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al Education-Relevant Content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책임윤리학에 기초한 지구온난화 관련 초등 환경교육 교재 개발 - 초등학교 5, 6학년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Environmental Education Textbook Relevant to Global Warming based on Responsibility Ethics - Focused on 5th, 6th Grade Students -)

  • 정하나;지준호;이상원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2권3호
    • /
    • pp.31-4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lementary environmental textbook relevant to global warming based on responsibility ethics. To achieve the purpose, concrete study processes are as follows. First, the theory of responsibility ethics of Jonas was analyzed. Second, contents relevant to global warm ing on textbooks and guide books in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was analyzed through reference study. Third, the environmental textbook relevant to global warming for 5th and 6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was developed which was based on responsi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ponsibility ethics of Jonas has a lot of merit if it is applied to environment educ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into textbooks and guide books in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the contents concerning global warming are very poor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Third, the elementary environmental textbook relevant to global warming for 5th and 6th grade students was developed. This textbook based on responsibility ethics will be expected to be efficient on the learning compared with subsidiary textbook in use.

  • PDF

제7차 중학교 '기술.가정' 8학년 의생활 단원의 환경교육 내용에 관한 가정과교사의 인식과 수업실행도 (The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the Rate of class practice of Home Economics teachers on the contents relevant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 of 'Clothing Life'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8 Grade in the 7th Curriculum)

  • 배현영;이종순;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1-43
    • /
    • 2010
  • 본 연구는 중학교 의생활 단원을 가르치는 교사들의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8학년 '기술 가정' 의생활 단원의 환경교육관련 내용에 관한 인식과 수업실행도 조사를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환경보전실천을 높일 수 있는 수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 중학교 의생활 단원을 가르쳐본 경험이 있는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임의표집방법으로 2007년 12월~2008년 1월에 걸쳐 우편을 통해 260부의 설문지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과교사들은 우리나라의 환경문제가 심각하여 그로인해 피해를 받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환경단체에 가입하는 등의 실천의지와 환경보전 실천을 위한 의생활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과 지도 경력이 높을수록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중학교 '기술 가정' 의생활 단원에 대하여 가정과교사들은 의복의 기능과 옷차림, 간단한 의복 만들기 단원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모든 단원은 환경교육과 관련성이나 수업실행도, 환경보전실천도 모두 높다고 인식하였다. 가정과교사들이 연령과 경력이 높을수록 환경에 대한 인식 수준이 더 높고 환경관련 수업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과교사는 환경문제에 관심이 많은 만큼 의생활영역에 대해서 학생들이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실천을 높일 수 있도록 수업을 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제7차 중학교 '기술.가정' 의생활 단원의 환경교육관련 내용에 관한 학생 인식과 수업실행인식도 조사 (The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the Class Practice Rate of Environmental Education-Relevant Contents in the Unit of 'Clothing Life' of the 7th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of Middle School)

  • 이종순;배현영;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1-185
    • /
    • 2009
  • 본 연구는 중학교 의생활 단원을 이수한 학생들의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 가정' 의생활 단원의 환경교육관련 내용에 관한 인식과 수업실행인식도 조사를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환경보전실천도를 높일 수 있는 수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중학교 의생활 단원을 이수한 전국 13개 중 고등학교의 중2, 중3, 고1 학생을 대상으로 임의 표집하여 2007년 12월$\sim$2008년 1월에 걸쳐 우편을 통해 550부의 설문지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우리나라와 현 거주지의 환경문제가 심각하여 그로인해 피해를 받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환경단체에 가입하는 등의 실천의지와 환경보전 실천을 위한 의생활 행동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기술 가정' 의생활 단원에 대하여 '의복마련과 관리' 단원의 환경오염이란 단어가 제시된 일부 내용을 제외하고는 환경교육과 관련성이 없거나, 적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생활 단원의 환경교육 관련 수업실행인식도에서도 '의복계획과 구입' 단원을 제외하고 환경교육 관련 수업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보전 실천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서는 중학교 2학년생, 그 중에서도 여학생이 환경관심도나 수업실행인식도에서 좀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가정과 교사들은 의생활 단원의 교육내용이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학생들이 잘 인식하고 학생들의 환경보전 실천을 위한 의생활 행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PDF

