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zyme-inhibition

검색결과 1,405건 처리시간 0.041초

복분자 추출물의 항고혈압 활성 (Blood Pressure Modulating Effects of Black Raspberry Extracts in vitro and in vivo)

  • 이정현;최혜란;이수정;이민정;고영종;권지웅;이희권;정종태;이태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75-383
    • /
    • 2014
  • 본 연구는 복분자 완숙과 5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간제대정맥내피세포주(HUVEC)에서 복분자 추출물이 NO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과 ACE 단백질 발현을 조사하였으며, 본태성 고혈압 흰쥐(SHR)에서 혈압강하 효과 및 혈압의 조절과 관련 깊은 인자들(renin, AT1-R, ET-1, IL-6)의 유전자 발현 그리고 혈관조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복분자 완숙과 50% 에탄올 추출물은 HUVEC 세포주에서 NO의 생성을 촉진하였으며 혈관수축활성을 가지는 ACE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였고 본태성 고혈압 흰쥐에게 복분자 완숙과 에탄올 50% 추출물을 8주간 투여한 결과 혈액 내 ACE의 활성이 억제되었으며 renin 및 혈관 수축인자인 ET-1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고 염증관련 유전자인 IL-6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신세동맥의 두께 및 심근 호산성세포수를 감소시켜 혈관내피세포의 손상을 보호하며 심장의 병변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복분자 완숙과 추출물은 혈압 조절과 연관된 단백질 및 유전자의 발현과 활성을 조절하고, 혈관의 두께 및 심근의 변성을 감소시켜 혈압 강하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심혈관계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는 식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관내에서 멸치액젓이 Bromobenzene유발 간조직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Fermented Anchovy on the Bromobenzene-Induced Hepatic Lipid Peroxidation in vitro)

  • 박종옥;최종원;김희숙;류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179-1185
    • /
    • 2000
  • 멸치액젓의 용매분획을 $50^{\circ}C$에서 10일동안 항온실험한 경우 각 용매분획의 건조중량 10 ${\mu}g$ 또는 20 ${\mu}g$이 5 mg의 linoleic acid의 자동산화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용매분획 중 부탄올분획 및 수용액분획이 염분을 함유하고 있었고 염분의 함량은 각각 12.2% 및 21.1%이었다. 흰쥐에게 간장독성을 유발시킨다고 알려진 bromobenzene을 주사하고 간조직을 분리하여 in vitro에서 멸치액젓이 간균질액의 지질과산화물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한 결과, 모든 용매분획들이 3 mg/mL 또는 1 mg/mL 농도에서 지질과산화물 생성을 강하게 감소시켰으며 수용액분획의 경우 0.3 mg/mL 농도에서도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조직의 지질과산화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효소들 중 aniline hydroxylase, aminopyrine N-demethylase, xanthine oxidase 및 aldehyde oxidase 활성에 대한 멸치액젓의 효과를 관찰한 결과, 간세포 마이크로솜 분획에 존재하는 aniline hydroxylase 및 aminopyrine N-demethylase의 활성을 모든 용매분획이 저해하였다. 즉, 3 mg/mL 농도에서는 거의 정상쥐의 효소활성 수준까지 회복시켰고, 0.3 mg/mL의 농도에서도 유의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나 세포질 효소인 xanthine oxidase 및 aldehyde oxidase의 활성에 대하여는 저해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bromobenzene-유도 간지질의 과산화물 생성과정에 있어서 멸치액젓의 항산화물질들은 free radical을 포획하여 지질과산화물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epoxide생성단계를 저해하여 과산화지질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s of 17β-Estradiol on Colonic Permeability and Inflammation in an Azoxymethane/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Colitis Mouse Model

