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thelial differentiation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35초

Overexpression and Clinicopathological Significance of Homeobox Gene Quox-1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 Zhu, Fan;Li, Jian;Li, Wen-Xin;Liu, Zhong-Chun;Long, Xing
    • BMB Reports
    • /
    • 제37권6호
    • /
    • pp.671-675
    • /
    • 2004
  • The expression and clinicopathological significance of Quox-1 gene was studied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Immunocytochemistry and western blot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the different expressions of Quox-1 protein in 114 OSCC specimens, 34 oral epithelial dysplasia specimens, and 16 normal oral mucosa specimens. RT-PCR and virtual Northern Blot were also used to examine the expression of Quox-1 mRNA. It was found that Quox-1 was not expressed in normal epithelium. However, as dysplastic lesions progressed Quox-1 expression increased (p < 0.01), and Quox-1 express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evere dysplasia and highly differentiated OSCCs (p > 0.05). As the degree of differentiation decreased, Quox-1 positivity increased in OSCC (p < 0.01), and the rate of Quox-1 (81.58%) positivity in OSCC was higher than that in normal oral mucosa (p < 0.01). Our findings imply that the positive expression of Quox-1 is correlated with the histological classification of OSCCs. Thus, the expression of Quox-1 in OSCC may serve as a significant predicting factor of proliferative status and malignant degree, and it may also be a biological detection marker of oral mucosas initial cancer and of OSCC.

상악동에 발생한 대세포 신경내분비 암종 1례 (A Case of Large Cell Neuroendocrine Carcinoma of the Maxillary Sinus)

  • 이윤재;정진혁;오영하;지용배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45-49
    • /
    • 2019
  • Large cell neuroendocrine carcinoma is a rare epithelial neuroendocrine malignancy and is preferentially located in gastrointestinal tract and pancreas. Cases of large cell neuroendocrine carcinoma have been reported in many other locations, including the thymus, gallbladder, prostate, larynx, salivary glands, nasopharynx, tonsil and mastoid. However, primary sinonasal large cell neuroendocrine carcinoma never have been reported in Korea. We experienced a case of primary large cell neuroendocrine carcinoma arising from left maxillary sinus recently. A 82-year-old male patient presented with nasal obstruction and epistaxis. The biopsy revealed large cell neuroendocrine carcinoma with poor differentiation. After a general evaluation, the patient was staged as cT3N0M0. The patient was treated by combined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We report this rare case with literature review.

Spatio-temporal Expression and Regulation of Dermatopontin in the Early Pregnant Mouse Uterus

  • Kim, Hyun Sook;Cheon, Yong-Pil
    • Molecules and Cells
    • /
    • 제22권3호
    • /
    • pp.262-268
    • /
    • 2006
  • During endometrial differentiation the extracellular matrix (ECM) changes dramatically to prepare for implantation of the embryo. However, the genes regulating the ECM build-up in the uterine endometrium during early pregnancy are not well known. Using the PCR-select cDNA subtraction method, dermatopontin was identified in the uterus of a pregnant mouse on day 4 of gestation. Dermatopontin mRNA increased dramatically on day 3, and was at its highest level at the time of implantation. Administration of RU 486 significantly inhibited mRNA expression by day 4 of gestation, but ICI 182,780 did not. Progesterone markedly induced dermatopontin expression in ovariectomized uteri within 4 h of administration, whereas estrogen had little effect. In silico analysis revealed progesterone receptor binding sites in the dermatopontin promoter region. Decidualization did not induce expression of dermatopontin; instead dermatopontin mRNA became strongly localized at the interimplantation site. In situ hybridization revealed that expression gradually decreased in the luminal epithelial cells as pregnancy progressed, whereas it increased in the stromal cells. The pattern of localization and the changes of intensity of dermatopontin mRNA coincided with those of collagen. Collectively,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dermatopontin expression is steroid-dependent. They also suggest that, at the time of implantation, dermatopontin expression is primarily regulated spatio-temporally by progesterone via progesterone receptors, and is modulated by the decidual response during implantation. Dermatopontin may be one of the regulators used to remodel the uterine ECM for pregnancy.

