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rogenic Activity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3초

광분해 반응에 의한 비스페놀 A의 에스트로겐 활성 저감에 미치는 방류수 유기물질의 영향 (Effect of Effluent Organic Matters on Estrogenic Activity Reduction of Bisphenol A by Photolysis)

  • 유지수;나주림;정진호
    • 환경생물
    • /
    • 제34권1호
    • /
    • pp.48-55
    • /
    • 2016
  • 본 연구는 자외선 광분해에 의한 비스페놀 A (BPA)의 에스트로겐 활성 저감에 미치는 하수처리장 방류수 유기물질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류수 유기물질과 표준으로 사용한 스와니강 자연 유기물질은 극성에 따라 소수성, 반친수성, 친수성 분획으로 분리하였다. 특이 자외선 흡수 (SUVA) 분석 결과, 방류수 유기물질은 높는 소수성을 가지고 있는 자연 유기물질과 다르게 소수성이 낮은 미생물 기원 유기물질과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3시간의 자외선 조사는 방류수 및 자연 유기물질의 극성에 따라 SUVA 값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p<0.0001). 유기물질이 없는 조건에서, BPA($5.0{\times}10^{-5}M$)의 상대 에스트로겐 활성도는 자외선 광분해에 의해 86%에서 63%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유기물질이 있는 조건에서 상대 에스트로겐 활성도는 평균적으로 68%에서 37%로 감소하였으며, 유기물질의 종류 (방류수 또는 자연유기물질) 및 극성 (소수성, 반친수성, 친수성)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0.05). 결과적으로, 유기물질이 있고 없는 조건에서 자외선 광분해에 의해 감소한 BPA의 상대 에스트로겐 활성도는 각각 31%와 23%였으며, 이것은 방류수와 자연 유기물질 모두 광분해에 의한 BPA의 에스트로겐 활성 저감을 촉진시킨다는 것을 제시한다.

파일럿 규모의 하수 처리 공정별 E-screen Assay에 의한 에스트로겐 활성과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농도 평가 (Estimation of Estrogenic Activity by E-screen Assay and Stepwise Analysis of Endocrine Disruptors in Pilot Sewage Treatment Plant)

  • 이지호;박종열;나진성;;이병천;김상돈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697-703
    • /
    • 2006
  • 물 재이용 목적으로 설계한 pilot scale의 하수 처리공정에서 배출되는 방류수 중 내분비계 장애물질을 GC/MS로 분석하였고, 처리 공정별로 제거율을 비교하였다. 각 처리 공정별 방류수에서 nonylphenol이 주로 검출되었고, 평균 $0.36{\sim}0.94$ ${\mu}g/L$으로 높게 검출되었으나, E2와 EE2는 처리수에서 정량 이하로 검출되었다. 내분비계 장애물질은 처리 공정별로 $50{\sim}100%$의 제거율을 보여주었다. E-screen assay에 의해 얻어진 양-반응 곡선에서 E2의 EC50값은 $9.0{\times}10^{-3}$ M로 bisphenol A와 p-octylphenol의 EC50값인 $2.736{\times}10^{-5}$ M, $9.760{\times}10^{-6}$ M에 비해 매우 높았다. 이는 알킬페놀류가 E2에 대한 상대적인 에스트로겐 활성도가 매우 낮음을 보여주었다. 환경 호르몬 농도와 이 물질의 상대적인 에스트로겐 활성도에 근거하여 계산된 에스트로겐 활성도(ng-EEQ/L)는 E-screen assay에 의해 실측한 총 에스트로겐 활성도(ng-EEQ/L)에 비해 평균 2배의 높은 활성도를 보여 주었다. 각 처리 공정별 방류수의 에스트로겐 활성도는 1 ng-EEQ/L 이하의 매우 낮은 활성도를 보여주었다.

