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ion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4초

환경 친화를 위한 그린빌딩 디자인 정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of the Green building Design for friendly environment)

  • 강승모;김수정;권자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호
    • /
    • pp.26-33
    • /
    • 2000
  • The end of the 20th century, on the ecological world-view which looks the whole things as systematic and admits the incessant change, human is considered to function with the environment mutually and to evolve in harmony with it. Because of the living style of the modern people whose most time spent inside of the buildings, eco-office elements are introduced in the inteior places where many general publics are gathered. We gather up the all information about Eco-office, introduction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Eco-office System Technics and provide source to how to design interact with eco-office.

  • PDF

녹색도서관 인증을 위한 평가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Evaluation Items for the Green Libraries Certification)

  • 노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99-13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녹색도서관을 인증함에 있어 도서관의 친환경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녹색도서관 관련 문헌 및 사례조사를 통해 도서관 녹색요소를 추출하였으며, 평가요소에 대한 도서관 직원들의 인식을 설문조사하였다. 최종적으로 11개의 평가영역, 31개의 평가항목, 135개의 평가지표를 가진 녹색도서관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11개의 평가영역은 토지이용 및 교통, 에너지 및 환경오염 방지, 재료 및 자원, 물순환 관리, 유지관리, 생태환경, 실내환경, 도서관 자원, 친환경 교육프로그램 및 캠페인, 직원 및 운영, 전산화 등이다.

대전지역 주부의 친환경농산물 구매행동 (The Housewives' Purchase Behaviors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Daejeon Area)

  • 김인정;이준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86-397
    • /
    • 2011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ousewives' purchase behaviors on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FAP) by survey in Daejeon area housewives. 390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analysed. Most of the subjects were female (92.6%) distributed evenly in their 40's (55.4%), and graduated from high school (43.6%) or college (36.4%). Subjects' occupation was most housewives (64.1%) and 77.4% of the subjects had monthly family income of 2 million won or more. 76.9% of the subjects had purchased EFAP already. The reason of purchasing EFAP was mainly "good for health" (80.3%), and reason for non-purchasing was "high prices" (28%) or "not so trustworthy" (25.6%). The most purchasing frequency was "once a week" (29%). 46.7% of the subjects spent 20% of their agricultural product cost for EFAP and 38.7% of them spent less than 30,000 won per month for EFAP. On checking of EFAP labeling, the housewives scored 3.59 for the validate date, 3.25 for the place of origin, 2.8 for the quality certification mark by 4-point Likert scale. 65.1% of the subject had intention to increase purchasing of EFAP in future. To promote the consumption of EFAP, the improvement factors were price-cutting (47.9%), trust on producers (18.2%) and quality betterment (17.7%). Accordingly, the consumers prefer EFAP for wellbeing health of families; however, they hesitate to buy due to their high price and the low reliability on producers of EFAP. Thus the producers and the related organization of EFAP should contrive proper countermeasures to increase consumer's satisfaction level on their credibility and price of EFAP.

GCM 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GCM System)

  • 이두용;이창호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01-206
    • /
    • 2014
  • GCM(Green Chain Management) is being spread by that companies which apply with eco-friendly concept in entire SCM(Supply Chain Management) perspective is being increased for resolving some recent environmental problems. There are reasons that numerous companies focus on GCM. At first various governments began to directly manage components and material contents about various noxious substances. Second, environment problem management in the entire logistics process from procurement of product materials to distribution of product became to be important according to introduction of certification system that evaluate the environmental impact throughout life-cycle of products. Purposes of this paper are 1) to analyze the GCM process whose important is more increasing in the recent logistics environment change, 2) to comprehend places and sources that generate environmental elements like energy consump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in elements of logistics function, and 3) to construct integrated GCM system for observing activity of logistics function throughout life-cycle of products.

CASBEE 평가분석을 통한 일본 주요도시 집합주택의 성능 동향 및 국내 친환경 건축 인증기준과의 비교검토에 관한 연구 (Study of functional trend in japan's multi-family housing and comparison through nation's environmental certification standard, analyzed by CASBEE assessment result sheet)

  • 심재명;김강수
    • KIEAE Journal
    • /
    • 제13권2호
    • /
    • pp.113-122
    • /
    • 2013
  • On July 2004, the brand new CASBEE for construction (Brief version) has completed while trying to highlight and improve major items adequate for each region's characteristics in Japan; at the same time, from the start of NAGOYA CITY (operated since April 2004) to the point of May 2011, it has been mandatory for specified size buildings in 23 regions by law. Evaluation sheet of CASBEE is published on each region's home page and various genre of information on building evaluation which is scheduled to be completed by 2016 and is for 5-6 years of quantity is accumulated until October 2012. It is good study resource to verify how new buildings being evaluated are closely match with CASBEE's original purport (eco-friendly, energy efficiency, publicity etc). Particularly, for Japan's multi-family housing where small sized mid to high level single housing type is majority in city, it is an important point that improved performance on eco-friendly buildings have more value in city rather than suburb. Categorized score through evaluation is a resource to confirm the latest trend of multi-family housing built in congested city; on the other hand, demand of the time can be recognized by the score focused on category. It is meaningful resource to determine the adequacy of evaluated items and the degree of reality.

