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cape Duration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4초

Fundamental Research for Escape Guidance System Development of Passenger Ship

  • Ryu, Eun-Gyeong;Yang, Chan-Su;Choi, Jang-Wo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39-46
    • /
    • 2017
  • This study represents a fundamental research for a passenger-ship escape guidance system that is a ship-borne agent, and it is for the support of escape decision-making by providing accurate maritime safety information in real time. We conducted a passenger escaping experiment on a training ship, SAEYUDAL, using the situation-aware escape guidance system, which has been developed for on-board application based on products for buildings. It is shown that the system contributes to the shortening of the escape duration and the dispersion of the escaping persons by generating and guiding the safe escape routes which dangerous areas are considered. From the experiment on ship's heeling condition, it is revealed that the heeling angle is linearly related to the escape duration.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the shortening of the escape duration enables a safe and rapid mustering that is the most important process under emergency and appropriate incident responses to minimize loss of lives.

Behavioral and cardiac responses in mature horses exposed to a novel object

  • Lee, Kyung Eun;Kim, Joon Gyu;Lee, Hang;Kim, Byung Su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3호
    • /
    • pp.651-661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breed, sex, and age affected temperament differently (more or less neophobic) in mature horses during a novel object test. The study included Jeju crossbred (n = 12, age = 9.42 ± 4.57 y), Thoroughbred (n = 15, age = 10.73 ± 3.09 y), and Warmblood horses (n = 12, age = 13.08 ± 3.55 y) with the females (n = 22, age = 11.36 ± 4.24 y) and geldings (n = 17, age = 10.65 ± 3.66 y). Jeju crossbreds (Jeju horse × Thoroughbred) are valuable considering their popular usage in Korea, but limited studies have explored temperament of Jeju crossbred horses. A trained experimenter touched the left side of the neck with a white plastic bag (novel object). The test ended when the horse stopped escape response and heart rate (HR) dropped to baseline. Behavioral score and escape duration were measured as behavioral variables. Multiple variables related to HR a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were measured to reflect emotional state. These included basal HR (BHR), maximum HR (MHR), delay to reach maximum heart rate (Time to MHR), standard deviation of beat-to-beat intervals (SDNN), root mean square of successive differences (RMSSD), and ratio of low to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a continuous series of heartbeats (LF/HF). Statistics revealed that Thoroughbreds had significantly higher behavioral scores, and lower RMSSD than Jeju crossbreds (p < 0.05), suggesting greater excitement and fear to the novel object in Thoroughbreds. None of the behavioral or cardiac parameters exhibited sex differences (p < 0.05). Ag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DNN and RMSSD (p < 0.05), indicating that older horses felt more anxiety to the novelty than younger horses. Thoroughbreds and females had distinct correlations between behavioral and HRV variables in comparison with other groups (p < 0.05), implying that escape duration might be a good indicator of stress, especially in these two group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improve equine welfare, safety and utility, by providing insights into the temperament of particular horse groups, to better match reactivity levels with specific functions.

새앙쥐 강제수영시 부동자세 시간에 대한 Central postsynaptic ${\alpha}_2$-Adrenoceptor의 역할에 대한 연구 (The Role of Central Postsynaptic ${\alpha}_2$-Adrenoceptor on the Immobility Duration in the Forced-swimming Test Mice)

  • 임병용;김상곤;이원식;홍기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0-98
    • /
    • 1985
  • 새앙쥐 강제수영 실험에서 부동자세 시간의 단축은 향주도성 행동의 항진이라는 본능적 충동의 유발이라는 가정 아래 중추 noradrenaline neuron에 있어서 ${\alpha}_1$- 및 ${\alpha}_2$-adrenoceptor의 역할과 관련지어 이 실험을 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새앙쥐를 이용한 강제수영 실험에서 부동자세 시간은 clonidine 및 guanabenz 등과 같은 ${\alpha}_2$-agonists에 의하여 용량에 의존하여 단축되었다. B-HT 933 및 oxymetazoline은 용량에 의존하지 않으나 단축시켰다. xylazine에의하여는 오히려 증가되었다. 2.${\alpha}_1$-Agonists 인 cirazoline, amidephrine 및 methoxamine은 부동자세 시간에 일관성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였다. 3. Clonidine과guanabenz에 의한 부동자세 시간의 단축은 ${\alpha}_2$-antagonists, yohimbine, idazoxan 및 phentolamine 전처치로 봉쇄되었으나 ${\alpha}_1$-antagonists, prazosin 및 corynanthine에 의하여는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4, d-Amphetamine 투여시 부동자세 시간은 용량에 비례하여 단축되었고, 이러한 단축효과는 yohimbine에 의하여는 길항되었으나 prazosin에 의하여는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5. ${\alpha}$-methyl-p-tyrosine 이나 reserpine 또는 두 약물을 동시에 전처치 하였을때 clonidine에 의한 부동자세 시간의 단축은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6. Desipramine 및 imipramine 같은 항우울제를 장기처치 또는 장기간 저기충격 요법을 가한 새앙쥐에서도 clonidine의 효과는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새앙쥐의 강제수영 실험에서의 부동자세 시간의 변동은 중추내 noradrenergic neuron의 postsynaptic ${\alpha}_2$-adrenoceptor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시사되며 이러한 ${\alpha}_2$-agonists에 의하여 항진되는 escape-directed behavior는 자기보호를 위한 일종의 충동의 유발로 인한 행동으로 사료된다.