하수처리장의 내분비계장애물질에 대한 Yeast Two-hybrid Assay와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에 의한 에스트로겐활성도 평가 (Evaluation of the Estrogenic Activity by Yeast Two-hybrid Assay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in Sewage Treatment Plant)

  • 이병천;나진성;김상돈;;이철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771-777
    • /
    • 2007
  • 가정계열과 공단계열로 분리하여 처리되는 하수처리장에서 에스트로겐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yeast two-hybrid assay와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를 이용하여 내분비계장애물질의 농도와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가정계열 유입수 중에서 estrone (E1), 17$\beta$-estradiol(E2), 17$\alpha$-ethinylestradiol(EE2) 그리고 APE의 농도는 각각 최대 167.1, 39.7, 7.3, 145.4 ng/L까지 검출되었다.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처리로, 17$\beta$-estradiol의 평균제거율은 77.5%, 고도처리 공정인 모래여과와 오존산화를 거친 후에는 80.8%까지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Yeast two-hybrid assay로 각 내분비계장애물질의 농도-반응곡선으로부터 반응식을 구하여, 에스트로겐 활성에 미치는 각 물질의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가정계의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처리수에서 estrone, 17$\beta$-estradiol 17$\alpha$-ethinylestradiol, APE 가 각각 70.7, 23.3, 3.7, 2.32%로 나타났다. 즉,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통해 배출된 처리수의 에스트로겐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기여물질은 estrone과 17$\beta$-estradiol인 것으로 나타났다.

바위수염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및 에스트라디올 활성 평가 (Inhibitory Effect of Osteoclastogenesis and Estradiol Activity of Myelophycus simplex Extract)

  • 하현주;임형진;김민경;박선경;노문철;정선희;이승재;이상훈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5-80
    • /
    • 2020
  • In the present study, the estrogenic activity and anti-osteoclastogenic activity of the Myelophycus simplex extract were evaluated using T47D-Kbluc cells and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BMMs).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the estrogenic activity in the T47D-Kbluc cell line, the Myelophycus simplex extract showed increased estrogenic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ssociation with its concentration. To confirm the regulatory effect of the Myelophycus simplex extract on the estrogen-responsive gene, the Myelophycus simplex extract showed a similar tendency to estradiol: the expression of estrogen receptor 1 (ESR1)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the expression of estrogen receptor 2 (ESR2) was increased. Furthermore, the Myelophycus simplex extract exhibited an inhibitory effect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 conclusion, these Myelophycus simplex extracts might be regarded as candidates for further studies 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products or medicine to prevent or avoid postmenopausal symptoms for women.

산업폐수처리장 방류수의 내분비계 장애작용 평가 (Endocrine Disrupting Effects of the Industrial Wastewater Effluents Discharged from the Treatment Plant)

  • 오승민;김기서;유병택;장형석;이희성;정규혁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9권4호
    • /
    • pp.375-382
    • /
    • 2004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potential endocrine disrupting effects of several industrial wastewater effluents discharged from cosmetic, plaiting, paint, textile industry using EROD bioassay and E-Screen assay. The results of E-screen assay showed that textile industrial wastewater could act as a full agonist and cosmetics and plaiting industrial wastewater could act as a partial agonist. On the contrary, the wastewater discharged from paint industry did not show any estrogenic effect. Estrogenic activity in the effluents of cosmetic and paint industrial wastewater was lower than that in the influents indicating that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minimized the effects of discharges on water quality. Despite of these results, it was recognized that wastewater treatment was not always minimize toxic impact. In this study, increased estrogenic effect was observed in the effluents of plating and textile wastewater, and EROD activity was increased in the effluents of cosmetic and plating wastewater.

Molecular Effects of Genistein on Proliferation and Apoptosis of MCF-7 Cell Line

  • Shin, Hye-Jin;Oh, Young-Jin;Hwang, Seung-Yong;Yoo, Young-Sook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2권1호
    • /
    • pp.15-20
    • /
    • 2006
  • Genistein is a potent, plant-derived isoflavone that displays estrogenic activity at low concentrations but inhibits proliferation at high amounts.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 of genistein is not completely understood. In the present study, the biphasic effects (estrogenic and antiestrogenic activity) of genistein on the growth of MCF-7 cells were identified. Genistein within a low range of concentration, $1-10\;{\mu}M$, stimulated proliferation, while $50-100\;{\mu}M$ caused apoptotic cell death. Additionally, genistein at a low concentration induced estrogen receptor (ER)-mediated gene expression and ER phosphorylation. When pre-treated with PD98059, an MEK inhibitor, ER-mediated gene expression and ER phosphorylation by genistein were noticeably increased. However, the increased gene expression and phosphorylation did not enhance cell proliferation. Moreover, it was observed that ER-mediated signaling performs an important role in the MAPK pathway. The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genistein-treated MCF-7 cells were partially dependent on the Bcl-2 level. The addition of IC1 182, 780, an estrogen receptor antagonist, inhibited Bcl-2 expression induced by genistei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Bcl-2 and the ER signaling pathways in MCF-7 cells.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다이드제인의 파이토에스트로겐 효과 (The Phytoestrogenic Effect of Daidzein in Human Dermal Fibroblasts)