  • Song, Chin-Hee;Kim, Nayoung;Sohn, Sung Hwa;Lee, Sun Min;Nam, Ryoung Hee;Na, Hee Young;Lee, Dong Ho;Surh, Young-Joon
    • Gut and Liver
    • /
    • 제12권6호
    • /
    • pp.682-693
    • /
    • 2018
  • Background/Aims: Intestinal barrier dysfunction is a hallmark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s (IBDs) such as ulcerative colitis. This dysfunction is caused by increased permeability and the loss of tight junctions i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estradiol treatment reduces colonic permeability, tight junction disruption, and inflammation in an azoxymethane (AOM)/dextran sodium sulfate (DSS) colon cancer mouse model. Methods: The effects of $17{\beta}$-estradiol (E2) were evaluated in ICR male mice 4 weeks after AOM/DSS treatment. Histological damage was scored by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and the levels of the colonic mucosal cytokine myeloperoxidase (MPO) were assess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To evaluate the effects of E2 on intestinal permeability, tight junctions, and inflammation, we performed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analysis. Furthermore, the expression levels of mucin 2 (MUC2) and mucin 4 (MUC4) were measured as target genes for intestinal permeability, whereas zonula occludens 1 (ZO-1), occludin (OCLN), and claudin 4 (CLDN4) served as target genes for the tight junctions. Results: The colitis-mediated induced damage score and MPO activity were reduced by E2 treatment (p<0.05). In addition,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intestinal barrier-related molecules (i.e., MUC2, ZO-1, OCLN, and CLDN4) were decreased by AOM/DSS-treatment; furthermore, this inhibition was rescued by E2 supplementation.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inflammation-related genes (i.e., KLF4, NF-${\kappa}B$, iNOS, and COX-2) was increased by AOM/DSS-treatment and ameliorated by E2. Conclusions: E2 acts through the estrogen receptor ${\beta}$ signaling pathway to elicit anti-inflammatory effects on intestinal barrier by inducing the expression of MUC2 and tight junction molecules and inhibiting pro-inflammatory cytokines.

선인장 추출물이 인체 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ctus Extracts on Human Intestinal Microflora)

  • 라보현;이운종;조윤원;김광엽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3호
    • /
    • pp.45-5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인체 내 장내 세균 및 병원성 식중독 세균에 선인장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과 항산화, 항고혈압 활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항균활성은 96well-plate법과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줄기 추출물의 경우 96well-plate 및 paper disc법의 결과, 장내유해균인 Eubacterium limosum 및 Clostridium perfringens, C. butyricum, C. difficile과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높은 억제율을 보였으나 Bacteroides fragilis, Bifidobacterium bifidum, Lactobacillus acidophilis, Streptococcus thermophilus의 경우 억제율을 나타내지 않았다. 열매 추출물의 경우 장내유해균 및 장내유익균에 Bacteroides fragilis, Bifidobacterium bifidum, Lactobacillus acidophilis, and Streptococcus thermophilis에 대하여 억제율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줄기 추출물의 경우 열 및 pH에서도 장내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에 안정함을 나타내었다. 선인장 추출물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열처리하지 않은 열매와 줄기 추출물의 폴리페놀은 3.02 mg/g, 5.85 mg/g, 플라보노이드는 1.04 mg/g, 2.1 mg/g, 전자공여능은 87, 88%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선인장 추출물의 항고혈압활성은 줄기 추출물의 경우 88.8% 열매 추출물의 경우 69.2%의 항고혈압활성을 보였으며 상기 결과를 종합할 때, 선인장 줄기추출물은 장내 유해균의 억제 및 유익균의 증진을 통한 장내 균총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천연식물자원으로부터 Acetylcholine esterase 저해 활성 탐색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Screeening of Natural Plant Resources with Acetylcholine esterase inhibitory activity and Effect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 최장원;원무호;주한승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213-226
    • /
    • 2011
  • 아세틸콜린 분해효소(acetylcholine esterase, AChE) 억제제는 아세틸콜린 함량을 높여 콜린성 neuron을 활성화함으로써 기억 능력의 개선 및 치매 개선을 가져와 현재 다양한 AChE 억제제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ChE에 대한 억제 활성을 갖는 천연물을 다양한 식물추출물 및 에센스오일로부터 탐색하였으며, 탐색한 추출물의 scopolamine으로 기억손상을 유발한 쥐의 기억력 개선 활성을 치매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는 donepizil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몽(Citrus paradisi) 유래의 에센스 오일이 AChE 억제 활성이 가장 높아 20 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90% 이상의 효소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수동회피 실험 결과, 자몽 유래의 에센스오일(100 mg/kg, p.o.)을 투여한 쥐는 치매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는 donepizile (0.5 mg/kg)을 투여한 쥐와 유사한 latency time을 나타내어 인지기능이 개선되었다. 또한, 수중미로 시험 결과, 자몽 유래 에센스오일(100 mg/Kg, p.o.)을 투여한 쥐는 donepizile(0.5 mg/kg)을 투여한 쥐와 유사한 latency time을 나타내어 인지기능이 개선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자몽 유래 에센스오일은 매우 효과적으로 기억력을 개선하여 인지기능을 개선해 줄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후보물질이라고 사료된다.