학교 실내 공기질 관련 초등환경교육 교재 개발 - 5, 6학년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xtbook Relevant to School Indoor Air Quality - Focused on 5th, 6th Grade Students -)

  • 이미애;문윤섭;황은자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4호
    • /
    • pp.40-6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icate textbook relevant to school indoor air quality. To achieve the purpose, concrete study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research to teachers, supervisors, and students is conducted to grasp cognition of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and management situation about school indoor air quality. Second, contents relevant to indoor air quality on textbooks in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and subsidiary textbooks is analysed through reference study. Third, environmental textbook relevant to school indoor air quality for 5th and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is developed, applicated, and inspected its effect on the basis of implications from results of survey and referenc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survey concerning school indoor air quality showed that three groups had negative attitude for its management even though they thought that it affected human's health and study by and large. Student group thought that each of students itself was a little influence to school indoor air pollution though all of three groups answered that' activities of students' was its main source. Efforts of students to improve school indoor air quality was not much, and its main reason was that they didn't know about school indoor air pollution well. Second, result of analysis into textbooks on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and subsidiary textbooks, contents concerning indoor air on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textbooks was little or nothing. And it trended to be included to subsidiary textbooks. However, education textbooks about indoor air for elementary students was insufficient still. Third, environmental textbook relevant to school indoor air quality for 5th and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was developed. It was constructed for themes - importance, sources, effects, and management of school indoor air quality. After its application to the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it was meaningful in the level of p<.05 that the result of knowledge and awareness in the pre-post test within experiment group. However, all of the results in comparison group didn't represen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conclusion, environmental textbook developed by necessity of education about school indoor air quality will play a role as useful tool for the 5th,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o understand relation of quality of health and life and school indoor air quality, to have attitude to make an effort to manage it by develop right awareness about it.

  • PDF

기후변화 관련 수도권 지역의 환경교육 프로그램 현황 및 개선방안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유혜지;송철호;임철희;김세진;이우균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69-176
    • /
    • 2016
  • This study was to conduct a literature review and a theoretical study on 95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currently being run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obtaine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Certification of Ministry of Environment. First, the suitability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following criteria which the Second 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Master Plan propose: strengthening environmental education within the curriculum, strengthening preschooler environmental education, diversific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among targeted groups, and invigoration of community-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valuated the contents and the proportion relevant to climate change. Based on the result, the measure for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was propo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ere only 15 programs for children, and 20 programs for adults. Also, only 9% of the children and adult education programs were addressing climate change respectively, which was indicating low percentage. 75 programs were directly related to the school curriculum, and 8 programs were not related to subjects in regular curriculum. Also, considering addressing climate change, 7 out of 11 programs were related to the school curriculum. 71 out of 95 programs were located in the facilities of local governments. Programs that were including the contents relate to climate change were only 11 out of 95 programs. It is necessary to operate programs by expand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children and adults, so all people are took into account, and consider the connectivity between curriculum an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in South Korea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lso, it is necessary to educate people sustainably by relating the programs with various resources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local community, to include climate change related contents with more proportion, and to address various subjects rather than focusing on one part of the subjects.