The emerging role of lncRNA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 Yarani, Reza;Mirza, Aashiq H.;Kaur, Simranjeet;Pociot, Flemming
    •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 /
    • 제50권12호
    • /
    • pp.7.1-7.14
    • /
    • 2018
  • Dysregulation of long noncoding RNA (lncRNA) expression is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diseases. Recently, an emerging body of evidence has indicated that lncRNAs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athogenesis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s (IBDs), including Crohn's disease (CD) and ulcerative Colitis (UC). In IBD, lncRNAs have been shown to be involved in diverse processes, including the regulation of intestinal epithelial cell apoptosis, association with lipid metabolism, and cell-cell interactions, thereby enhancing inflammation and the functional regulation of regulatory T cells. In this review, we aim to summarize the current knowledge regarding the role of lncRNAs in IBD and highlight potential avenues for future investigation. We also collate potentially immune-relevant, IBD-associated lncRNAs identified through a built-by association analysis with respect to their neighboring protein-coding genes within IBD-susceptible loci. We further underscore their importance by highlighting their enrichment for various aspects of immune system regulation, including antigen processing/presentation, immune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and chronic inflammatory responses. Finally, we summarize the potential of lncRNAs as diagnostic biomarkers in IBD.

황금추출물의 지방장벽 생성을 통한 염증완화 효과 (Effect of Anti-Inflammation through Creation of Skin Fat Barrier on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 안상현;김기봉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0-47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alleviating inflammation through creating skin fat barrier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Methods Four-week-old Balb/C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ontrol group (Ctrl), lipid barrier eliminated group (LBEG), dexamethasone (DM) treated group after lipid barrier elimination (DMTG), and Scutellaria baicalensis (SB) treated group after lipid barrier elimination (SBTG).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were administered for 5 days after removal of the fat barrier. Changes in skin condition, improvement of the fat barrier, and relief of inflammation were observed in each group. Results Compared to LBEG and DMTG, pathological skin damage and tissue changes were less in SBTG, and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and pH were also significantly reduced. Filaggrin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SBTG. KLK7, PAR-2, and TSLP in SBTG also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compared to the LBEG and DMTG. Conclusions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restores skin barrier and relieves inflammation through the creation of skin fat barrier. This means that the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can regulate Th2 differentiation through the creation of the epithelial fat barrier.

Genetic heterogeneity of liver cancer stem cells

  • Minjeong Kim;Kwang-Woo Jo;Hyojin Kim;Myoung-Eun Han;Sae-Ock Oh
    • Anatomy and Cell Biology
    • /
    • 제56권1호
    • /
    • pp.94-108
    • /
    • 2023
  • Cancer cell heterogeneity is a serious problem in the control of tumor progression because it can cause chemoresistance and metastasis. Heterogeneity can be generated by various mechanisms, including genetic evolution of cancer cells, cancer stem cells (CSCs), and niche heterogeneity. Because the genetic heterogeneity of CSCs has been poorly characterized, the genetic mutation status of CSCs was examined using Exome-Seq and RNA-Seq data of liver cancer. Here we show that different surface markers for liver cancer stem cells (LCSCs) showed a unique propensity for genetic mutations. Cluster of differentiation 133 (CD133)-positive cells showed frequent mutations in the IRF2, BAP1, and ERBB3 genes. However, leucine-rich repeat-containing G protein-coupled receptor 5-positive cells showed frequent mutations in the CTNNB1, RELN, and ROBO1 genes. In addition, some genetic mutations were frequently observed irrespective of the surface markers for LCSCs. BAP1 mutations was frequently observed in CD133-, CD24-, CD13-, CD90-, epi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 or keratin 19-positive LCSCs. ASXL2, ERBB3, IRF2, TLX3, CPS1, and NFATC2 mutations were observed in more than three types of LCSCs, suggesting that common mechanisms for the development of these LCSCs. The present study provides genetic heterogeneity depending on the surface markers for LCSCs. The genetic heterogeneity of LCSC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LCSC-targeting therapeutics.