  • PDF

장애인의 실업탈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on the Unemployment Hazard Rate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 남정휘;최영
    • 재활복지
    • /
    • 제17권4호
    • /
    • pp.127-149
    • /
    • 2013
  • 본 연구는 실업의 장기화, 장애차별현상 등 장애인노동시장 문제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장애차별변수를 활용하여 장애인의 실업탈출과 이와 관련된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의 3차~5차의 자료를 활용하여 자료를 구성하고 실업탈출(취업)과 관련하여 사건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업기간에 따른 실업탈출가능성의 변화를 생명표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최장 실업기간(25개월)까지 실업상태로 남아 있는 비율은 90.5%이고, 노동시장에 진입한 비율은 9.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실업유지율은 매우 높게 나타났고, 실업탈출 가능성은 12개월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업탈출에 영향을 요인을 파악하고자 콕스비례해저드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남성일수록, 비수급가구일수록, 경증일수록, 직장차별경험이 없을수록 실업탈출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장애인의 실업탈출(취업)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우선 고용상에 발생하는 장애차별을 해소할 수 있는 장애인차별금지제도를 보다 강화해야 하며, 기초수급 장애인들의 근로를 유인할 수 있도록 현행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를 보완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추가적으로 실업탈출에 어려움이 있는 여성장애인, 중증장애인 등과 같이 정책대상을 보다 세분화하여 개별욕구와 특성에 부합하는 고용서비스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단순 유전 알고리즘에서 단속평형의 지속시간에 대한 연구 (The Duration of Punctuated Equilibria in Simple Genetic Algorithms)

  • 오상엽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11호
    • /
    • pp.1059-1070
    • /
    • 2005
  • 유전 알고리즘에서 개체군은 지역 최적치에 빠질 수 있지만 긴 지속시간이 지난 후에는 여기에서 빠져나을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을 단속평형 (punctuated equilibrium)이라고 한다. 자연계나 컴퓨터 생태계 (computational ecosystems) 에서 관찰되는 단속평형은 확산 방정식 (diffusion equation)으로 잘 설명된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 유전 알고리즘을 이론적으로 분석하여 개체군의 움직임이 확산 방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보인다. 또한 적합도 (fitness) 함수를 단위화 (unitation) 함수로 국한하면 이 분석을 더 구체화하여 유전 알고리즘의 주요 변수들이 이 방정식에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확산 방정식에 대한 이론적 결과를 이용하면 지역 최적치에서 빠져 나오기까지의 지속시간이 개체군의 크기, 1/(돌연변이 확률), 그리고 지역 최적치의 깊이에 대해 지수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결과는 이중안정 지형 (bistable landscapes)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일치한다.

향부자팔물탕(香附子八物湯)이 Alzheimer's disease 모델 백서(白鼠)의 학습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Hyangbujapalmultang on Learning and Memory of AD Rats using Morris water maze paradigm)

  • 강현근;김종우;황의완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9-51
    • /
    • 1999
  • The effects of Hyangbujapalmultang on the enhancement of learning and memory of AD model rats were studied with Morris water maze. Sample group was electrolytically lesioned on nucleus basalis of Meynert(nbM), and then daily treated with the medicine for two months. Control group with nbM lesion, and sham group with the sham operation were treated the vehicle for the same dura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served. 1. As the learning trials of Morris water maze were proceeded, sham group showed the escape latency from $54.7{\pm}2.28$ seconds in 1st trial to $13.3{\pm}3.27$ seconds in 7th.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escape latency from $58.0{\pm}1.78$ seconds in 1st trial to $51.3{\pm}3.52$ seconds in 7th. The sample group showed the escape latency from $57.0{\pm}2.21$ seconds in 1st trial to $28.4{\pm}4.82$ seconds in 7th. Therefore, these data shows that all three groups were improved in learning capacity as trials were proceeded, but the sample group showed more prominent improvement in learning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p<0.05). 2. In memory retention test of Morris water maze that counts the staying time in the target area during 30 seconds of freely swimming period, sham group stayed for $4.81{\pm}1.15$ seconds, the control group stayed for $1.27\pm}0.78$ seconds, and the sample group stayed for $4.17{\pm}1.47$ seconds. The analysis of the memory retention data shows that the sample group marked more improvement in memory reten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but could not obt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p<0.05).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above, Hyangbujapalmultang can be supposed to have the improving effects on the learning of AD model rats induced by electrolytic lesion of nbM.

