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OAc fraction

검색결과 475건 처리시간 0.024초

용규(Solanum nigrum)에서 HT29 세포에 대한 신규 항암 활성 단일 물질 분리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Novel Anticancer Compound from Solanum nigrum)

  • 윤희정;정종헌;현숙경;김병우;권현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4-241
    • /
    • 2014
  • 용규(Solanum nigrum)에 함유된 여러 성분 중 항암 활성이 있는 물질을 분리 및 규명하고자 용규를 MeOH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CH_2Cl_2$, EtOAc, n-BuOH, $H_2O$로 유기용매 계통분획 하였다. 이 분획물 중 $H_2O$ 획분이 가장 뛰어난 세포 독성 효과를 보였으며 이를 다시 용매별($H_2O$, 40% MeOH, 60% MeOH, MeOH)로 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하여 4개의 fraction으로 나누었다. 이 fraction 중 $H_2O$ fraction에서 가장 뛰어난 세포 독성효과를 보였으며 몇 차례의 column chromatography를 행하여 얻어진 활성 획분을 GC-MS 및 FAB-MS 분석하였다. 분자량이 416이었으며 GC-Mass를 통하여 library search를 행한 결과 분자식 $C_{28}H_{48}O_2$인 Des-N-26-methylenedihydrotomatidine으로 확인되었다. Des-N-26-methylene-dihydrotomatidine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tomatine과 tomatidine의 HT29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효과를 확인한 결과, tomatine보다는 활성이 낮았으나 tomatidine 보다는 40 ${\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높은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Des-N-26-methylene-dihydrotomatidine은 지금까지 학계에 보고되어 있지 않은 물질로, 본 연구에서 최초로 용규에서 Des-N-26-methylene-dihydrotomatidine을 분리하였고, 암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효과를 보고하였다. Des-N-26-methylene-dihydrotomatidine의 정상세포에서의 세포 독성 및 작용 기전 등의 추가 연구를 통해 천연 생리 활성 물질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김치 용매획분이 고 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토끼의 심장, 신장 및 폐의 항산화 효소계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imchi Solvent Fractions o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of Heart, Kidney and Lung of Rabbit Fed a High Cholesterol Diet)

  • 전혜년;김현주;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50-255
    • /
    • 2003
  • 김치의 용매획분중 in vitro에서 LDL 산화억제 활성이 강했고 in vivo에서 지질저하효과가 있었던 디클로로메탄 획분, 에틸아세테이트 획분, 수용성 획분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토끼의 심장, 신장, 그리고 폐에서 항산화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과산화물 함량은 심장이 가장 높고 신장이 가장 낮았으나, catalase와 GSBf-px활성은 심장이 낮았고, 신장은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Catalase, GSH-px 및 SOD의 활성은 모든 장기에서 1% 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대조군에 비해 김치 용매획분군에서 낮았고 특히 디클로로메탄 획분군의 항산화효소 활성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이러한 결과는 김치 용매획분은 심장 신장 그리고 폐에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고, 그로 인해 지질 유리기의 생성이 적어, 각 장기에서 유리기를 제거하는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한약재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edicinal Herbs Against Escherichia coli)

  • 장형수;최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93-300
    • /
    • 2007
  • 10종의 한약재 MeOH 추출물과 EtOH 추출물의 E. coli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소목과 오배자의 MeOH 추출물과 EtOH 추출물은 5 mg/ml 수준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목단피와 황금등은 10 mg/ml 이상에서 항균성을 보였다. 최소저해농도는 MeOH 추출물에서는 $1.4{\sim}8mg/ml$, EtOH 추출물에서는 $1.2{\sim}12mg/ml$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분획층 중 EtOAc층에서 성장억제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균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소목과 오배자 추출물의 미생물 증식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증식배지에 각각의 추출물을 0, 100, 300 및 500 ppm의 농도로 첨가하여 균주의 증식을 조사 한 결과 배양 후 24시간에 소목 추출물 무첨가구의 $OD_{620}$값이 0.6인 반면 300ppm 이상의 추출물 첨가 시 $0.02{\sim}0.1$정도로 균증식이 현저히 억제되었고, 오배자 추출물 무첨가구의 $OD_{620}$값이 0.5인 반면 500ppm 이상의 추출물 첨가 시 $0.02{\sim}0.2$정도로 균증식이 현저히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질병을 일으키는 E. coli의 감염을 예방하거나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한약재 추출물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천년초 뿌리의 항산화 및 염증 매게 물질 조절 효과 (Antioxidant and Inflammatory Mediators Regulation Effects of the Roots of Opuntia humifusa)