  • 김미선;홍찬영;이상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79-287
    • /
    • 2014
  • 폐경 이후 여성에서 발생되는 에스트로겐의 감소는 피부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피부의 정상적 상태와 기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지난 10여 년간 보고된 많은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에스트로겐은 폐경 이후 여성의 피부에서 콜라겐 감소를 막아주고, 탄력을 회복시키며, 건조한 피부를 개선시키는 등의 피부 안티에이징 효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구조로 인해 파이토에스트로겐이라 알려진 이소플라본은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피부 손상을 보호하는 기작이 널리 알려져 왔으나 피부세포에서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안티에이징 효능을 가지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콩류 등에 많이 함유된 이소플라본인 다이드제인이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활성 및 효능을 가지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에스트로겐 수용체와의 결합을 통한 transcriptional activity에 미치는 효과를 luciferase assay를 통해 살펴본 결과, 다이드제인은 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estrogen receptor-dependent transcriptional activity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다음으로 사람의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다이드제인이 세포외 기질단백질 성분들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다이드제인은 콜라겐 타입 I, 콜라겐 타입 IV, 엘라스틴 및 피브릴린-1의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든 실험조건에서 에스트로겐 단독 효능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다이드제인은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효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이드제인은 기존에 알려진 이소플라본의 광보호 효능과 더불어 파이토에스트로겐 효능을 가짐으로써 갱년기 여성의 피부 안티에이징을 위해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제안한다.

에스트로겐성 물질에 의해 자극된 인간 유방암 세포 증식에 대한 다이드제인, 바이칼레인, 헤스페리딘 및 우르솔산의 억제 효과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Daidzein, Baicalein, Hesperidin and Ursolic Acid on Human Breast Cancer Cells Stimulated by Estrogenic Compounds)

  • 이미남;이수열;이현재;석정호;이충재
    • 약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68-173
    • /
    • 2010
  • We investigated whether three flavonoids including daidzein, baicalein, hesperidin and ursolic acid, a triterpene acid, affect proliferation of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stimulated by estrogenic compounds. Ursolic acid and baicalein inhibited proliferation of MCF-7 cells induced by PhIP, a food-derived carcinogen with estrogenic activity. Daidzein and hesperidin inhibited estradiol-induced proliferation of MCF-7 cells. These compounds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for the possible involvement in signaling pathway after estrogen receptor binding in breast cancer cells.

Bisphenol-A as Endocrine Disruptor Released from Lacquer Coating in Food Cans

  • Beung Ho, Ryu
    • Journal of Life Science
    • /
    • 제9권2호
    • /
    • pp.19-23
    • /
    • 1999
  • Bisphenol-A and related conpounds recently have been reported to be estrogenic since it has been demonstrared in laboratory stuides that they mimic the effects of estrogen. Bisphenol-A refered to as "environmental estrogen" are suspected of causing health effect in living body through disruption of endocdrine system. In this review, the occurrence, environmental fate, and biological effects of bisphenol-A are presented. To provide understanding to the potential for endocrine disruption due to environmental estrogen, the physiology of bisphenol-A mammalian and fish is also reviewed. For empty can, the migrationof bisphenol-A form food conducted epoxy coating was effected by the test conditions and it increased in order to water and 4% acetic acid. Extracts from foods packed in lacquer coated can also showed estrogenic activity. Bisphenol-A was found as a contaminant not only in the liquid food cans, but also in water autoclave in can. The used of coating certain food-packaging material may require closer scrutiny to determine when bisphenol-A contribute to advert exposure of consumers to estrogenic xenobiotics. Human breast cancer MCF cell added bisphenol-A cultivated to study the ability of bisphenol-A to elicit of bisphenol-A estrogenic bioresponse in this system. Bisphenol-A, similar to estradiol, induced PR activation in transiently transfected anterior and posterior pituitary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