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dermis structure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6초

경사 LIGA 공정을 이용한 미세 바늘 어레이의 제작 (Fabrication of Microneedle Array Using Inclined LIGA Process)

  • 문상준;이승섭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8권12호
    • /
    • pp.1871-1876
    • /
    • 2004
  • We demonstrate a novel fabrication technology for the microneedle array that can be used in the medical test field, which is transdermal drug delivery and blood analyte sampling. Previous researchers have used silicon-processed micromachining, a reactive ion etching, and molding techniques for the fabrication of microneedle array. However, these fabrication techniques have somewhat limitations apply to the microneedle array fabrication according to its application. Inclined LIGA process is suggest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is process provides easier, sharper and longer out-of-plane microneedle array structure than conventional silicon-processed fabrication method did. Additionally, because of the advantage of the LIGA process based on mold fabrication for mass production, the polymer, PMMA(PolyMethylMethAcrylate), based microneedle array is useful as the mold base of nickel electroplating process; on the other hand, silicon-processed microneedle array is used in itself. In this research, we fabricate different types of out-of-plane microneedle array, which have different shape of tip, base and hole structure, using the inclined LIGA process. The fabricated microneedles have proper mechanical strength, height and sharpness to puncture human hand epidermis or dermis with less pain and without needle tip break during penetrating the skin.

Agar 배지를 이용한 건조 및 염 처리에 대한 벼 식물체의 근계 변화 (Changes of Root System in Rice (Oryza sativa L.) Plant Under Salt- and Drought- Stressed Agar Medium Conditions.)

  • 강동진;석정용일;김길웅;이인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96-399
    • /
    • 2004
  • 본 실험은 고체배지를 이용한 새로운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건조 및 염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체의 형태학적인 특성을 뿌리신장률, 근단구조, 물질생산 등의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PEG 및 NaCl 처리조건에서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벼 식물체의 뿌리신장이 현저하게 저하되었으며, PEC 및 NaCl 처리에 따른 벼 식물체의 뿌리는 methyl-lignin 축적에 의한 리그닌화가 진행되었으며, 수분결핍을 극복하려는 기작으로 표피세포를 변형시킨 근모의 발생이 관찰되었다. 또한 PEG 및 NaCl 처리에 의한 벼 식물체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 생산량의 현저한 감소는 지상부보다 지하부에서 뚜렷하였으며, 그 결과 PEG 및 NaCl 처 처리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TR율의 증가를 보였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건조 및 염 처리를 한 고체배지를 이용함으로써 벼의 경우 스트레스 처리 전 약 2주간 유묘를 생육시키는 양액재배에 비해 발아기의 각종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체 반응의 관찰과 내성 특성 검정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끈끈이주걱속 점착식 포충엽의 분비모 발달 (Development of the Glandular Trichomes in Trapping Leaves of Drosera Species)