  • PDF

근로연령대 수급자의 탈빈곤 : 노동시장통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What Hinders the Transition from Benefits Recipiency to Labor Market in the Korean Social Assistance Program? : In the case of working-age recipients)

  • 장지연;이현주;전병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3호
    • /
    • pp.185-20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공공부조제도에서 근로연령대 빈곤인구의 빈곤 탈출과 노동시장에 통합을 촉지 또는 저해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한국의 근로연령대 기초생활보장수급자들의 기간 의존성이 나타나고 있지만, 이는 수급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복지의존성이 강화되었기 때문이라기보다는 장기 수급의존층의 경우 수급 탈출에 취약한 조건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특히 수급자들이 빈곤으로부터 탈출해서 노동시장으로 이행하는 데 장애로 작용하는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인적자본이나 사회적 자본과 같은 특성보다는 청년피부양가구구성원의 존재 여부나 직업알선서비스 참여 여부가 빈곤탈출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급으로부터의 탈출이 교육-의료 서비스가 수급여부와 연계되어 있다는 수급제도의 특성이나 적극적 노동시장프로그램의 성격과 같은 제도-정책의 요인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기억력 감퇴모델에서 산사의 기억력 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The Fruits of Crataegus pinnatifida Bunge ameliorates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s Induced by Scopolamine)

  • 왕수빈;안은미;정지욱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65-171
    • /
    • 2009
  • Objectives : In the present study, we assessed the effects of the ethanolic extract of Crataegus pinnatifida Bunge on the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s induced by scopolamine using the passive avoidance and the Morris water maze tasks in mice. Methods : The cognition-enhancing effect of C. pinnatifida was investigated using a passive avoidance test, the Morris water maze test and Y-maze test in mice. Drug-induced amnesia was induced by treating animals with scopolamine (1 mg/kg, i.p.). Results : The ethanolic extract of C. pinnatifida (100, and 200 mg/kg) significantly reversed the scopolamine-induced cognitive impairments in the passive avoidance test (p < 0.05). Moreover, C. pinnatifida (200 mg/kg) also improved escape latencies in training trials and increased swimming times and distances within the target zone of the Morris water maze (p < 0.05). On the Y-maze test, C. pinnatifida (100, and 200 mg/kg) also significantly reversed scopolamine- induced cognitive impairments in mice (p < 0.05). Conclusions : The ethanolic extract of Crataegus pinnatifida dramatically possesses the anti-amnestic and cognitive-enhanc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memory processes, and these activities were parallel to treatment duration and dependent on the learning models.

발효더덕 추출물이 흰쥐의 인지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on the Memory Impairment of Mice)

  • 박성진;박동식;김승섭;허신용;안주희;윤원병;이현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691-1694
    • /
    • 2010
  • 본 실험에서는 발효더덕을 제조한 후 발효더덕의 건망증에 대한 효과를 scoplamnine으로 유도된 건망증 모델을 이용하여 수동회피시험(passive avoidance test)과 Morris 수중미로시험(Morris water maze test)을 이용하여 행동학적 변화를 통하여 발효더덕의 기억력 개선 능력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덕 및 발효더덕 추출물 167, 333, 667 mg/kg을 경구투여 한 결과 발효더덕 추출물의 333 mg/kg 및 667 mg/kg 그룹에서 각각 $120.9{\pm}15.3$초 및 $140.7{\pm}18.0$초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latency time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333 mg/kg의 용량에서 대조군의 85% 수준으로 회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Morris water maze test를 실시에서도 더덕 및 발효더덕 추출물 처리군에서는 scopolamine에 의한 기억 손상이 개선되어 대조군의 escape latency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 발효더덕 추출물의 경구섭취는 scopolamine으로 유도된 기억력 감퇴 동물모델에서 기억력 개선 및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되며, 효과의 기전 및 효능성분을 확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멕시코만의 BP사 오일유출 해저 대책에 대한 분석 (Subsea Responses to the BP Oil Spill in the Gulf of Mexico)

  • 최한석;이승건;도창호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90-95
    • /
    • 2011
  • On April 20, 2010, a well control event allowed hydrocarbon (oil and gas) to escape from the Macondo well onto Deepwater Horizon (DWH), resulting in an exploration and fire on the rig. While 17 people were injured, 11 others lost their lives. The fire continued for 36 hours until the rig sank. Hydrocarbons continued to flow out from the reservoir through the well bore and blowout preventer (BOP) for 87 days, causing an unprecedented oil spill. Beyond Petroleum (BP) and the US federal government tried various methods to prevent the oil spill and to capture the spilled oil. The corresponding responses were very challenging due to the scale, intensity, and duration of the incident that occurred under extreme conditions in terms of pressure, temperature, and amount of flow. On July 15, a capping stack, which is another BOP on top of the existing BOP, was successfully installed, and the oil spill was stopped. After several tests and subsea responses, the well was permanently sealed by a relief well and a bottom kill on September 19. This paper analyzes the subsea responses and engineering efforts to capture the oil, stop the leaking, and kill the subsea well. During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subsea responses, information was collected and data bases were established for future accident prevention and the development of subsea engine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