녹색도서관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한 국내 녹색도서관 구축방향에 관한 연구 (How do they Make Libraries Green?: A Case Based Study on Building Green Libraries)

  • 안인자;곽철완;노영희;박미영
    • 정보관리연구
    • /
    • 제43권1호
    • /
    • pp.135-158
    • /
    • 2012
  • 외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도서관과 환경', '그린도서관 사서', '환경정보원구축', '소음과 도서관', '환경적 대안으로서의 도서관구축' 등으로 녹색도서관에 관한 논의가 시작되었으며, 녹색도서관인증평가시스템에 의해 인증받은 도서관이 50개가 넘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의 녹색도서관 구축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국내 외 녹색도서관으로 인증받은 녹색도서관 구축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은 LEED인증시스템의 여섯 가지 평가항목 즉, 친환경적 건설장소, 수자원활용의 효율성, 에너지 및 대기, 자재와 자원, 실내환경친화도, 친환경실내디자인을 기준으로 도서관 녹색화가 이루어진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인증은 건축적인 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도서관의 친환경성을 좀 더 확대하여 생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즉 아직까지 연구되지 않고 있는 도서관의 서비스, 콘텐츠, 도서관용품 등의 친환경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아동친화도시 구축을 위한 아동권리와 행복감에 관한 연구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비교연구 (A Study on Children's Rights and Happiness for Building Child Friendly Cities - Comparative study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 김웅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85-491
    • /
    • 2017
  • 아동친화도시는 아동이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지역사회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 아동권리가 보장된 환경이 조성될 때에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권리와 행복감의 관계에 대해서 검증하여 아동이 살기 좋은 아동친화도시구축을 위해 지원해야할 사항이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받은 W지역의 초등학생과 중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아동권리인식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로,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권리는 건강과 사회서비스, 교육환경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권리는 학교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초등학생의 경우는 가정환경, 안전과 보호, 교육환경이 중요하게 부각되며, 중학생은 건강과 사회서비스, 안전과 보호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동친화도시 구축을 위해 보건, 복지, 교육, 안전 등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 융복합적 개입과 접근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친환경 실내 마감재료 분석 및 제안 (Analysis and Suggestion of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for Aged Apartment Remodeling)

  • 김기현;김경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18-126
    • /
    • 2007
  • 최근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주택성능등급표시제도를 비롯하여 실내공기환경에 대한 기준, 친환경상품인증기준 등 환경관련 제도 및 규정이 마련되면서 공동주택의 신축 및 리모델링 공사에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공동주택 리모델링 공사는 거주자가 사전에 정해진 상태에서 공사를 진행하므로 이들에 대한 의견수렴과 사용되는 소재에 대한 요구분석이 신축에 비해 중요하다는 특성이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시행 중에 있거나 최근 완료된 리모델링 공사의 시공자는 친환경 소재 적용에 대한 거주자의 적극적인 의견수렴 과정이 미비하였고, 친환경상품인증원의 최우수 등급을 받은 친환경 제품을 거주자의 요구에 의해 적용한다기 보다는 공동주택의 홍보의 일환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거주자는 친환경 제품의 인증기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친환경 제품의 등급을 맹목적으로 신뢰하는 경우가 있었고 적용되는 친환경 소재에 대한 요구가 매우 정성적인 특징이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 리모델링 거주자의 친환경 소재에 대한 요구사항을 조사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만족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를 리모델링 공사에 적용하여야 한다.

한국농수산대학 전공심화과정 졸업생의 영농활동실태조사 (A Survey on Farming Activities of Graduates for Intensive Major Course of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황인욱;주진수;김종숙;오대근;송천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0권1호
    • /
    • pp.145-162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농수산대학 전공심화과정 졸업생들의 영농활동 실태에 대한 분석이다. 분석 결과 한농대 전공심화 졸업생들의 영농활동 특징으로는 규모화 전략을 통한 농업경쟁력 확보에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전문영농에 힘쓰고 있다. 또한 다양한 농업기술혁신 전략을 통해 가치창조 농업(예를 들면, 친환경농업, 신기술의 적극적 도입, 지속적인 연구 활동, 지역사회 활성화에 견인, 전문가 및 동문 등과 적극적인 네트워크 활동 등)에 앞장서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들은 다양한 인증 및 수상(무농약 인증, 무항생제 인증, 우수농가 수상, 우수농산물(GAP), HACCP 인증)등의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이렇듯 전문 고등교육기관에서 농업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받은 한농대 졸업생들의 역할은 향후 우리나라 농업발전에 있어 매우 큰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학교 측의 다양한 제도적·정책적 지원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국내 친환경 실내 마감재 및 제품의 전문잡지 광고지면 내용분석 연구 (Content Analysis of advertised Eco-interior Materials and Products in Domestic Interior Magazines)

  • 이연숙;이수진;김규리;오소연;권현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298-30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profiles of eco-friendly finishing materials and intoner products through content analysis on the advertisements of three domestic interior design magazines, which have been published for 4 years since 2002. The amount of advertisements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due to the public concerns on well-being. Finishing material types absolutely took the greatest proportion (92.8%), while products such as furniture and household equipments were only 7.2% among the advertisements. Charcoal, natural jade, yellow soil and nano-silver were the frequently mentioned health-related components in the finishing material. Only 35.7% of the finishing materials hold certification on indoor air quality. Among the interior products, phytonchid in air cleaner was the only advertised component related to health. In conclusion, controlling pollutants of indoor air quality, such as HCHO, VOC, seems to be the big issue in both materials and products due to the concern of Sick Building Syndrome. However, more scientific and objective guidelines are necessary for consumers to live in healthy interior environment.