  • 이혜진;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1호
    • /
    • pp.57-64
    • /
    • 2009
  • 점착식 포충엽을 형성하는 식충식물은 포충엽 표피조직에 발달하는 분비모에서 점액성 물질을 분비하여 곤충을 포획한다. 본 연구에서는 점착식 포충엽을 형성하여 식충의 기능을 수행하는 끈끈이주걱속의 비나타와 피그미 2종의 분비모 분화 발달양상을 형태구조 및 세포학적으로 연구하였다. 분화초기 코일형태의 정단에서 발달하는 비나타의 엽원기는 표피에 미분화된 불규칙적인 형태의 모용이 밀생하였으며, 정단 부위는 신장 후 분지되면서 엽연과 엽신에는 capitate형과 peltate형 분비모들이 발달하였다. 피그미의 어린 포충엽은 엽연의 미분화된 모용들이 구심적으로 접힌 상태로 발달하나, 엽육조직 생장에 따라 길게 신장된 capitate형으로 분화되어 방사상으로 배열하였다. 실험된 2종의 포충엽은 분비모 특성에 의한 상 하피의 분화가 뚜렷하였으며, 상피 엽신과 엽연에는 분비물질을 방출하는 다양한 분비모가 밀생하였다. 상피의 경우, 비나타 분비모는 병세포가 신장된 capitate형과 무병의 peltate형으로 대별되고, 피그미는 병세포의 길이를 달리하는 capitate형만 발달하였다. 특히, 비나타는 엽연에 약 $2.2{\sim}3.4mm$에 이르는 긴 capitate형 분비모를 형성하였고, 피그미 엽연에는 위 유형과 함께 라켓 형태의 두정 부위를 지니고 약 $3.7{\sim}4.2mm$로 신장된 독특한 유형의 2 종류 capitate형 분비모가 분포하였다. 하피의 경우, 비나타에서는 작은 peltate형 분비모만 발달하였고, 피그미에서는 capitate형과 유사하나 capitate와 peltate형의 중간적인 특징을 지닌 매우 축소된 분비모를 형성하였다. 이들 분비모 두정부위의 분비세포 세포질에는 미토콘드리아 및 소포체, 골지체 등이 잘 발달하였고, 소액포들의 융합으로 큰 분비강이 형성되어 축적된 물질을 외부로방출하였다. 표피조직에 밀생하는 capitate 및 peltate형 분비모에서 방출된 점액성 물질은 포충엽 표면에 곤충 접촉 시 엽연 capitate형 분비모에 의한 굴곡운동과 엽신 분비모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더욱 능동적으로 곤충을 포획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비나타 및 피그미에 대한 분비모의 구조적 정보는 이후 Drosophyllum, Pinguicula 등의 다른 점착식 포충엽 형성 종들의 분비모 분화 양상과 비교 분석되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아연의 체내축적이 대복의 생존, 운동성, 성장 및 기관계 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Zinc Bioaccumulation on Survival Rate, Activity, Growth and Organ Structure of the Equilateral Venus, Gomphina veneriformis (Bivalvia: Veneridae))

  • 주선미;이재우;진영국;유준;이정식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1권2호
    • /
    • pp.115-126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survival rate, activity, growth and change of the organ structure of bivalves exposed to heavy metal.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zinc (Zn) induces reduction of survival rate and activity, abnormality of organ structure of the equilateral venus, Gomphina veneriformis. Experimental groups were composed of one control condition and three Zn exposure conditions ($0.64mg\;Zn{\iota}^{1},\;1.07mg\;Zn{\iota}^{-1},\;1.79mg\;Zn{\iota}^{-1}$). As the concentration of zinc increased the accumulation of lipofucin increased in the digestive gland. Survival rate was the lowest in the lowest Zn exposure group at $0.64mg;Zn{\iota}^{-1}$. Growt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exposure group. Activity. with the exception of the lowest Zn exposure group at $0.64mg\;Zn{\iota}^{-1}$, was similar between the control and exposure group. Histological analysis of organ system illustrated expansion of hemolymph sinus, loss of striated border of inner epidermis, increase in the number of mucous cell in the mantle. Also, histological degenerations as epithelial necrosis and hyperplasia of mucous cells are recognized in the gill and foot.

부추속(Allium L.) 잎 표피의 구조와 이의 분류학적 중요성 (Leaf epidermal structure of the Allium L. and its taxonomic significance)

  • 최혁재;장창기;고성철;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7-118
    • /
    • 2004
  • 부추속 분류군들에 대한 광학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잎 표피의 해부학적 및 미세구조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종 수준 또는 절이나 아속의 수준에서 각 분류군의 주요형질 및 형질의 변이 한계를 파악하였다. 잎 표피세포의 모양은 장방형에서부터 아주 긴 선형으로 관찰되었고, 크기는 분류군에 따라 다양하였다. 엽신이 넓은 달래절, 산마늘절, 두메부추절 등에 속하는 분류군의 표피세포는 장방형으로 선형을 가지는 다른 절로부터 이들을 구분되었다. 산마늘절의 잎은 이면기공엽으로 관찰되어 양면기공엽을 가지는 나머지 분류군들과는 구분되었다. 기공복합체에서 공변세포 크기는 각 분류군 간에 거의 변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위면적 당 기공의 수는 표피세포의 크기가 커지면 적어지고, 세포의 크기가 작아지면 많아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엽신이 넓고, 표피세포의 모양이 장방형인 산마늘절에서는 다른 선형의 세포를 가진 종에서 보다 아주 적게 나타났다. 관찰된 모든 분류군에서는 불규칙형 기공이 나타났다. SEM에 의한 잎 표피세포의 미세구조 관찰 결과, 표피 외벽의 융기 형태와 wax의 침적 양상이 종간에 다소 다양한 형태로 관찰되었다. 세포 표면이 융기된 돌기물의 형태는 달래절과 산마늘절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달래절에서는 세포벽의 표면에 주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미세무늬가 나타났고 산마늘절에서는 평행인 미세무늬가 나타났다. 세포벽 외부의 돌기물의 구조는 돌추절과 두메부추절에서는 뚜렷한 선모양으로, 노랑부추절에서는 미약한 선모양으로 관찰되었으나, 다른 분류절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달래절과 산마늘절의 분류군을 제외한 다른 분류군에서는 왁스가 침적되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구강내 점막과 유리피판에 사용되는 피부의 rete ridge에 관한 2차원 및 3차원적 구조 연구 (2D AND 3D STRUCTURAL STUDY OF RETE RIDGE IN ORAL MUCOSA AND SKIN PADDLE OF VARIOUS FREE FLAPS)