  • 김예진;박찬익;김수진;안은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1호
    • /
    • pp.1-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천년초 분획물에 따른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고자 80% MeOH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EtOAc Fr., n-BuOH Fr. 및 $H_2O$ Fr. 로 용매 분획하였다. 각 분획물에 대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및 ABTS radical scavenging 방법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모든 분획에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고, 그 중 OHRE 분획은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179.3 mg/g)을 나타내었고, $IC_{50}$ 값이 DPPH는 $77.0{\pm}1.38{\mu}g/mL$, ABTS는 $26.3{\pm}2.02{\mu}g/mL$으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염증 효과는 PMACI로 HMC-1 cells에 염증을 유발시킨 뒤 천년초 뿌리 분획물을 처리하여 TNF-$\acute{\alpha}$를 비롯해 IL-$1{\beta}$, IL-6, IL-8등의 염증 매게 물질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천년초 뿌리는 높은 항산화 활성과 및 염증 매게 물질의 생성을 억제하는 우수한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_{AILI}$.) 열매로부터 항경련 활성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Anticonvulsant Compounds from the Fruits of Schizandra chinensis$B_{AILI}$)

  • 한재택;안은미;박진규;조성우;전성규;장중식;김중권;최수영;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1호
    • /
    • pp.72-77
    • /
    • 2000
  • 항경련 활성을 보인 오미자의 열매로부터 활성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MeOH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분배, 추출하였다. 얻어진 각 분획에 대하여 중추 신경계에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알려진 ${\gamma}-aminobutyric$ acid(GABA)의 대사조절효소들인 succinic semialdehyde reductase (SSAR) 및 succinic semi-aldehyde dehydrogenase(SSADH)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활성 억제효과를 나타낸 EtOAc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column comatography를 반복하여 sesquiterpene 및 sterol 배당체 각 1종, lignan화합물 4종을 분리, 정제하였다. 각각의 화학구조는 NMR, MS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chamigrenal, daucosterol, gomisin A, gomisin H, gomisin N 및 schizandrin으로 동정하였다. 각 화합물에 대하여 활성을 측정한 결과, schizandrin을 SSADH와 1시간 전처리하였을 때 효소의 활성은 65% 억제되었으며, daucosterol의 경우에는 같은 조건에서 SSAR의 활성을 80% 억제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홍경천 추출물의 항산화성, 항돌연변이성 및 세포독성 효과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Rhodiola sachalinensis Extract)

  • 최승필;이득식;함승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1-216
    • /
    • 2003
  • 홍경천 뿌리의 에탄을 추출물과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14.3 $\mu\textrm{g}$/DL의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직접 변이원인 MNNG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에서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해 홍경천 뿌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2000g/p1ale)에서 다른 분획물보다 높은 89.1%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4NQO에서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S. typhimurium TA98 균주와 TA100균주에 대해서 동일 시료농도에서 각각 89.7%와 91.5% 로 다른 분획물보다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B( u )P에 대한 억 제효과에서는 TA98, TA100 두 균주에 대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각각 94.2%와 95.7%로 다른 분획물 보다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Tn-P-1에 대해서 는 두 균주가 각각 92.3%와 93.8%로 다른 분획물 보다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암세포 성장억 제 효과를 검토한 실험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시료농도의 증가와 함께 억제활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시료농도 1 mg/CL에서 A549가 90.5%, HepG2가 81.5%, AGS가 92..2% 그리고 MCF-7이 82.6%의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제주 자생 물사과 가지 유래 Flavonoid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for the Flavonoids of the Syzygium aqueum Burm.f. Alston Branches from Jeju Island)

  • 염현숙;이남호;현주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51-15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물사과 가지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과 세포보호효과를 검색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규명하였다. 물사과 가지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에서 우수한 라디칼 소거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H_2O_2$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 대한 세포보호효과를 확인한 결과, $20{\mu}g/mL$의 농도에서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보호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이 좋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유효성분을 찾고자 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MPLC)를 실시하여 2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1H$$^{13}C$ NMR 데이터 분석 및 문헌 비교를 통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pinocembrin (1), desmethoxymatteucinol (2).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화합물 1, 2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우수한 라디칼 소거 활성이 나타났다. $100{\mu}M$의 농도에서 화합물 1, 2는 $H_2O_2$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하여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물사과 가지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 소재로써 활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코스모스(Cosmos bipinnatus) 꽃으로부터 phenolic 화합물의 분리 동정과 항아토피 효과 (Phenolic compounds from the flowers of Cosmos bipinnatus and their anti-atopic activity)