악성 단계별 인간 전립선 암세포에서 라미닌에 의한 metallothionein 유전자 발현유도 현상 연구 (Induction of Metallothionein Gene by Laminin in Normal and Malignant Human Prostate Epithelial Cells)

  • 옥미선;차희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29-533
    • /
    • 2011
  • 라미닌-1에 의해 분화가 유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HSG 및 PC-12에서는 라미닌-1에 의해 MT 유전자의 발현이 유도되었지만 반면 분화 역량을 지니지 않은 암세포인 유방암(MDA-231, MDA-435) 세포와 전립선 암인 PC-3 세포에서는 라미닌-1의 처리가 MT 유전자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라미닌-1에 의해 분화가 유도되는 현상 및 이에 따른 MT 유전자의 발현증가가 암의 전이 능력 및 악성화와 관계가 있는지를 관찰하기 위해 정상에서부터 전이 및 악성 정도가 다른 5가지 종류의 전립선 암을 대상으로 라미닌-1에 의한 MT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관찰한 결과 정상적인 전립선 외피세포인 RWPE-1과 전이 및 악성화가 낮은 WPE1-NA22의 경우 라미닌-1에 의해 MT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악성화 정도가 높은 WPE1-NB14, WPE1-NB11, 및 WPE1-NB26에서는 라미닌-1의 처리에도 MT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지 않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라미닌-1은 정상 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며 이에 따라 MT 유전자를 유도하며 분화가 유도되지 않는 악성 암에서는 MT 유전자의 발현이 유도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체 기관지 상피세포에서 Mycoplasma pneumoniae 감염에 의한 천식 매개물질의 발현 (Mycoplasma pneumoniae-induced production of proasthmatic mediators in airway epithelium)

  • 김경원;이병철;이경은;김은수;송태원;박미연;손명현;김규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9호
    • /
    • pp.977-982
    • /
    • 2006
  • 목 적 : M. pneumoniae는 기도 점막의 상피세포에서 증식하면서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며 기관지 천식의 발생이나 악화와 관계된다고 알려져 있다. IL-6은 급성 염증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으로 B 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며 Th2 염증반응을 촉진시키며, IL-8은 기도에서 염증부위로의 세포이동을 매개하는 케모카인으로 알레르기 염증 반응에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기도 상피세포에서 생성되는 NO는 기도 염증과 기도과민성의 조절에 중요하다. VEGF는 천식에서 기도개형에 주된 역할을 담당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지 상피세포에 M. pneumoniae를 감염시켰을 때 IL-6, IL-8, NO 및 VEGF의 발현을 살펴보았다. 방 법 : M. pneumoniae를 기관지 상피 세포주인 A549 세포에 감염시킨 후 여러 시간 간격으로 배양하여 세포와 배양 상층액을 수거하였다. 면역 형광 염색과 M. pneumoniae 16S ribosomal RNA gene의 oligonucleotide primers를 이용한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시행하여 감염을 확인하였다. IL-6, IL-8, VEGF 단백질 생성은 ELISA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고, NO는 Griess 반응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하여 IL-6, IL-8, VEGF의 mRNA 발현을 관찰하였다. 결 과 : 기관지 상피세포에 M. pneumoniae를 감염시킨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IL-6, IL-8, NO, VEGF의 생성이 증가하였고, IL-6, IL-8, VEGF mRNA 발현이 증가됨을 관찰하였다. 결 론 : M. pneumoniae 감염은 IL-6, IL-8, NO, VEGF 등의 매개물질의 발현을 증가시켜 기관지 천식의 알레르기 염증반응에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법랑모세포 분화와 성숙과정에서 OD314의 발현 (EXPRESSION OF OD314 DURING AMELOBLAST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 박주철;안성민;김흥중;정문진;박민주;신인철;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5호
    • /
    • pp.423-430
    • /
    • 2005
  • 법랑모세포는 법랑질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세포로, 법랑질의 유기기질을 분비하고 법랑질 석회화 과정에도 관여한다. 치아 발생과정에서 법랑모세포의 분화는 순차적인 상피-간엽 상호작용에 의하여 조절되나, 분화나 성숙과정의 정확한 기전은 아직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최근에 상아모세포에서 처음 발견된 OD314가 치아 발생과정에서 상아질을 형성하는 상아모세포 뿐 아니라 법랑모세포에도 발현된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쥐 하악 전치의 다양한 시기의 법랑모세포를 이용하여, 형태학적 분석과 in-situ hybridization에 의한 OD314 mRNA의 발현 그리고 OD314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OD314유전자의 법랑모세포 분화와 성숙과정에서의 역할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형태학적으로 법랑모세포는 분화 단계에 따라 분비 전단계 법랑모세포, 분비기 법랑모세포, 성숙기의 평탄끝 법랑모세포와 성숙기의 주름끝 법랑모세포로 구분되었다. 2. OD314 mRNA는 분비기의 법랑모세포에서부터 발현되기 시작하여 법랑모세포가 성숙해갈 수록 그 발현이 증가하였다. 3. OD314 단백질은 분비 전단계의 법랑모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고, 분비기의 법랑모세포에서는 세포질에 전체적으로 발현되었다. 성숙기의 평탄끝 법랑모세포와 주름끝 법랑모세포에서는 세포의 근심과 원심끝단에 OD314 단백질이 강하게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OD314는 법랑모세포의 분화와 성숙과정에서 세포질 내부에서 특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분화된 세포에서 MACS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한 세포의 특성에 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MACS Isolated Cells from Differentiated Human ES Cells)

