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related Laws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3초

3D프린팅 산업 및 금속소재 사용시 유해인자 노출 연구 현황 (The Status of 3D Printing Industry and Researches on Exposure to Hazards When Using Metal Materials)

  • 박해동;허이준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4
    • /
    • 2023
  • We attempted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laws and current state of the 3D printing industry in South Korea and around the world, using the annual industry surveys and the Wohler report. Additionally, we reviewed articles relating to the potential exposure to hazards associated with 3D printing using metal materials. In South Korea, there were 406 3D printing-related businesses, employing 2,365 workers, and the market size was estimated at 455.9 billion won in 2021. Globally, the average growth rate of the 3D printing industry market over the past 10 years was 27.4%, and the market size was estimated at $11.8 billion in 2019. The United States had the highest cumulative installation ratio of industrial 3D printers, followed by China, Japan, Germany, and South Korea. A total of 6,168 patents related to 3D printing were registered in the US between 2010 and 2019. Harmful factors during metal 3D printing was mainly evaluated in the powder bed fusion and direct energy deposition printing types, and there is a case of material extrusion type with metal additive filaments. The number, mass, size distribu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of particles were mainly evaluated. Particle concentration increases during the opening of the chamber or post-processing. However, operating the 3D printer in a ventilated chamber can reduce particle concentration to the background level. In order to have a safe and healthy environment for 3D printing,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and apply knowledge through various studies.

한국동남지역 제조산업의 ISO 14001 : 2004 환경경영시스템의 운용평가 (Operation Assessment of ISO 14001 : 2004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n Manufacturing Industry of Southeastern Korea)

  • 박동준;강병환;김호균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43-54
    • /
    • 2014
  • Environmental pollution including air, land, and water has become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in global interest. The damages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lead to serious disasters. Nations have realize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protection and have been starting to force organizations to implement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EMS) as way of protecting environment. ISO 14001 requirements that are the most popular standard as EMS have been developed to support continuous improvement to environment management. It has been revised once since publication and ISO 14001 : 2004 version is currently available. Organizations globally started to acquire the certificate of EMS to observe environment related laws, accept customers' and stakeholders' request, increase market share, and fulfill implementation motives. This article examines the audit data that were collected for several years from manufacturing companies including shipbuilding, machinery, metal, automobiles, and chemical companies in southeastern Korea on the basis of ISO 14001 : 2004 requirements. The audit data were classified into minor nonconformities based on factors such as business size, business type, and EMS implementation period. We conduct hypotheses test using statistical methods in order to see if there a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factors. We draw conclusions for the results of hypotheses test and address the necessities of energy, greenhouse gas, green management, and continuous improvement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EMS implementation.

주거지역 종세분화에 따른 바람환경 분석 (An Analysis of Wind environment on the Basis of reclassified Zoning)

  • 이준영;정응호;김대욱;차재규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09-112
    • /
    • 2009
  •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the rapid industr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been worsened as much as to threaten the environmental restitution of globe and become a critical international issue. Korean government presented the green growth as a new state vision for 60 years afterwards and is making efforts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Daegu metropolitan city has faced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including overpopulation of cities, traffic pollution, household wastes and green zone problem because of urbanization for the last decades. As such urbanism continues,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is rapidly deteriorating and the intensive use of land leads to increase of building area raising the temperature of cities. Therefore there have been demands for the healthy, pleasant and satisfying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uch recognition rises from society in full measure. Nevertheless the current residential complex concentrates only on raising the efficiency of land use. Related laws in the past(Daegu Metropolitan City, Urban Planning Municipal Ordinance as of October 10, 2003) tried to prepare a standard to segmentalize the building-to-land ratio, floor area ratio and regulations of number of floors vertically, but currently it is abolished and the regulations are becoming 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ating wind before and after the vertical segmentation of residential areas(Daegu Metropolitan City, Urban Planning Municipal Ordinance as of October 10, 2003) by using KLAM_21, a model that enables analysing and predicting the flow and generation of clod wind, and to present a plan to improve the quality of residential areas afterwards when developing building lot and re-developing housing areas.