고온고압 처리된 파극천 추출물의 MMP-1 발현 억제 효능 증진 (Effects of Autoclaved Morinda officinalis Root Extract on the Suppressive Efficacy of MMP-1 Enzyme)

  • 강정욱;오정영;배준태;김진화;이근수;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5-43
    • /
    • 2015
  • 파극천은 전통적으로 피부염증 치료에 사용되어온 약초이다. 본 연구에서는 파극천 뿌리를 고온($132^{\circ}C$) 및 고압($1.2kgf/cm^2$)에서 15분 동안 처리한 후 추출물을 분리하여 이들의 MMP-1 효소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고온고압 처리된 파극천 추출물의 성분변화를 확인한 결과, 고온고압 처리가 파극천 추출물의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약 1.5배 이상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DPPH 및 superoxide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해 본 결과 $500{\mu}g/mL$에서 각각 79.25%, 94.5%의 라디칼 소거 효과가 나타났으며, 기존 추출물 대비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 증가를 확인하였다. 또한, 항염 효과를 5-LOX 및 COX-2 저해능을 통해 확인한 결과 고온고압 처리된 파극천 추출물에서 약 45% 증가된 저해능이 나타났다. 이에 자외선에 대한 고온고압 처리된 파극천 추출물의 피부 콜라겐 단백질 분해효소 발현 저해 양상도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약 16% 정도 저해 효과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UVB의 세포보호 효과도 고온고압 처리된 파극천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세포생존율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파극천 추출물에 고온고압 처리를 통해 기존 추출물보다 뛰어난 항산화, 항염 및 MMP-1 발현 억제 효과의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앞으로 기능성 소재로서 화장품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Utilization of Multiple Carbon Sources by Plant Cells

  • Lee, Taek-Kyun;Suh, Jung-Bin;Kim, Se-Hee;Lee, Sun-Min;Lee, Woo-Sung
    • 한국동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학회 1999년도 한국생물과학협회 학술발표대회
    • /
    • pp.11-11
    • /
    • 1999
  • ;It has been reported that suspension-cultured rice cells grown on mixed carbon sources of glucose (GIc) and acetate exhibited diauxic growth in which acetate was the preferred carbon source (Lee and Lee, 1996). Carrot (Daucus carota L.) suspension cells, showing a diauxic growth very similar to that of rice cells, were used to delineate the mechanisms underlying this preferential use of acetate over GIc. Uptakes of both GIc and 3-0-methylglucose (3-0MG), a non-metabolizable GIc analogue, were similarly inhibited when acetate or butylate, weak acids which are capable of transporting protons into the cytosol, were present in the uptake assay mixture containing cells harvested during the GIc-utilizing second growth phase. Inhibition of GIc uptake by these weak acids was similar when equivalent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isolated plasma membranes. It was further shown that Glc uptake, which requires a proper proton gradient across the plasma membranes, was inhibited during the first growth phase by acetate-mediated alkalization of growth medium and/or simultaneous acidification of cytosol. This study strongly suggests that Glc utilization in plant cells is inhibited by co-presenting carbon source(s) which can alter the proton gradient across the plasma membrane. We further examined diauxic growth in culture containing GIc and malate. Unlike the case in the culture with GIc and acetate, carrot cells used GIc first. Malate was utilized only after Glc is depleted from mediu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Ic can be a preferred or less-preferred carbon source depending on the competing carbon source. It was noted that malate was not directly taken up by cells. Instead it was converted extracellularly into fumarate which was subsequently transported into cells. During the malate-growth phase malate uptake was negligible, and fumarate uptake was active and pH-sensitive. It was shown that fumarase released into medium was responsible for the extracellular conversion of malate into fumarate. An immunoblot experiments showed that fumarase antibody raised against Arabidopsis fumarase provided positive signals only in medium in malate culture, not in fumarate or GIc culture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first example in that fumarase, a mitochondria marker enzyme, can be present in places other than mitochondria.ndria.