  • 조재원;임천규;신미라;방경희;궁미경;전진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3권3호
    • /
    • pp.171-178
    • /
    • 2006
  • 목 적: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재생 의학이나 조직공학에 있어서 큰 잠재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다양한 growth factors 처리나 유전자 발현을 변화시켜 특정 세포로 유도 분화 및 분리가 가능하지만 그 효율성은 아직까지 낮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비특이적으로 분화된 세포들을 특정 세포 표면 항체를 이용한 magnetic cell sorting (MACS) 방법으로 분리, 배양하여 그들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주(Miz-hESC4)를 물리적인 방법으로 계대 배양하였으며, 부유 배양법으로 배아체 형성을 유도하였다. 배아체의 자발적인 분화를 위해 DMEM에 10% FBS를 첨가하여 2주 동안 배양하였다. 이렇게 분화된 세포들을 CD34, human epithelial antigen (HEA), human fibroblast (HFB)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MACS system으로 각각의 항체에 대한 양성 또는 음성 세포를 분리하였다. 이러한 MACS 분리 세포를 4주 동안 배양하면서 형태적인 변화를 관찰하고 특이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 과: 분리 배양한 CD34 양성 세포들은 배양 초기에는 둥근 형태를 나타내다가 배양 후기에는 작은 다각형의 형태로 관찰되었으며, HEA 양성 세포들은 큰 다각형의 형태를 나타내었고, HFB 양성 세포들은 전형적인 방추체 형태로 관찰되었다. 특이 유전자에 대한 RT-PCR 결과에서, CD34 양성 세포들과 HFB양성 세포들에서는 내배엽과 중배엽 관련 유전자의 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HEA 양성 세포들에서는 외배엽 관련 유전자인 NESTIN과 NF68KD의 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배양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CD34 양성 세포의 특이 유전자 발현 양상이 변화되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는 비특이적으로 분화된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특이 세포를 MACS 방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분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MACS 방법과 특이 세포에 대한 항체는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유도 분화와 특이 세포의 분리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