  • 안강민;정헌종;김윤태;팽준영;신영민;성미애;박희정;명훈;황순정;최진영;정필훈;김명진;이종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1권2호
    • /
    • pp.143-149
    • /
    • 2005
  • Objects : With the advancement of tissue engineering techniques, the effort to develop bioartificial mucosa have been actively delivered. The problem we met with this technique is the lack of mechanical strength between kerationocyte layer and dermal layer, where in the normal skin and mucosa, they are tightly bound with rete ridge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2D and 3D structure of rete ridge of mucosa and skin paddle for rendering more biomimetic structure to the artificial mucosa. Materials and Methods : Oral mucosa and skin from the patients who received the oral surgery and maxillofacial reconstruction were harvested. The epidermis was separated from the dermis after treating with dispase for 12-16 hours. H&E staining was performed for 2D(dimensional) structure study and confocal LASER and SEM study were performed for 3D structure. Mean height(Sc) and arithmetic mean deviation(Sa) of all surface height were calculated. Results : The average height of rete ridge of skin flap was between $67.14{\mu}m$ and $194.55{\mu}m$. That of oral mucosa was between $146.26{\mu}m$ and $167.51{\mu}m$. Pressure bearing area and attached gingiva of oral mucosa showed deeper rete ridges. Conclusion : To obtain the adequate strength of artificially cultured keratinocyte skin and mucosa flap, it is necessary to imitate the original skin and mucosa structure, especially rete ridge. Through this study, 2D and 3D rete ridge structure of normal mucosa and skin was obtained.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s for substrate morphology for keratinocytes culture.

FT-IR을 활용한 비 침습적 피부 장벽 지질 패킹 분석과 손상된 장벽의 개선 제형 연구 (Non-invasive Skin Barrier Lipid Packing Analysis Using FT-IR and Study of Cosmetic Formulation for Damaged Barrier)

  • 김혜진;김선영;이설훈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07-317
    • /
    • 2020
  • 피부 표피의 장벽 구조는 신체 내부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고 외부의 이물질의 침입을 막는데 핵심적인 구조이고 각질세포와 세포간 지질로 구성된다. 이 때, 피부 장벽의 세포간 지질은 orthorhombic 구조로 패킹되어있을 때 가장 강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외부 원인에 의해 손상되어 hexagonal 구조로 변화한다. 이런 물리적인 구조의 변화는 FT-IR을 이용하여 지질의 CH2-CH2 scissoring band의 시그널은 분석하여 비 침습적으로 분석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SDS를 Porcine skin에 처리하여 피부 장벽 손상모델을 구축하고 FT-IR signal을 분석하여 패킹구조의 변화 정도를 수치화 하였다. 이후 화장품 제형의 처리에 따라서 손상 모델의 장벽 회복 여부를 판단하였다. 이를 통하여 기존의 피부 장벽의 수분 증발량을 분석하는 간접적인 측정 방식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장벽 구조의 물리적인 변화를 직접적이고 효율적으로 분석하는 방식으로 활용 가능하여 다양한 소재의 기능 규명과 제형의 검증에 사용될 수 있다.