  • PDF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ites in Canada

  • Koo, Jahak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6년도 경북지부 결성 및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9-49
    • /
    • 1996
  • Hundreds of contaminated sites have been generated due to the past mismagement of toxic substances, the lack of adequate environmental controls and ignorance of the potential environmental impacts of general activities in Canada. The general public, industry and governments have been addressing the contaminated sites with a number of cleanup responses.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remediation have become top priorities for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like in Canada. Between the late 1980s and the early 1990s, the Canadian Environmental Protection Act and Canada's Green Plan were followed by provincial and territorial laws and policies to regulate contaminated sites. The National Contaminated Site Remediation Program(NCSRP) was initiated in 1989. It has been administered through bilateral agreements between the federal and participating provincial/territorial governments. They have committed a total of $250 million toward orphan site cleanup and technology development/demonstration over a five year period. The federal government has committed an additional $25 million to assess contaminated sites on federal crown land. Over 40 orphan high-risk contaminated sites, over 230 federal sites and over 35 technology development/demonstration projects have been addressed. The Canadian Council of Ministers of the Environment has developed a series of guidance documents to ensure a consistent and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 management/regulation scheme of contaminated sites generally consists of: 1) identifying and investigating sites, 2) determining site contamination, 3) recognizing responsibility and liability, 4) assessing priority for remediation, 5) activation, evaluation and implementing remediation options, and 6) documenting remediation completion. The NCSRP supported the successful development/demonstration of a wide range of innovative remedial technologies. They are related to stabilization/solidification, thermal washing/flushing, advanced oxidation, sonics, and groundwater contaminated with hydrocarbons, PAHS, PCBs, heavy metals, and other hazardous pollutants in a variety of site environments.

  • PDF

복합적 기록 생산 환경에서의 평가를 위한 기록관리기준표 개선방안 A구 '공장설립 및 등록' 업무를 사례로 (Redesigning Disposition Authority Template for the Records Produced in Complex System Environment : A Case Study of Factory Founding and Registration Activity in Local Government)

  • 조지영;설문원
    • 기록학연구
    • /
    • 제58호
    • /
    • pp.147-190
    • /
    • 2018
  • 현재 공공기관의 기록 평가 제도는 기록관리기준표를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많은 한계를 안고 있다. 특히 업무관리시스템 외의 다른 시스템에는 적용되지 않는 등 복합적인 현재의 기록생산 환경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복합적인 업무환경에서 생산되는 기록을 평가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도록 기록관리기준표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자체에서 수행하는 업무 중 '공장설립 및 등록' 업무를 사례로 업무과정에서 기록이 어떤 시스템에서 어떻게 생산되는지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관련 법규, 업무처리시스템, 업무과정을 분석하고 업무과정 및 시스템별로 생산기록의 유형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복합적인 생산 환경을 고려한 새로운 기록관리기준표는 어떤 절차에 의해 개발되고 어떤 구조를 갖추어야할지를 제안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선박충돌법제의 비교법적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hip Collision Legislation in Korea and China)

  • Jiancuo, Qi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77-586
    • /
    • 2022
  • 한·중 무역거래가 날로 증가함에 따라 한·중 양국의 해상운송 규모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선박충돌문제를 초래하고 있으며, 특히 한·중 양국 선박이 밀집한 황해와 동해 수역에 집중되어 있다. 선박충돌 사고가 해상 교통안전과 해상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선적국, 충돌발생지 등 섭외적 요인으로 인한 복잡한 법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한·중 양국의 국내법 규정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양국은 같은 문제에 대해 서로 다른 의견을 보이고 있다. 국제적으로도 일부 관련 선박충돌에 관한 국제조약들이 있으며 이러한 국제조약들은 모두 각국의 이익균형의 결과물이며 궁극적인 목적은 글로벌 선박충돌과 관련한 법률의 통일에 있다. 한중 양국은 선박충돌 방면에서 모두 국제조약을 참조하여 국내법을 국제조약에 접목하였으며 이는 동시에 해사국제법의 통일에도 적극적인 작용을 하였다. 침권책임법의 발전은 선박충돌의 침해에 대한 이론적 뒷받침을 제공하였다. 중국 해사법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과학기술 수준의 제고에 따라 자연환경과 객관적 영향요인이 선박 충돌사고 위험을 크게 낮췄으나 해안에서 상선과 어선이 충돌하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므로 이를 중시해야 한다. 국제조약과 중국국내의 입법에서는 선박충돌에 대한 세부적인 법적 규정을 두고 있지만 선박충돌침해이론에 대하여 여전히 이를 보완하고 발전해 나가야 한다. 본 글은 선박충돌 적용에 있어서 중국입법 및 사법사례의적용을 검토하는 동시에 한국의 법률규정을 참조하여 선박충돌문제에 대한 한중 양국의 법률규정에 대하여 비교하고자 한다.