  • 전형주;김형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3호
    • /
    • pp.215-219
    • /
    • 2022
  • 코스모스 꽃을 MeOH : H2O = 4 : 1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water로 용매 분획 하였다. 이 중 n-BuOH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SiO2)과 octadecyl silica gel(ODS)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2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NMR, MS 및 IR 등의 스텍트럼 데이터를 통해 화합물의 화학구조를 benzyl O-β-ᴅ-glucopyranoside (1)와 and 2-phenylethyl O-β-ᴅ-glucopyranoside (2)로 동정하였다. 분리한 두 화합물의 자외선(UVB)으로 광노화가 유도된 HaCaT 세포주를 이용한 항아토피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1-1,000 ㎍/mL의 농도범위에서 2종의 화합물에서 모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TARC생성억제활성을 통한 항아토피 활성결과에서는 2종의 화합물에서 모두 농도의존적인 TARC 억제활성이 나타났지만, 특히 화합물 1에서 낮은 농도범위인 10 ㎍/mL에서도 유의적인 활성이 나타났으며, 다른 농도범위에서도 타 화합물에 비해 억제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항아토피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민들레의 Monoamine Oxidase 저해활성 (The Inhibitory Activity of the Taraxacum mongolicum on Monoamine Oxidase)

  • 황금희;박태규
    • 생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29-234
    • /
    • 2006
  • We examined the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monoamine oxidase (MAO) of Taraxacum mongolicum in vitro and in vivo methods. Methanol extract of T. mongolicum showed significantly inhibitory activities on MAO-A and MAOB that were prepared from rat brain and liver in vitro. MAO-A and MAO-B activities were potently inhibited by chloroform fraction of T. mongolicum in vitro tests. The $IC_{50}$ values of each fraction on MAO-A are as followed; methanol extracts (0.90 mg/ml), $CHCl_3$ fraction (0.10 mg/ml), EtOAc fraction (0.36 mg/ml). and those on MAO-B are methanol extracts $(0.39{\mu}g/ml)$, $CHCl_3$ fraction $(0.18{\mu}g/ml)$, BuOH fraction $(0.22{\mu}g/ml)$. Those MAO-A and MAO-B activities in vivo tests have different tendency each other. MAO-A activity was increased by the oral administration of ethanol extract of T mon golicum, while MAO-B activity was decreased. The concentration of serotonin of brain tissue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ethanolic extract of T. mongolicum is slightly increased in rat. This tendency is not different from the activity of deprenyl which is the well known MAO inhibitor used as a positive control.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suggest that T. mongolicum may have the effects on the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MAO. Thess activities of T. mongolicum is considerable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treatment and control of depressant, dementia, Parkinson' disease, stress and promoting exercise.

문주란 추출물의 HL-60 백혈병 세포 Apoptosis 유도 효과 (Apoptosis Induction of HL-60 Leukemia Cells by Extract of Crinum asiaticum)

  • 현재희;김엘비라;강정일;김상철;유은숙;강희경
    • 약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6
    • /
    • 2008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Crnum asiaticum var. japonicum against HL-60 human leukemia cells. The 80% MeOH extract or several solvent fractions from the C. asiaticum inhibited the growth of HL-60 cells, whereas the growth of HEL-299 cells, human embryonic lung fibroblast, was scarcely inhibited. When the HL-60 cells were treated with the $CHCl_3$ fraction, the BuOH fraction, the EtOAc fraction and the $H_2O$ fraction, DNA ladder, chromatin condensation and increase of sub-G1 hypodiploid cells were observed. Furthermore, the $CHCl_3$ fraction and the BuOH fraction reduced Bc1-2 mRNA level, whereas Bax mRNA level was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hibitory effect of C. asiaticum on the growth of the HL-60 cell might be mediated through the induction of apoptosis via the down-regulation of Bc1-2. Taken together, components of C. asiaticum might have a therapeutic potential for the treatment of human leukem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