Functional Anatomy and Histology of the Olfactory Organ in Korean Eel Goby, Odontamblyopus lacepedii (Pisces: Gobiidae)

  • Kim, Hyun Tae;Lee, Yong Joo;Park, Jong Young
    • Applied Microscopy
    • /
    • 제48권1호
    • /
    • pp.11-16
    • /
    • 2018
  • For Odontamblyopus lacepedii with small and turbid eyes, the gross structure and histology of the olfactory organ, which is important for its survival and protection of the receptor neuron in estuarial environment and its ecological habit, was investigated using a stereo,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 Externally, the paired olfactory organs with two nostrils are located identically on each side of the snout. These nostrils are positioned at the anterior tip of the upper lip (anterior nostril) and just below eyes covered with the epidermis (posterior nostril). Internally, this is built of an elongated olfactory chamber and two accessory nasal sacs. In histology, the olfactory chamber is elliptical in shape, and lined by the sensory epithelium and the non-sensory epithelium. The sensory epithelium of a pseudostratified layer consists of olfactory receptor neurons, supporting cells, basal cells and lymphatic cells. The non-sensory epithelium of a stratified layer has swollen stratified epithelial cells and mucous cells with acidic and neutral sulfomucin. From these results, we confirmed the olfactory organ of O. lacepedii is adapted to its ecological habit as well as its habitat with burrows at the muddy field with standing and murky waters.

Mitochondria-Specific Monoclonal Antibodies in Eggs and Embryos of the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 Baek, Yong Han;Lee, Wang Jong;Kim, Gil Jung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1권4호
    • /
    • pp.467-473
    • /
    • 2017
  • Ascidian embryos have become an important model for embryological studies, offering a simple example for mechanisms of cytoplasmic components segregation. It is a well-known example that the asymmetric segregation of mitochondria into muscle lineage cells occurs during ascidian embryogenesis. However, it is still unclear which signaling pathway is involved in this process. To obtain molecular markers for studying mechanisms involved in the asymmetric distribution of mitochondria, we have produced monoclonal antibodies, Mito-1, Mito-2 and Mito-3, that specifically recognize mitochondria-rich cytoplasm in cells of the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embryos. These antibodies stained cytoplasm like reticular structure in epidermis cells, except for nuclei, at the early tailbud stage. Similar pattern was observed in vital staining of mitochondria with DiOC2, a fluorescent probe of mitochondria. Immunostaining with these antibodies showed that mitochondria are evenly distributed in the animal hemisphere blastomeres at cleavage stages, whereas not in the vegetal hemisphere blastomeres. Mitochondria were transferred to the presumptive muscle and nerve cord lineage cells of the marginal zone in the vegetal hemisphere more than to the presumptive mesenchyme, notochord and endoderm lineage of the central zon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se antibodies will be useful markers for studying mechanisms involved in the polarized distribution of mitochondria during ascidian embryogenesis.

Phototoxicity of Melatonin

  • Kim, Young-Ok;Chung, Hye-Joo;Chung, Seung-Tae;Kim, Jin-ho;Park, Jae-Hyun;Kil, Kwang-Sup;Cho, Dae-Hy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143-150
    • /
    • 1999
  • melatonin (MLT), N-acetyl-5-methoxytryptamine, is mainly secreted by the pineal gland. The ultraviolet (UV), infrared (IR) and 1H-NMR spectra of irradiated and non-irradiated MLT were measured, and phototoxicity tests of MLT, anthracence (positive control) and sodium lauryl sulfate (SLS, negative control) were performed. The methods employed include both in vitro test such as MTS assay using the human fibroblast cell and yeast growth inhibition assay using Candida albicans and in vivo method using the skin of guinea pig. UV absorption spectra and 1H-NMR spectra of MLT were changed by UVA (365 nm, 15 J/$\textrm{cm}^2$), but IR spectra of MLT were not changed. The fifty percent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ratio (UV-/UV+) of MLT was 10. The inhibition zone of irradiated-paper disks treated with MLT was not observ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histophathological examination, no pathologic lesion was observed in the non-irradiated group, but slight degeneration of keratinocytes in the epidermis, homorrhage and vasodilation in dermis were observed in the irradiated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lecular structure of MLT is altered by UVA to unidentified photoproducts and a moderate phototoxicity of MLT is predic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