식품 중 유해물질에 대한 소비자 교육 콘텐츠 개발 및 교육효과 조사 -서울에 거주하는 여대생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onsumer Educational Contents on Hazard Chemicals in Food for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 조순덕;강은진;김미혜;박성국;백옥진;김건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0호
    • /
    • pp.1701-1706
    • /
    • 2013
  • 식품은 인간의 건강과 생존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건전하고 안전한 식품을 섭취하는 것은 인간의 삶에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최근에는 기후변화 등 식품 안전과 관련한 주위 환경이 더욱 열악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차원에서도 다양한 방법으로 식품안전에 관한 소비자 교육 홍보 방법을 개발하고, 홈페이지, 리플렛 등 교육 자료를 통해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관련 정보 분석을 통해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은 제조가공 과정 중 생성물질과 환경유래오염물질을 대상물질로 선정하였고, 이에 대한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이에 대해 서울시에 거주하는 여대생 120명을 대상으로 인식의 변화, 태도의 변화, 행동의 변화 등 교육효과를 확인하였다. 조사결과, 식품 중 유해물질에 대한 인식도는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98.8% 이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불안감에 대해서는 교육 전 77.8%에서 교육후에는 막연한 불안감이 52.8%로 약 25.0% 포인트 감소하였다. 정부에서 식품 중 유해물질에 대한 저감화 방안을 홍보할 때 어떤 행동을 취할 것인 지를 질문했을 때 교육 전에 는 적극적으로 실천할 것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12.3%, 노력한다는 응답자가 73.5%이었으나, 교육 후에는 56.1%가 적극적으로 실천할 것이라고 응답함에 따라,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는 태도의 변화를 이끌어 냈다. 식품 중 유해물질 정보를 알았을 때의 소비 행동 조사결과, 관련 정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결정한다는 응답자가 교육 전 49.6%에서 교육 후에는 77.4%로 27.8% 포인트 증가하였고, 관련 식품은 무조건 구매하지 않겠다고 응답한 경우는 교육 전 45.4%에서 교육 후 20.9%로 24.5% 포인트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유해물질에 대한 설득력 있는 정보제공을 통해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소비자와의 식품안전 소통채널 확대를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소비자 대상 안전정보 제공을 위한 콘텐츠 개발 및 교육 홍보를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행동이론에 근거한 가임여성 대상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Theory 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Childbearing Aged Women in Korea)

  • 오세영;김경아;유혜은;정해랑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725-733
    • /
    • 2004
  • It was well received that well grounded behavioral theories were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but there are only a few programs available for Korean wome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childbearing-aged women in Korea.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needs assessment for the program and theoretical backgrounds, we developed behaviorally oriented tailor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ncluding motivation (MT), modifying (MD) and maintenance (MA) stages. The key concepts of the stages were motivation promotion for MT, increasing behavioral capabilities for MD, and strengthening self-management and building 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 for MA. The education program was intended to be need in individual nutrition counseling, but it could be well used for group education by developing materials using the relevant contents. The primary users of the program were nutrition educators, however it could be also used by clients as needed. The introductory chapter provided dietary assessment tools and nutrition education tips. MT chapter included subjects such as nutritional status screening, costs of inappropriate nutrition and weight management, benefits of eating right, and activities for motivation promotion. MD stage chapter dealt with topics of healthy weight, knowledges and skills for better eating habits and physical activity status, and activities related to setting tailored behavioral objectives. MA stage focused on facilitating self management skills and building helping relationships. Each stage underlined activities using various educational tools in order to promot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client (s). For better use of this program, it was recommended to conduct program validation study.

Forestry Education Support by a Forest Research Institute: Development of Forestry Educational Programs for Vocational High Schools