  • PDF

항균성 물질 생산 균주의 분리 및 배양학적 특성 (Isolation and Cultural Characterization of Antibacterial Substance Producing Microbes)

  • 박석규;조영수;손미예;갈상완;이상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4-200
    • /
    • 2007
  • 전통발효식품의 기능성 및 저장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전통된장으로부터 효소활성 및 항균활성이 우수한 CH-14 균주를 분리하여 그 특성을 검토하였다. 분리한 CH-14 균주는 그람양성, catalase 양성, oxidase 음성, 내생포자 및 편모를 가지는 간균으로 세포의 크기는 $0.5-0.7{\times}3.5-4.2{\mu}m$이었다. 최종 분리균을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및 Bergey's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와 API 50 CHL Kit에 의한 당 발효실험의 결과를 토대로, Bacillus subtilis로 밝혀져 Bacillus subtilis CH-14로 명명하였다. 최적배지의 조성을 검토한 결과, 탄수원은 2% cellobiose, 질소원은 yeast extract와 peptone을 각각 0.5%씩 혼합 첨가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무기염은 0.05%의 $MgSO_4{\cdot}7H_2O$가 적당하였다. 최적 생육온도 범위는 $30^{\circ}C-45^{\circ}C$이었으며, 초기 pH 범위는 pH 4.5-10.0이었다. 배양시간에 따른 항균물질의 생산성을 검토한 결과, 배양 24시간이 최대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다양한 종류의 유해미생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MIC)를 검토한 결과, E. coli와 P. mirabilis에 대해서는 5 mg/mL, S. aureus, S. enteritidis, V. parahaemolyticus에 대해서는 10mg/mL를 나타내었다.

상황버섯 추출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된장의 효소 활성 및 기능성의 변화 (Changes in Enzyme Activ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Doenjang (Soybean Paste) Prepared with Extracts of Phellinus linteus)

  • 이창호;김병수;신미경;우철주;김정희;권기영;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36-742
    • /
    • 2008
  • 전통 된장의 숙성기간 중 기능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상황버섯 추출물을 이용하여 된장을 담금하여 일정기간 숙성한 후, 된장의 protease 활성, 항돌연변이 활성, isoflavone 등을 측정하였다. Protease의 활성은 상황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실험구가 3.15 unit/mL로 대조구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tyrosinase의 저해 활성과 ACE 저해 활성은 실험구가 각각 45.78%와 55.18%로 대조구보다 약 20% 이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돌연변이 활성은 실험구가 S.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TA100을 사용한 경우 변이원 MNNG와 NPD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은 각각 90.42%와 82.57%, S.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TA98을 사용한 경우 변이원 NPD와 NQO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은 각각 60.28%와 50.33%로 대조구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수소 공여능은 실험구의 활성이 86.65%로 대조구의 61.69%보다 높게 나타났다. 상황버섯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된장의 isoflavon 중 glucoside인 daidzin은 실험구가 35.49 mg/kg높게 나타났으며 genistin은 실험구와 대조구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Aglycone인 daidzein과 genistein은 각각 263.01 mg/kg와 262.60 mg/kg로 대조구 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만성 역류성 식도염 모델에서 빈랑(檳榔)와 황련(黃連) 복합물의 보호 효과 (The Protective Effect of Arecae Semen and Coptidis Rhizoma in a Chronic Reflux Esophagitis Rat Model)

  • 이세희;이진아;신미래;이지혜;노성수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1-24
    • /
    • 2021
  • Objective: Chronic reflux esophagitis (CRE), characterized by esophageal mucosa ulcer, is caused by continuous backflow of gastric acid and consequent inflammation due to unstable gastroesophageal sphincter.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larify the effect of an Arecae Semen and Coptidis Rhizoma mixture (AC-mix) on CRE. Methods: CRE was surgically induced in SD rats with three experimental groups used: normal; CRE control; and CRE treatment (200 mg/kg AC-mix). Blood and esophageal tissue were collected after two weeks of drug administrati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AC-mix was measured by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as well as b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protein levels evaluated using western blotting. Results: CRE damage to the esophageal mucosa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AC-mix group as compared with the controls, and administration of the AC-mix was seen to inhibit NF-κBp65 activity. Consequently, the inactivation of NF-κBp65 significantly inhibited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COX-2 and iNOS. Moreover, the anti-oxidant enzyme HO-1 significantly increased through activation of the Nrf2-Keap1 pathway.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which can break down collagen from the basement membrane and extracellular matrix, was decreased following AC-mix treatment, and elevated levels of MMP-2 were regulated by its tissue inhibitor.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AC-mix can alleviate esophageal mucosa ulcer though inhibition of the NF-κBp65 inflammatory pathway and enhancement of the anti-oxidant Nrf2-Keap1 path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