연안의 효율적 수질관리 방향과 해양환경영향평가 (Effective Coastal Water Quality Management and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이대인;엄기혁;김귀영;홍석진;이원찬;장주형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9-37
    • /
    • 2008
  • 본 연구는 연안의 수질개선과 오염제어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수질관리의 원리와 기법, 연안오염총량관리제 및 선진사례를 검토하였고, 현재 오염총량 산정시 나타나는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지적하였다. 또한, 오염총량제와 환경용량과의 관계, 해양환경 예측 모델로 활용되고 있는 생태계모델의 연구접근에서 중점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사항을 토의하고, 나아가서 연안수질 관련 제도와 정책에서 반영하고 흡수해야 할 수질관리 내용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안오염총량제의 대상이 되는 연안에서는 환경영향평가와 사전환경성검토에서 해당하는 개발사업이나 계획 중 신규 오염원에 대해서는 오염부하삭감량과 할당량을 산정해서 평가서에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고, 연안관리지역계획에서는 환경관리계획에 좀 더 중심을 옮겨 기본적으로 관할 해역으로 유입하는 오염원과 오염부하량 자료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특별관리해역 등 향후 연안오염총량제 적용대상이 되는 지자체에서는 하수도관리계획 등 도시계획을 수립할 때 이러할 점을 고려해서 장기적이고 일관성있는 하수도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연안오염총량제도는 다른 환경관리해역으로 점진적으로 확대 시행되어야 할 것이로, 그 외의 지역은 지자체장이 주부장관과의 협의를 통해 자발적으로 시행하고 인센티브를 주는 것도 검토해야 할 것이다. 해역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생태계모델링에 의한 환경용량(수질적 차원의 총허용오염부하량) 산정이 필수적이며, 이와 관련한 적용모델의 신뢰성과 과학적 타당성 확보는 환경영향평가 관련 협의시 매우 중요한 검토항목으로 고려되고 있다 연안 육역에 존재하는 오염원에 대해서는 연안환경을 관리하는 주무부처가 주도적으로 감시 감독하고 관리체제에 환한 법적 거를 마련하거나 관련 법률을 정비해서 통합 운영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국내외 인터넷 개인방송 규제현황 및 규제 방향성 제언 (Direction of Laws and Policies for the Regulation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 임한솔;정창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48-264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인터넷 개인방송의 사회적/법적 현황을 분석하고, 해외 규제 법률과 인터넷 방송의 매체적 특성을 근거로 개인방송 규제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인터넷 개인방송의 영향력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음란물, 가짜뉴스 등 사회적/법적 문제점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인터넷 개인방송에 관한 법적 규제가 부재한 상황에서, 학계 역시 개괄적인 분석 수준에서 관련 법제 및 정책을 논의하고 있다. 또한,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 대응하고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인터넷 방송콘텐츠와 플랫폼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법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연구결과 표현의 자유를 중요한 가치로 삼고, 미성년자 대상 음란물은 철저히 규제하되, 관련 기관/사업자 간의 협의회 구성을 통한 자율규제 가이드라인으로 최소한의 범위에서 인터넷 개인방송 규제를 주장한다. 본 연구는 인터넷 개인방송 콘텐츠의 질적 향상과 공정하고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위한 새로운 방송정책 구축, 개인방송 콘텐츠의 효율적/공정한 규제를 위해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법률을 제안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가이드라인의 의미와 과제 (The Meaning and Tasks of Guidelines for Utilization of Healthcare Data)

  • 신태섭
    • 의료법학
    • /
    • 제22권3호
    • /
    • pp.31-55
    • /
    • 2021
  • 개정 데이터 3법 중 하나인 개인정보 보호법은 가명정보의 처리에 관한 특례 규정을 신설하였다. 이에 개인정보처리자는 과학적 연구, 통계작성, 공익적 기록보존 등의 목적을 위해서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가명정보를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개정 개인정보 보호법의 후속 조치로 의료 분야의 개인정보 가명처리를 다룬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었다. 가이드라인은 보건의료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해석과 사례를 규정함으로써 수범자들에게 실천적인 기준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만 가이드라인은 가명정보 활용 목적을 명확히 하고, 데이터 심의위원회 구성의 공정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이드라인은 보건의료 데이터 보상 체계를 구축하고, 취약 연구대상자의 권리 보호 강화가 요구된다. 아울러 가이드라인은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의료법과의 부정합성을 정비할 필요도 있다. 본 연구가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의 안전한 환경 조성은 물론 관련 법과 제도의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청소노동자 화학물질 노출 관리의 제도적 한계 고찰 -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제출 제외 조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Limitations of Chemical Exposure Control for Cleaning Workers - Focusing on the Exclusion of Preparation and Submission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s)

  • 신새미;기노성;이혜민;김동현;위서현;변상훈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1-52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impact on cleaning workers and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ement by reviewing the legal and institutional ways in which Article 86 Nos. 7 and 16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work on the maintenance and promotion of cleaning workers' health. Methods: The following laws and systems were reviewed and considered: First,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egislation obligated or required to be applied to protect the health of cleaning workers; Second, the status of control of chemicals or mixtures used at cleaning sites through the Consumer Chemicals Product and Biocide Safety Control Act; Third, Control of consumer products according to foreign material safety data sheet related laws. Results: Leg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necessary to protect the health of cleaning workers include the legal control of harmful substances to be controlled, work environment monitoring, and special health examinations. The application of the Consumer Chemicals Product and Biocide Safety Control Act does not satisfy the legal and practical level of health maintenance and promotion required by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nd the communication of chemical information is insufficient. Overseas, there are restrictions on the use of consumer products in the workplace without material safety data sheets.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to ensure the health of workers handling consumer chemical products. The remaining laws and regulations exempted from the obligation to prepare material safety data sheets should be additionally review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