추출하고 메탄올 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포름, 부탄올에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클로로포름 분획물로부터 2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화합물1과 2의 구조는 1H-, 13C-NMR과 참고 문헌 데이터에 의해 dibenzylbutane lignin 화합물인 macelignan (1)과 meso-dihydroguaiaretic acid (2)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화합물들의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화합물 2는 tyrosinase 저해 활성 중 monophenolase (IC50 = 10.2 μM)에 대해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경쟁적 저해제였으며 효소에 결합하는 화합물 2의 저해 상수(Ki 값)는 4.8 μM였다. 따라서 meso-dihydroguaiaretic acid (2)는 멜라닌 생합성과 관련된 피부 질환 치료를 위한 잠재적 후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길경, 황기와 오미자 혼합추출물의 NO 억제활성과 Hyaluronidase 억제활성 효과 (Inhibit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and Hyaluronidase Activities from the Combined Extra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Astragalus membranaceus, and Schisandra chinensis)

  • 강창호;곽대영;소재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44-85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천연식물자원으로부터 항염증, 항산화 및 항관절염에 활성을 갖는 유용한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문헌 조사 및 기존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선정된 53가지의 생약재로부터 NO와 HAse(hyaluronidase)의 억제활성 여부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억제효과가 우수하다고 확인된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와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길경(Platycodon grandiflorum)을 최종 시료로 선정하였고, 이를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유효성분의 항염증 및 항산화 효능에 대한 상승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혼합추출물의 최적조건을 확인하였다. 각 소재들을 1:2:1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에서 다양한 추출조건에 따라 단일 생약재 추출물에 비해 2배에서 4배까지의 수율 증가를 보였으며, NO 억제활성 효과도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율과 NO 억제활성을 고려할 경우 혼합추출물의 최적 추출 조건은 황기, 오미자, 길경의 혼합비율 1:2:1, 추출시간 12시간, 추출온도 $30^{\circ}C$, 혼합 속도 50 rpm, 추출용매로 ethyl acetate이었다. 위의 최적 조건을 적용한 혼합추출물은 HAse 저해 활성 실험에서 최초 추출물(not grinded, 95% EtOH, 24시간, 실온, 0 rpm)보다 약 16% 정도의 저해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길경과 황기, 오미자의 상승작용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를 통해 황기와 오미자, 길경의 혼합추출물이 항염증, 항산화 및 항관절염에 활성을 갖는 유용한 물질로 사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한국의 양식넙치에서 분리한 Tenacibaculum maritimum의 특성과 자생식물 추출물에 대한 감수성 (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enacibaculum maritimum isolated from cultured olive flounder in Korea and sensitivity against native plant extracts)

  • 장영환;정준범;여인규;김기영;;허문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3-65
    • /
    • 2009
  • Tenacibaculum maritimum (formerly Flexibacter maritimus)은 tenacibaculosis라 불리며, 해산어에서 궤양 및 괴사성 증상을 나타내는 질병원인체 이다. Tenacibaculosis는 다양한 양식 어종에서 있어서 경제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질병 중 하나이며, 피부, 입, 지느러미, 꼬리 등과 같은 어체 표면에 심각한 궤양과 괴사로 인한 손상을 유발시 킨다. 본 연구에서는 tenacibaculosis의 증상을 나타내는 넙치 병어로부터 A-7 균주를 분리하였고, 형태학적 특성, 생화학적 성상 및 유전자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T. maritimum으로 동정하였으며, 침지법을 통하여 넙치에 인위적으로 감염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enacibaculosis를 제어하기 위해 약욕에 의한 항생제 투여가 많이 이루어지며, 그 중 oxytetracycline이 주로 사용되고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양식어민과 소비자들은항생제 잔류와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우려하고있으며, 비싼 항생제의 사용으로 인하여 양식어의 생산 비용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천연 자생식물 추출물을 항생제 대체제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35 종류의 천연식물의 항균 활성을 검색하였고, 많은 천연식물 추출물이 T. maritimum에 대하여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밝혔다.

산수유를 포함한 복합추출물이 cimetidine으로 발기부전을 유도한 동물모델에서 성기능 개선 효과 (Effect of Complex Extract Including Cornus officinalis on the Cimetidine/Ethanol-induced Erectile Dysfunction Model in Rats)

  • 장지훈;김태묵;심미옥;노종현;정호경;이무진;이기호;안병관;조현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09-116
    • /
    • 2018
  • 발기부전(erectile dysfunction, impotence)은 성교과정을 위한 음경이 딱딱하게 발기되지 않거나 유지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잦은 발기 부전은 심장 질환, 비만, 알코올 중독, 스트레스, 흡연 및 우울증을 비롯하여 치료가 필요한 건강상의 문제가 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산수유(Cornus officinalis)를 포함한 복합 추출물이 발기부전 랫드모델에서 성기능과 관련된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발기부전 랫드모델은 Cimetidine/5% EtOH를 2주 동안 경구투여하여 유도한 후, 산수유 등 복합추출물을 각각 다른 농도로 경구투여하였다. 그 결과, 산수유 등 복합추출물 처리군(CPL-300, 600, 900 mg/kg)에서 성 기능 인자(NO, cGMP)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향상되었다. 또한 혈청 테스토스테론은 산수유 등 복합추출물 처리 후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더욱이, 산수유 등 복합추출물의 투여는 발기부전 랫드모델에서 전립선의 크기를 회복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를 종합하자면 산수유 등 복합추출물이 랫드모델에서 성기능 인자와 테스토스테론을 증가시킴으로써 발기부전을 완화시킨다는 것을 보여 주었고, 이는 산수유 등 복합추출물이 천연 추출물로 향 후 발기부전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산수유 복합추출물의 남성 성기능의 직접적인 연관관계, 유효성분과 그 메커니즘을 자세히 밝히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