  • Inoue, Mariko;Oishi, Yasuhiko;Fujii, Tomoyuki;Kobayashi, Hiroyuk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4권3호
    • /
    • pp.175-179
    • /
    • 2008
  • Forestry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is one of the fundamental keys for achieving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However, support systems for forestry education have not been well developed in Japan. Forest research institutes, which have accumulated relevant information, should have sufficient ability to develop new educational programs in this field.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support systems for forestry technical education by a research institute. Educational programs for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developed, and the programs were examined for their practical applications through a workshop for these teachers. We set the following five requirements for the programs: They should 1) incorporate new contents related to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2) be based on forestry education textbooks, 3) meet recent demands of the schools and society, 4) allow participants to learn through actual practice and experience, and 5) utilize readily available teaching materials. With these criteria, we developed the following two educational programs: (a) Forest management program to teach advanced techniques, (b) A timber-program to teach about biomass resources. The workshop was held on July $28^{th}$, 2007 with ten teachers attending. The programs were very interesting, who gave them high average evaluation of 4.6 on a scale of 1 to 5. Only a few issues need to be resolved before classroom instruction can begin, such as making wood structure easier to understanding for some teachers, and obtaining base maps of school forests. In conclusion, forest research institutes can effectively support forestry education by providing and implementing programs based on scientific information.

  • PDF

디지털 환경권 개념 정립과 정보교과 교육 강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 of Digital Environmental Rights and Reinforcement of Information Subject)

  • 유지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89-199
    • /
    • 2020
  •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권"이라는 새로운 권리 개념 정립을 통해 정보교과 강화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정보교과 내 정보문화소양의 교육구성 모델 개선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디지털 환경권 개념 도입을 통하여 정보교과를 필수교과목화 하기 위한 논리적 근거를 제공하고 정보 교과 내 정보문화소양의 구성을 재체계화함으로써 디지털 시민으로서 학생이 디지털 환경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역량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연구로 디지털 환경에서 요구되는 권리 개념의 논리를 분석하고 디지털 환경권 개념을 정립한다. 그리고 디지털 환경 전환과 관련하여 미국, 호주, 일본 등의 주요국에서 실행하고 있는 관련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정보교과의 교육구성 개선안을 도출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환경권은 '쾌적하고 안전한 디지털 환경을 누릴 권리' 이다. 둘째, 디지털 환경권의 세분화된 구성요소로는 디지털 환경을 위한 권리(사이버윤리), 디지털 환경의 권리(사이버안전), 디지털 환경에 대한 권리(사이버보안)가 있다. 셋째, 주요국에서는 정보 관련 교육 내용으로 디지털시민성, 코드 윤리, 그리고 신기술 보안에 대해 다양한 교육구성이 이루어지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STS 내용분석 - '생명의 진화'와 '인류의 건강과 과학기술' 영역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STS in the High-School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Revised in 2009- Focused on the Unit of 'Evolution of Life' and 'Health of Humanity and Scientific Technology')

  • 정경하;손연아;김동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3호
    • /
    • pp.343-357
    • /
    • 2015
  • 본 연구는 과학 교과서의 '생명의 진화'와 '인류의 건강과 과학기술' 영역에서 STS 내용의 포함정도를 분석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에 잘 부합하는지 여부를 규명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7종의 교과서를 STS 주제 영역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비율로 보면, 적게는 16.67%를, 많게는 58.33%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TS와 관련된 주제 중, '우주개발과 국방'과 '환경문제'는 표현되지 않았다. STS 활동 영역에서는 '구조화된 토론', '자료 해석', '조사 연구' 영역에서 많은 활동 횟수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현장 활동', '문제 해결과 의사 결정', '역할 놀이', '모의 실험', '사례 연구', '연구 고안'의 STS 활동 영역은 그 횟수가 적게 나타났다. 그러나 2009 개정 과학 교과서에서는 STS 활동 영역이 다양하게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각 영역별 STS 내용 포함률을 분석한 결과, '과학의 응용성'에 해당하는 내용이 67.57%로 최대 내용을 구성하고 있었지만,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은 1.63%로 그 빈도의 차이가 켰다. '과학의 응용성' 이외의 7가지 내용 준거는 10%를 조금 넘거나, 대부분 10%가 채 되지 않는 비율로 각각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7종의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 교과서 생명과학 영역에 포함된 STS 내용은 평균 20.75%로, 교과서별 최소 12.35%에서부터 많게는 26.90%를 포함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